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어 단어

Search Result 35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nglish-Production Structures of Korean-English Bilinguals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의 영어 산출 구조 분석)

  • Shin, Sung-Shik;Yum, Eun-Young;Chung, Cha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128-141
    • /
    • 1996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와 비이중언어자인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언어 처리의 독립성과 영어 처리의 사고 억제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서 두 개의 산출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로 산출 과제를 준 후에 한국어, 영어 단어에 대한 어휘 판단 과제를 하였다. 이중언어자는 한국어-영어 처리 체계가 분리되어 있어서 산출 언어와 목표 단어의 언어가 바뀐 경우에 단어 판단시간이 더 길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유의미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비이중언어자는 영어 산출 후에 한국어, 영어 단어에 대한 판단 시간이 모두 느려졌으며 이것은 영어 산출에 많은 심적 자원을 소모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하였다. 실험2에서는 영어로만 1분간 산출 과제를 주고 20초씩 나눈 세 구간에서 발화된 단어 수를 측정하였다. 이중언어자는 세 번째 구간에서 유의미하게 발화된 단어수가 감소하였지만 비이중언어자는 세 구간에서 발화된 단어수가 비슷하였다. 이것을 영어 산출시의 처리 부담과 관련하여 논하였다.

  • PDF

A System for Learning English Words Using Relations between Words (단어간의 관계를 이용한 영어 단어 학습 시스템)

  • Siyeong Bae;Sangchul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54-1157
    • /
    • 2008
  • 오늘날은 실용성 있는 생활 영어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로서 영어 교육은 무엇보다도 의사소통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영어 학습을 시작하는 초기 학습자 단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것이 바로 어휘 학습이다. 기존 영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지나치게 많은 단어들을 단순한 방법을 통해서 학습하게 함으로써 심리적 부담을 주고 있다. 심리언어학에서는 언어 이해의 과정이 단순히 제시된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용의 과정이 아니라 학습자가 이미 보유한 경험과 개념을 근거로 활성망의 확산을 통해 적절한 관계를 찾는 역동적·능동적 과정이라는 이론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단어들 사이의 관계를 부각시킴으로써 추론과 기억에 도움을 주는 영어 단어 학습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단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단어 관계 망을 중심으로 단어 학습 순서를 결정할 수 있고, 이미지 및 게임 기능을 지원하여 단어학습의 흥미를 유발하는 특징이 있다. 본 학습시스템을 실제 단어 학습에 적용해 본 결과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English visual word recognition of Korean: lexical access and word length effect (한국인의 영어단어 재인과정:어휘접근과 단어길이효과)

  • 이윤형;최원일;정유진;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79-284
    • /
    • 2000
  • 시각적으로 제시된 영어 단어 재인시에 주로 단어빈도와 단어길이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어빈도와 관련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단어길이와 관련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다. 또한, 단어빈도와 단이길이에 따라 단어가 성 어휘집(mental lexicon)에 어떻게 표상되어 있으며, 상호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단어길이와 빈도가 시각적으로 제시된 영어단어 어휘접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아 단어길이효과가 어휘접근단계에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둘째, 단어길이와 빈도가 미국인과 한국인의 어휘접근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아 한국인과 미국인의 영어단어 정보처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단어 명명과제와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한 실험결과 한국인과 미국인에게 모두 단어 길이와 빈도가 어휘접근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한국인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어휘판단과제에서 보다는 단어명명과제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한국인이 영어단어 어휘에 접근할 때에도 미국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인의 경우는 미국인보다 조음과정에 상대적으로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보이며, 이것은 영어교육시 단순한 어휘암기보다 음운부호를 산출하고 단어를 말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좀 더 강조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A Single-Player Car Driving Game-base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ystem (1인용 자동차 주행 게임 기반의 영어 단어 학습 시스템)

  • Kim, Sangchul;Park, Hyoge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5 no.2
    • /
    • pp.95-104
    • /
    • 2015
  • Many games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uch as hangman, cross puzzle, matching, etc, have been developed which are of board-type or computer game-type. Most of these computer games are adapting strategy-style game plays so that there is a limit on giving the fun, a nature of games, to learners who do not like games of this style. In this paper, a system for memorizing new English words is proposed which is based on a single-player car racing game targeting youths and adults. In the game, the core of our system, a learner drives a car and obtains game points by colliding with English word texts like game items appearing on the track. The learner keeps on viewing English words being exposed on the track while driving, resulting in memorizing those words according to a learning principle stating viewing is memorization. To our experiment, the effect of memorizing English words by our car racing game is good,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our system as a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ool is reasonably high. Also, previous word games are suitable for the memory enforcement of English words but our game can be used for the memorization of new words.

