• Title/Summary/Keyword: 영지식증명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Method to Enhance the Security of ZKIP with Weak Keys (약한 키를 가지는 대화식 영지식 증명의 안전성 강화 방법)

  • 양대헌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17-12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약한 키를 가지는 대화식 영지식 증명을 이용한 인증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대화식 영지식 증명을 이용한 인증 프로토콜은 충분히 길고 랜덤한 비밀키를 가정하고 그 비밀키에 대한 영지식 증명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때에 따라서 충분히 길지 않거나 랜덤하지 않은 비밀키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좋지 않은 난수 발생기를 써야 하는 경우, 또는 패스워드처럼 의도적으로 약한 키를 사용하는 경우가 생기며, 대화식 영지식 증명은 이에 적합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밀 동전 던지기(Secret Coin Tossing)라는 개념을 제시해서, 일반적인 영지식 증명을 이용한 인증 프로토콜을 약한 키를 가지는 영지식 증명 기반 인증 프로토콜로 쉽게 변환할 수 있는 프레임웍을 제안한다. 또한, 이 프레임웍을 이용해서 설계된 인증 프로토콜이 ideal cipher model에서 안전함을 보인다.

  • PDF

Message Sending Zero-Knowledge Interactive Proof System Using ElGamal Cryptographic Algorithm (ElGamal 암호알고리듬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영지식 증명 방식)

  • 엄화영;염흥열;이만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2.11a
    • /
    • pp.165-179
    • /
    • 1992
  • 영지식 대화증명은 인증자(prover)가 비밀정보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검증자(verifier)와 대화를 통해서 이 비밀정보를 알고 있음을 검증자에게 증명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ElGamal 암호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메세지 전송과 개인 인중이 동시에 가능한 순방향 영지식 증명 프로토콜과 역방향 영지식 증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그리고 전송효율을 송신한 전비트와 정보비트와의 비로 정의하여 각각의 프로토콜의 전송효율을 계산한다.

  • PDF

A Study on Zero-Knowledge Proof Technology in Blockchain-based SSI System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의 영지식 증명 기술 연구)

  • Hwang, Jin-Ju;Kim, Ge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355-358
    • /
    • 2021
  • 개인의 신원정보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개인이 직접 자신의 신원정보를 관리하고 데이터의 주권을 신원정보 소유자에게 부여하는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 내에서 개인은 스스로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분산 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를 생성하고 분산 식별자 별 개인의 자격을 증명해주는 자격증명(VC: verifiable credentials) 정보를 발급받아 개인이 보유하며 자격증명의 검증을 요구하는 검증자에게 선택적으로 자격증명 정보를 제시한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의 자격증명을 제시할 때 신원정보의 실제 데이터는 감추고 자격증명의 유효성은 입증시키는 영지식 증명의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지식 증명 기술을 살펴보고 하이퍼레저 인디(Hyperledger Indy) 기반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에서 영지식 증명 기술 도입 예를 보인다.

A Method to Enhance the Security of ZKIP with Weak Keys and Its Application (약한 키를 가지는 대화식 영지식 증명의 안전성 강화 방법과 그 응용)

  • 양대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2 no.1
    • /
    • pp.33-42
    • /
    • 2002
  • We present a systematic way to armor a zero-knowledge interactive proof based identification scheme that has badly chosen keys. Keys are sometimes mistakenly chosen to be weak(neither random nor long), and a weak key is often preferred to a strong key so that it might be easy for human to remember. Weak keys severely degrade the security of ZKIP based identification schemes. We show using off-line guessing attack how the weak key threats the security of ZlKIP based identification schemes. For the proper usage of ZKIP, we introduce a specialized form of ZKIP, which has a secret coin-tossing stage. Using the secret coin tossing, a secure framework is proposed for ZKIP based identification schemes with weak key in the ideal cipher model. The framework is very useful in password based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protocol

Protocol sequence processing in blockchain-based zero-knowledge proof (블록체인 기반 영지식 증명에서의 프로토콜 시퀀스처리)

