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재학교

검색결과 785건 처리시간 0.023초

Computational Thinking 향상을 위한 디자인기반 학습 (Design-Based Learning for Computational Thinking)

  • 김수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19-32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Computational literacy교육에서 Computational Thinking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디자인 기반 학습을 제안하였다. 디자인 기반 학습은 CT를 길러주기 위하여 CL교육에서 시도하는 학습 방법으로 MIT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 단위 영재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EPL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전략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 및 관찰,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CL학습에서의 디자인 기반 학습은 self-프로그래밍 능력과 흥미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고 학습자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창작물로 제작하고 의미있는 결과물을 만드는 교육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컴퓨터 교육에서 디자인 기반학습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 PDF

포화 용액 개념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와 일반 학생 및 과학영재 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Analogies on Saturated Solution Generat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General and Science-Gifted Students)

  • 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3호
    • /
    • pp.305-314
    • /
    • 2011
  • In this study, the analogies on saturated solution generat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in their numbers, materials, and types aspects. The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general and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 test on the self-generating analogies on the target concept was administered to 1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60 fifth graders at four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s and 91 fifth graders at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s made more analogies than the general and science-gifted students. In general,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tended to make the analogies using the materials in family, riding, digestive, and school situations. However,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in the cases of the analogies using other situations including body/physical activity. Similarly to the cases of the students, the teachers made more functional analogies than structural or structural/functional ones and did more concrete ones than abstract ones. However, they made more verbal, artificial, and enriched analogies than the students. They also made more highly systematic analogies than the general students, and did less ones than the science-gifted stud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포화 용액 개념에 대한 비유 만들기 과정의 유형과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The Types of Analogy Generation Processes and the Perceptions of Analogy Generation on Saturated Solution of Fifth Grade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 노태희;양찬호;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2호
    • /
    • pp.219-232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types of analogy generation processes and the perceptions of analogy generation on saturated solution of fifth grade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fter the instruction of self-generating analogies on 'saturated solution' concept for two classes, 12 scientifically-gifted and 8 general elementary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explore their analogy generation processes and the perceptions of the abilities required in the processes, the conditions of good analogies, and the advantages/disadvantages of analogy gener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ir analogy generation proces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generated the analogies in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ways and ha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parts in the processes than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They also suggested more concrete and various ideas about the conditions of good analogies. Many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thought that analogy generation would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s of the cognitive aspects such as various higher-level thinking abilities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s as well as the affective aspects such a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PDF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영재 학생의 행동 특성이 일반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of Influence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on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 윤서정;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353-368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er's perception for influence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on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To do this, we selected the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conducting the regular science classes including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belonging to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and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eachers mentioned seve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excellent in designing and performing experiments', 'playing a leading role in experiments', 'expressing their abundant prior knowledge frequently', 'attempting their tasks with curiosity and persistence', 'displaying scientific creativity', 'often asking scientific questions in detail', and 'expressing their opinions logically'. Thes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had positive effects on general students, such as 'providing them with a successful experience in conducting experiments', 'improving understanding of science class contents', 'developing scientific thinking and reflective thinking', and 'improving their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However, the excessive learning-driven behavior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had negative effects on general students, such as 'limiting opportunities for general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es', 'conducting passive exploration centered on results', and 'causing conflicts with general stud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초등학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교육 방안 (Databas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전수련;김선회;남동수;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179-182
    • /
    • 2012
  •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는 데이터를 수집, 조작, 가공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사회이다. 외국의 경우,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걸맞게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단순한 정보의 검색 및 활용 교육에 그치고 있다. 심지어 초등 정보영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교육 역시 컴퓨터 과학의 타 영역에 비해 매우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초등학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교육 방안을 교육 내용 및 수준,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내용 및 수준의 경우 초등학생이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과제를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조작, 응용하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평가하기는 과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 수준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력, 협력적 태도의 종합적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ACODESA(Collaborative Learning, Scientific Debate and Self Reflection) 방법을 적용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표상의 분석 (Analysis of Representation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e ACODESA (Collaborative Learning, Scientific Debate and Self Reflection) Method)

