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의 계수

Search Result 1,00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daptation of Modal Parameter and Elastic Modulus Estimation Method for PSC Bridge Based on Ambient Vibration (상시 진동 계측을 기반으로 한 PSC 교량의 모드계수 및 탄성계수 추정기법 적용)

  • Lee, Sung-Jin;Kim, Saang-Bum;Choi, Kyu-Yong;Lee,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574-57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실 시공 중인 PSC 교량에 대하여 풍하중에 의한 상시 진동 계측 자료을 기반으로, 교량의 동특성(고유진동수, 모드형상)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상 교량의 탄성계수를 추정하여 정적 계측을 통한 탄성계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동특성 추정 기법은, 대표적인 주파수 영역 해석 방법인 Frequency Domain Decomposition(FDD) 방법과 시간영역 해석 방법인 Stochastic Subspace Identification(SSI) 방법을 이용하였다. 탄성계수 추정은 유한요소모델과 계측 결과를 이용하여 두 개의 결과 차이가 수렴하도록 하는 반복 계산을 통해 탄성계수를 추정하였다. 우선, 탄성계수 추정 기법의 검증을 위해, 수치 해석을 통하여 그 기법을 검증하였으며, 해석 결과 정확한 탄성계수값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적용한 탄성계수 추정법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된 추정 기법을 실 교량에 적용하기 위해 실제 상시 진동 계측 값을 바탕으로 실교량의 동특성 및 탄성계수를 추정하였다. FDD 및 SSI 기법을 통한 모드 해석 결과, 두 기법 모두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FDD 및 SSI 두 방법에 대한 결과의 신뢰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추정 탄성계수 값은 거더 단면내 설치한 응력계 및 변형률계를 통한 계측 결과값의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적용한 교량의 상시 진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동특성 및 탄성계수 추정법이 구조물의 대략적인 탄성계수 및 이에 따른 구조물의 전체적인 건전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열하중을 받는 이종재 V-노치 균열의 응력강도계수 해석

  • 문창호;조상봉;김진광;노홍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0a
    • /
    • pp.240-240
    • /
    • 2003
  • V-노치 균열에서 열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는 비제차형 경계조건의 문제가 되고, 이 조건에 대한 방정식의 일반해를 구하기 위해서 재차형 연립방정식에 대한 일반해(Homogeneous solution)와 비제차형 연립방정식에 대한 특수해(Particular solution)의 두 가지 해를 구할 수 있다. 이들 해는 V-노치 균열에 대한 고유치가 되고 이 고유치가 중복근을 가지게 되는 경우에는 로그항(1n[r])이 나타나게 되고 이 항에 의해서 응력을 무한대로 발산시키므로 이를 대수응력특이성이라 한다. 열하중이 작용할 때 대수응력특이성을 나타내는 로그항의 계수가 영(0)이 되어 대수응력특이성이 사라지게 되므로 V-노치 선단에서의 응력특이성은 고유치와 그에 대한 고유벡터에 의해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상태 열하중이 가해지는 등방성 이종재료 내의 V-노치 균열문제에서 패기 각도와 이종재료의 기계적 성질에 의해 결정되는 응력특이성지수를 구하고 이에 대한 응력강도계수를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와 상반일 경로 적분법(RWCIM)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 PDF

Reconstruction of High-Resolution Facial Image Based on Recursive Error Back-Projection of Top-Down Machine Learning (하향식 기계학습의 반복적 오차 역투영에 기반한 고해상도 얼굴 영상의 복원)

  • Park, Jeong-Seon;Lee, Seong-Wha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3
    • /
    • pp.266-274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new reconstruction method of high-resolution facial image from a low-resolution facial image based on top-down machine learning and recursive error back-projection. A face is represented by a linear combination of prototypes of shape and that of texture. With the shape and texture information of each pixel in a given low-resolution facial image, we can estimate optimal coefficients for a linear combination of prototypes of shape and those that of texture by solving least square minimizations. Then high-resolution facial image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optimal coefficients for linear combination of the high-resolution prototypes. In addition, a recursive error back-projection procedure is applied to improve the reconstruction accuracy of high-resolution facial image. The encouraging results of the proposed method show that our method can b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ace recognition by applying our method to reconstruct high-resolution facial images from low-resolution images captured at a distance.

한국 남해산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성숙과 산란

  • 곽오열;정의영;김봉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518-519
    • /
    • 2000
  • 재첩류는 담수와 기수역에 넓게 분포하는 식용 패류로서, 일본재첩은 우리 나라 기수역에서 다량 서식하는 유용패류이다. 일본재첩에 관한 연구는 생식생태학적연구 (조비,1941: 조등, 1997; 조 등,1998)와 생장(宇藤, 1981)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국내에 서식하는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생식생태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생식생태에 관한 계수학적 정량분석조사는 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재첩의 생식생물학적연구의 일환으로 생식소의 구조, 생식주기, 생식소지수의 월별변화, 생식세포발달과정, 성비를 조사하였고 계수학적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Quantized Differential Energy Watermarking Technology (양자화된 차분에너지 워터마킹 기법)

