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재교육대상자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Observed and Recommended Method for Gifted Student for Information Science Eudcation (정보영재 교육대상자들의 관찰 및 추천 방법)

  • 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8a
    • /
    • pp.281-287
    • /
    • 2010
  • Conventional paper-based assessment methods for Gifted students to be selected are changed into observed and recommended method, and this is focus on developing the potential of gifted students. Information is subject to the school curriculum does not address the important observation because of recommendations from teachers' attention away from ideas on how recommendations are being observed is very low. To solve this problem, existing information about gifted education gif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ied by analyzing the proposal and recommended elements of a feasibility study is to describ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ed that teachers or teachers' information, observing the subjects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is likely to take advantage of them when detail.

  • PDF

A Study on Elementary Gifted Children's Mathematical Belief (초등학교 영재교육대상자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연구)

  • Park, SungSu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3 no.6
    • /
    • pp.947-963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mathematical beliefs between common children and the gifted children, and then the effect of current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on gifted children's mathematical belief. Gifted children from institution for gifted education and school based gifted classroom, and common children from regular classroom from S-city office of education in Gyenggi province were studi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performance and mathematical belief. Second, common children and gifted childre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athematical belief. And also,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had much stronger and positive mathematical belief than common students before starting gifted education program.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on children and gifted children on the mathematical belief after they receive gifted education, but there were negative changes in gifted children from institution for gifted education on the mathematical belief after receiving gifted education.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al Program for Disadvantaged Students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Kim, Seong-Won;Kim, Jise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07-208
    • /
    • 2019
  •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통하여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영재교육의 활성화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전체 학생 중에서 영재교육의 대상자 수의 비율도 증가하였으며, 영재교육 대상자 중 소외계층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일반 영재학생과 다르게 소외계층 영재 학생은 경제적, 문화적, 지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소외계층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 중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총 20차시이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수학, 정보 교과의 교육 내용을 기반으로 주제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주제를 기반으로 기초-심화로 이루어진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교과별 역량 개발을 위하여 탐구 과제를 구성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외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 PDF

Observation Assessment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정보과학 영재교육에서 관찰 평가)

  • Won, Seo Seong;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595-598
    • /
    • 2009
  • 최근 영재 및 영재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초기에 수학 및 과학 분야 위주로 이루어졌던 영재교육은 정보, 발명, 인문, 예술 등의 기타 분야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고도화된 정보화 사회로의 진행과 더불어 정보과학에서도 영재교육데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과학의 학문적 역사가 짧고 그 범위의 설정이 어려운 만큼 정보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에 있어서도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 영재교육 대상자의 선정과 교육에 필수적인 평가 방식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여 교육 방식의 보완과 창의적인 대상자 선발에 있어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형태의 평가 방식 중 관찰평가가 평가도구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다면 평가의 측면에서 지필평가와 보완적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년간의 학습자들의 지필평가 성적과 관찰평가 중 리커트 척도 방식의 체크리스트와 서술형 관찰 기록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 하였다. 또한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체크리스트와 서술형 관찰기록지의 하위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체크리스트의 하위항목 분석을 통해서는 태도와 문제해결 능력 간의 상관관계, 수학적인지영역과 문제해결 능력 간의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서술형 관찰 기록지 분석을 통해서는 투입 프로그램 적응 능력이라 할 수 있는 과정적 영역은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의 상관 관계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 방식간의 상관 관계는 지필 평가와 관찰 평가의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정보과학 분야 영재교육 학습자의 잠재 능력이나 사회성,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필평가와 더불어 관찰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며 다면평가의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 PDF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Gifted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초등정보영재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 Park, Jin-Sik;Yang, Chang-M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179-185
    • /
    • 2006
  • 본 연구는 초등정보영재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초등 정보영재교육 대상자의 판별 및 선발, 초등 정보영재의 교육 방법 및 교육 형태, 초등 정보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 초등 정보영재 교육을 위한 지원체제의 4개영역에서 이루어졌고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정보영재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수학 영재선발 문항분석 및 문항개발의 개선 방안

  • Bae, Jong-Su;Park, Ma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7.06a
    • /
    • pp.51-6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교육의 정상화라는 측면에서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수학과 영재선발 과정 중에서도 수학분야 문항의 분석을 통하여 지원한 학생들의 수학 개념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고 영재교육원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수학 영재학습 대상자 선발을 위하여 보다 바람직한 수학 문항 개발 위한 개선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지원자들의 수학 개념, 원리, 법칙에 대한 이해도는 예상보다 매우 낮게 나왔으며 향후 수학영재 선발 문항의 개발에서는 문항의 개발자들이 수학영재 판별을 위한 진지한 고민과 함께 수학영재들의 능력을 적절히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Elementary Gifted Education Eligibility Information Analysis Study on the recommendation for selection (초등정보영재 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추천서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Sang-Yoon;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13-318
    • /
    • 2010
  • 한 국가의 미래는 인적 자원의 개발에 달려 있으며 정보영재는 중요한 인적자원이다. 영재교육진흥법 시행에 따라 영재 교육 체제의 정립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역별 특성에 맞는 정확한 판별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초등정보영재 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추천서를 31개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과학영재원 합격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관찰 추천의 타당도에 대한 지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Selecting Candidates for the Courses for the Gifted Children on Intelligence Technology (정보과학 분야의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 관한 연구)

  • Seo, Seong-Won;Jeon, Mi-Yeon;Hong, Rok-Ki;Lim, Gyeong-Jin;Shin, Mi-Hae;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05a
    • /
    • pp.401-404
    • /
    • 2010
  • Researches on prodigies and education for those have recently been progressing in many fields. Education for the gifted, which was basically on Math and Science on the start, now includes Intelligence, Invention, Cultural Sciences, Art, and so on. With the progression towards extremely developed information society, interests in and importance on the courses for the talented get more and more focused. The problem is, however, choosing the gifted and educating them is not an easy matter, since the history of Intelligence Technology is relatively short and it is hard to identify prodigies and categorize what kinds of courses they need. Also, from 2010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freshmen draft, paper-based admission test has been discarded and teacher-recommendation through long-term observation introduced. Therefore needs have been increasing for quality selection methods including observation records, recommendation letters, and portfolios. Reformation on teaching and creative selection methods has been accentuated because of lack of academic base for selecting candidates for education for the gifted. Because of all those mentioned above, reliances for the selection processes during the last three years and the one in 2010, observation records, recommendations and portfolios included, have been analyzed and evaluated. Several factors which can be used instead of paper-based tests were coordinated. Based on it, it was highly possible and has been successful to draft all the applicants in cognitive, sentimental, and creative fields.

  • PDF

Analysis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ection Results of the Gifted Student by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관찰·추천제에 의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서 심사결과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 Yun, Eunjeong;Park, Yuneba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2 no.4
    • /
    • pp.929-94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for efficient selection with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efficient operation of Convergence Science class in a Science Institute for Gifted Youth attached in universit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result of entrance exam with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nterance exam score and achievement to perform at the Convergence Science class. As a result, despit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is highly dependent on observers and recommenders, they have very different perspectives each other. In addition it was founded that selection and education process after admission is inconsis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