  • Baek, YeongTae;Min, Youn 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49-51
    • /
    • 2021
  • 블록체인 기술은 데이터 공유를 통하여 투명한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데이터삭제의 비가역성 및 투명한 데이터 공개가 데이터 프라이버시 침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상의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하여 영지식 증명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술 적용 시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증명 및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기존의 영지식 증명방법을 변형하여 증명자와 검증자의 신뢰도에 따른 상호 신뢰 기반의 차별화된 프로토콜 처리과정을 제안하였다. 해당 제안을 위하여 신뢰도 측정 변수가 필요하며 해당 변수를 통한 프로토콜 시퀀스의 차별적 적용을 통하여 증명 및 검증을 위한 경제적.시간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Digital Watermark Verification with Zero Knowledge Proofs (디지털 워터마크에 대한 영지식 검증)

  • 이형우;김태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877-881
    • /
    • 2002
  • Digital contents such as image need both secure proving and publicly verification scheme on embedded digital watermark for contents distribution and copyright protection. Specially, we must provide publicly verification mechanism on digital watermark without revealing any of the secret information hidden on digital contents. In this paper, we review on the existing zero knowledge proofs and digital watermarking system, and propose advanced interactive zero knowledge proofs mechanism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and security of watermark verification process. And it Provides a new watermark verification scheme without revealing any secret on the contents owner's copyright in formation.

  • PDF

A Provable Entrusted undeniable signature (안전성이 증명된 의뢰 undeniable signature)

  • 박성준;김성덕;원동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4.11a
    • /
    • pp.45-50
    • /
    • 1994
  • 대화형 영지식 증명시스템을 사용하여 D. Chaum의 undeniable signature에 대한 거짓말 탐지기 기능 문제를 해결한 안전성이 증명된 의뢰 undeniable signature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의 안전성은 영지식 대화형 증명시스템과 고차잉여류 문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

  • PDF

Privacy-Preserving Credit Scoring Using Zero-Knowledge Proofs (영지식 증명을 활용한 프라이버시 보장 신용평가방법)

  • Park, Chul;Kim, Jonghyun;Lee, Dong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9 no.6
    • /
    • pp.1285-1303
    • /
    • 2019
  • In the current credit scoring system, the credit bureau gathers credit information from financial institutions and calculates a credit score based on it. However, because all sensitive credit information is stored in one central authority, there are possibilities of privacy violations and successful external attacks can breach large amounts of personal information. To handle this problem, we propose privacy-preserving credit scoring in which a user gathers credit information from financial institutions, calculates a credit score and proves that the score is calculated correctly using a zero-knowledge proof and a blockchain. In addition, we propose a zero-knowledge proof scheme that can efficiently prove committed inputs to check whether the inputs of a zero-knowledge proof are actually provided by financial institutions with a blockchain. This scheme provides perfect zero-knowledge unlike Agrawal et al.'s scheme, short CRSs and proofs, and fast proof and verification.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credit scoring can be used in the real world by implementing it and experimenting with a credit score algorithm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real world.

A Study on the Processing Method of pseudonym information considering the scope of data usage

  • Min, Youn-A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5
    • /
    • pp.17-22
    • /
    • 2021
  • With the application of the Data 3 method, the scope of the use of pseudonym information has expanded. In the case of pseudonym information, a specific individual can be identified by linking and combining with various data, and personal information may be leaked due to incorrect use of the pseudonym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cope of use of data is subdivided and a differentiated pseudony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scope. For the study, the formula was modified by using zero-knowledge proof among the pseudony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when the proposed formula was appl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improved by an average of 10% in terms of verification time compared to the case of applying the formula of the existing zero-knowledge proof.

Generalization of Zero-Knowledge Proof of Polynomial Equality (다항식 상등성 영지식 증명의 일반화)

  • Kim, Myungsun;Kang, Bolam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0 no.5
    • /
    • pp.833-840
    • /
    • 2015
  • In this paper, we are interested in a generalization of zero-knowledge interactive protocols between prover and verifier, especially to show that the product of an encrypted polynomial and a random polynomial, but published by a secure commitment scheme was correctly computed by the prover. To this end, we provide a generalized protocol for proving that the resulting polynomial is correctly computed by an encrypted polynomial and another committed polynomial. Further we show that the protocol is also secure in the random oracle model. We expect that our generalized protocol can play a role of building blocks in implementing secure multi-party computation including private set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