  • 강영란;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3호
    • /
    • pp.203-216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수학 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ACODESA 방법을 적용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표상 사용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수업 설계는 다양한 표상의 조직화된 사용을 강화시키는 ACODESA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40분 동안 4차시에 걸쳐 수업이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동영상 촬영, 학생과의 인터뷰 등을 수집하여 녹취록을 작성하였고, Despina(2011)의 표상 사용유형에 따라 표상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추가형, 정교화, 그리고 제한형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문제해결 과정에서는 개인적 표상이 소그룹별 토론과 확인의 과정을 거쳐 제도적 표상으로 생성될 수 있는 수업 설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Envi-Met.을 이용한 도심 대기경계층 내 확산장 변화 수치 모의 (Diffusion Simulation Using Envi-Met. in Urban Planetary Boundary Layer)

  • 최현정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57-371
    • /
    • 2016
  • Buildings in the city acts as a cause of distorted wind direction, wind speed, causing the stagnation of the air flow. In the recent trend of climate change can not but consider the temperature rise of the urbanization.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thermal comfort of planetary boundary layer in different artificial constructions areas which has a direct impact on urban climate, and estimating the warming phenomena. Envi-met model was used to consider the urban structure associated with urban growth in order to precisely determine the impact of the building on the city weather condition. The analyzed values of thermal comfort index were temperature, wind speed, horizontal and vertical turbulent diffusivity. In particular, analysis of the PPD(Predicted Percentage of Dissatisfied) represents the human thermal comfort. In this study,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and proportion of the top floor building in the urban it was found that the inflow of the fresh air and cooling can be derived low PPD. Vertical heat flux amount of the city caused by climate change was a factor to form a high potential temperature in the city and the accumulation of cold air does not appear near the surface. Based on this, to make the city effe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 may require a long-term restructuring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density management.

교육 취약계층을 위한 3D 모델링 커리큘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3D Modeling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Vulnerable)

  • 김현아;김재웅;이윤열;채의근;김동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115-116
    • /
    • 2022
  • 소프트웨어 교육은 현대사회의 필수 교육으로서, 초등학교부터 교육을 접할 수 있도록 교육정책 및 지원 등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 이후 소프트웨어 교육 체험 활동 중단에 따른 비대면 교육의 한계로 교육 취약 계층과 영재 교육과의 격차가 심화되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기에 격차 해소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지역별 취약 계층에 대한 계획이 없는 교육 제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에듀테크와 통합된 교육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큐브 형태의 모델링이 가능한 3D 모델링 프로그램인 타다크래프트를 기반으로 교육 소외 계층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육 커리큘럼을 제안한다. 3D 모델링을 구현함으로써, 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한 성과와 흥미를 획득할 수 있고, 공간 확장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가상현실에서 상호작용 도구에 대한 초·중학생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Virtual Reality Interaction Tool)

  • 심재권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1호
    • /
    • pp.15-24
    • /
    • 2019
  • 가상현실 기반 교육 콘텐츠를 초·중학생이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상현실과 학생이 상호작용하는 도구와 방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컨트롤러는 성인 대상의 범용적인 형태로 개발되고 있어 교육의 목적과 초·중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상호작용 도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중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상호작용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현재 범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도구에 대한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학생의 인식을 용이성, 유용성, 이용태도, 사용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식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범용적인 도구의 교육적인 활용이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생 인터뷰를 통해 가상현실에서 초·중학생의 상호작용성을 고려한 도구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과학고등학교 화학수업에서 첨단과학 실험기기 활용 수업 전략의 개발 및 타당화: 자외선-가시광선 및 적외선 분광기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the Advanced Laboratory Equipment(ALE) in Science High School Chemistry Classrooms: A Focus of UV-Visible and IR Spectrophotometer)

  • 전경희;박다혜;장낙한;박종욱;박종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69-81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고등학교 화학수업에서 첨단과학 실험기기를 활용한 수업(이하 ALE 수업)전략을 개발하고 이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ALE 수업 전략의 타당성을 살펴보고, ALE 수업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첨단과학 실험기기를 활용한 7차시의 수업을 구성하여 D과학고 21명에게 적용하고 이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후,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학생 9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보고서 및 심층 면담을 통해 ALE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ALE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수준 높은 학습개념을 쉽게 이해하게 되었고, 주변의 친숙한 물질이 실험재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함으로써 실용적 탐구에 대한 안목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율탐구의지가 고취되었고 일부 학생은 실생활에서 발견한 일상적 문제를 검증가능한 과학적 문제로 구체화시키는 것과 같은 창의적 수행을 실시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ALE 수업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함께 과학에 대한 영역을 폭넓게 이해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의 하나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