Automatic Foreign Word Transliteration Model for Information Retrieval (정보검색을 위한 외래어 자동표기 모델)

  • 이재성;최기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7.08a
    • /
    • pp.17-24
    • /
    • 1997
  • 조사에 따르면 한글 문서에서 사용되는 단어 중 외래어 또는 영어가 포함된 단어가 약 26%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정보검색의 중요 색인어로 사용된다(권윤형 1996). 그러나 이들 단어들은 서로 같은 단어인데도 영어로 표기되기도 하고 이형의 외래어들로 표기되기도 하여, 정보검색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 단어와 그에 대응되어 표기되는 외래어들을 찾기 위한 한 단계로서, 영어를 한글로 음차(transliteration)하여 자동표기하는 통계적 모델을 제안하고 실험한다. 제안된 모델은 통계적 기계번역 방식과 그의 한 방법인 문서 정렬(text alignment) 방식에 근거하고 있다. 특히 이 모델에서는 효과적으로 발음의 단위를 분리한 다음 정렬을 하여. 전체적인 계산량을 줄이고 성능도 향상시켰다. 음차표기는 피봇방식과 직접방식의 두가지로 구현하였다. 피봇방식은 영어에서 발음을 생성한 후, 그 발음을 다시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이고, 직접방식은 직접 영어 단어에서 한글 표기로 포기하는 방식이다. 두 방식을 제안된 모델을 이용하여 비교 테스트한 결과 직접방식이 보다 정확하게 표준 외래어로 표기하였다.

  • PDF

Retrieving English Words with a Spoken Work Transliteration (입말 표기를 이용한 영어 단어 검색)

  • Kim Ji-Seoung;Kim Kwang-Hyun;Lee Joo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9 no.3
    • /
    • pp.93-103
    • /
    • 2005
  • Users of searching Internet English dictionary sometimes do not know the correct spelling of the word in mind, but remember only its pronunciation. In order to help these users, we propose a method to retrieve English words effectively with a spoken word transliteration that is a Korean transliteration of English word pronunciation. We develop KONIX codes and transform a spoken word transliteration and English words into them. We then calculate the phonetic similarity between KONIX codes using edit distance and 2-gram method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very effective for retrieving English words with a spoken word transliteration.

해사영어 전문용어에 관한 연구

  • Lee, S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39-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해사영어어휘의 특징인 ballast water, fore peak bulkhead, container, freight station charges와 같은 n-gram의 복수 단어로 구성된 합성어 (multi-word compounds) 태깅(tagging)처리가 포함된 해사영어코퍼스를 구축하였다. 해사영어코퍼스는 백만 단어씩 수집한 학술, 법, 신문, 교과서 4개 하위 코퍼스로 구성된 총 400만 단어의 해사영어코퍼스로 구성되어 있다.

  • PDF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Regularity Effects among Late Korean-English Bilinguals (후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자소-음소 변환 규칙에 따른 영어 규칙성 효과)

  • Kim, Dahee;Baik, Yeonji;Ryu, Jaehee;Nam, Kichu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6 no.3
    • /
    • pp.323-355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grapheme-to-phoneme regularity effect among late Korean-English bilinguals by using whole word level task (lexical processing) and two meta-phonological tasks(sub-lexical processing): [1] English word naming task(whole word level), [2] rhyme judgement task(rhyme level), and [3] phoneme deletion task(phoneme level). Forty-three late Korean-English bilinguals participated in all three tasks. In these tasks, participant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regular word conditions compared to irregular word conditions, demonstrating a clear English regularity effect. Post-hoc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strong correlation between word naming task and rhyme judgement task,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sults reported with English monolinguals. The contradicting results might be due to the relevantly low English proficiency level among late Korean-English bilingual speak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ate Korean-English bilinguals make use of L2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GPC) rule when reading L2 English words.

A Trainable Hangul Josa (particle) Generation Method for English Words (학습가능한 영어단어의 한글조사 생성방법)

  • Lee, Jae-Sung;Lee, Woon-Jae;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31-35
    • /
    • 1998
  • 한국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조사는 앞 명사의 종성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게 표기된다. 그런데 앞의 단어가 한글이 아닌 영어나 특수기호 등일 경우, 그 단어의 종성을 알아내는 일은 단순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가 명사로 쓰였을 경우, 그 단어 종성의 종류를 파악하여 적합한 형태의 조사를 자동으로 붙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본적으로 결정트리(decision tree)와 같은 방법으로 영어 단어의 뒷글자부터 차례로 결정의 단서로 사용하였고, 분야에 맞도록 학습가능하다. 1,500단어로 학습한 후, 미학습 데이터에 대해 실험한 결과, 약 96%의 정확도를 보였고, 학습 데이터가 많아지면 정확도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PDF

English Word Learning System with Smartphon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스마트폰 환경의 혼합현실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영어단어 학습 게임 시스템)

  • Kim, Jinguk;Lee, Jongw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224-2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의 혼합현실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영어단어 학습 게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영어단어 학습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저작도구와, 게임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저작된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카드 매칭 게임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시스템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3D애니메이션 형식의 단어 카드를 제공하여 단순 이미지 형식을 사용한 방법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단어를 묘사할 수 있다. 그리고 부모가 원활히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혼합현실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혼합현실 기반 인터페이스는 개인화된 정보를 부모에게 제공하여 부모가 사전 지식 없이 영어 단어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보급이 저조한 PDA와 UMPC대신, 최근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에 혼합현실을 구현하여 인터페이스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