  • 유원영;이승욱;오원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46-448
    • /
    • 2003
  • 본 논문은 MPEG 비디오를 위한 양자화된 차분 에너지 워터마킹(QDEW)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블록의 고주파 성분인 DCT 계수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특히 제안된 방벌은 기존의 차분 에너지 워터마킹(DEW)의 단순비교방식과 다르게 양자화단위로 에너지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큰 범위의 에너지가 차이날 때 발생되는 다량의 주파수제거 문제를 해결하여 화질의 열화를 방지하고 삽입되는 워터마크의 중량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DCT계수를 제거하는 것으로만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재인코딩 과정없이 MPEG스트림에서 직접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입는 장점이 있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Load Trunsfer of Jointed Concrete Pavements Using 3-D Finite Element Model (3차원 유한요소 모형를 이용한 줄눈 콘크리트포장 하중전달의 민감도 분석)

  • Sun, Ren-Juan;Lim, Jin-Sun;Jeong, Jin-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0 no.2
    • /
    • pp.145-157
    • /
    • 2008
  • Load transfer efficiency (LTE) reflects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doweled and undoweled joints of Jointed Concrete Pavement (JCP). A 3-dimensional (3-D) model of JCP was built using ABAQUS software in this study. Three concrete slabs were placed on bonded sublayers composed of a base and subgrade. Spring elements were used to connect the adjacent slabs at joints. Different spring constants were input to the model to simulate different joint stiffness of the concrete pavement. The LTE of the joint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spring constant. The effects of material properties and geometric shape on the behavior of JCP were analyzed using different elastic modulus and thickness of the slab and base in the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e elastic modulus of the subgrade affected the behavior of the slab and LTE more than that of the base and the thickness of the slab and base. The effects of a negative temperature gradient on the behavior of the slab and LTE were more than that of positive and zero temperature gradients. Joints with low stiffness were more sensitive to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slab.

  • PDF

Wind-Tunnel Experiment for the Steady and Unsteady Torques of a Control Panel (제어판의 정상 및 비정상 토크에 관한 풍동시험)

  • M.S. Suh;S. Kauh;S.H. Ka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29 no.4
    • /
    • pp.98-103
    • /
    • 1992
  • The dynamic and static torque characteristics of a three dimensional control panel installed behind a guide panel were investigated in a wind tunnel. The panel was tested for various wind speeds, angles of attack and positions of the panel. The effects of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amplitude of the sinusoidal motion were also studied. The increasing rate of torque coefficients with the angular position of the panel is small when the panel remains in the wake region, but is linear when it reaches the external stream. In case of a sinusoidal motion of the pannel, a hysterisis appears in the dynamic torque. The hysterisis becomes strong as the wind speed and the angular speed of the panel increase. The unsteady torque is considered quasi-steady when the angular speed is less than 5.5rad/s, i.e. the reduced frequency is less than 0.035.

  • PDF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storage constants based on basin shape factor at Design Flood Estimation (설계홍수량 산정시 유역형상계수에 따른 저류상수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Sang-Jin;Kang, Ho-Yeong;Hwang, Sung-Hwan;Moo,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8-508
    • /
    • 2015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2012, 국토교통부)'에서 홍수량 산정시 유역면적이 $250km^2$이하의 유역을 하나의 유역으로 처리하여 홍수량을 산정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는 소유역을 많이 분할하고 하도 홍수추적 및 합성을 통하여 홍수량을 산정할 경우 단일유역에 비해 홍수량이 과대하게 산정됨으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제시된 산정요령이다. 홍수량 산정 방법으로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설계홍수량 산정요령'에서 채택한 모형인 Clark 단위도법에 의한 방법으로 산정된 홍수량의 크기에 미치는 민감도가 도달시간보다 저류상수가 훨씬 크므로 합리적인 저류상수 결정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저류상수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경험공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 '설계홍수량 산정 요령(2012, 국토교통부)'에서는 유역면적이나 유역형상 등을 고려하고 있는 Sabol 공식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Sabol 공식은 유역형상계수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유역형상계수는 형상이 흐름방향으로 길쭉한지 넓적한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유역 평균폭을 본류 연장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통상 유역면적을 본류 유로연장의 제곱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유역의 형상이 폭에 비해 길면 형상계수가 1보다 작아지며 반대로 길이에 비해 폭이 넓거나 형상이 둥글면 형상계수는 1에 근접하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하천의 형상계수는 대부분 약 0.5~0.1 정도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Sabol공식을 적용하여 저류상수를 산정할 경우 유역형상계수가 극히 작을 경우 홍수량이 과소하게 산정되므로 적절한 유역분할을 통해 홍수량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미호천 권역에서 유역형상계수가 0.1 이하인 유역을 대상으로 단일유역으로 산정한 홍수량과 적절한 유역 분할 후 홍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고 비슷한 규모의 인근유역의 홍수량과 기산정된 홍수량을 비교하여 유역형상계수 0.1이하에서의 적절한 소유역 분할 기준을 제시하여 홍수량이 과대 및 과소하게 산정되지 않도록 조정하는데 있다.

  • PDF

A Steady Method of Damping Coefficient Prediction for Axisymmetric Projectiles (축대칭 발사체의 감쇠계수 계산을 위한 정상 해법)

  • Park, Soo-Hyung;Kwon, Jang-Hyuk;Yu, Y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11
    • /
    • pp.1-8
    • /
    • 2006
  • A steady prediction method is presented to compute dynamic damping coefficients for axisymmetric projectiles. Viscous flow analysis is essential to the steady method using a zero-spin coning motion in the inertial coordinate frame. The present method is applied to compute the pitching moment and the pitch-damping moment coefficients for the Army-Navy Spinning Rocket. The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parabolized Navier-Stokes data, range data, and unsteady prediction data. Predictions for Secant-Ogive-Cylinder configurations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afterbody geometries. To investigate the geometrical effect and flow physics, the longitudinal developments of the coefficients are examined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