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어쓰기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5초

협력형 EFL 교실에서 실천학습 융합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nversing Action Learning in a Collaborative EFL Classroom)

  • 신명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71-7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천학습(Action learning) 기법을 활용한 영어 수업 사례 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수업을 기본으로 하여 학습자 간의 상호수정 활동을 통해 영어 기술을 익힐 수 있다는 것에 연구의 가치를 두고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을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2018년 3월 1일부터 2018년 6월15일까지 교양 영어 두개 반(실험반, 통제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집단은 실천학습(Action learning) 협력기법을 활용한 협력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 반은 교수자가 기존에 하던 방식의 쓰기 수업을 진행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실천학습(Action learning) 기법을 적용한 협력 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쓰기 유창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단어의 수, 문장의 수와 문장 길이 등의 쓰기의 유창성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학습자들은 학습 관계에서 더 깊이 있게 다른 사람들이 지닌 지식이나 생각을 공유하고 보다 규칙적인 근거를 가지고 근접발달영역 들어갈 수 있었다.

대화식 저널 쓰기 활동이 한국인 중학생들의 영어쓰기에 미치는 영향 (The role of dialogue journal writing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 이재민;임현우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3호
    • /
    • pp.291-315
    • /
    • 2010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ole of dialogue journaling in Korean students' English writing development. Thirte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five-week dialogue journal writing program. The participants' English writing skills before and after their dialogue journaling were compared in terms of holistic and analytical scores of their English essay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language use, as manifested in their dialogue journals. The results indicated the positive influence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the participants' English writing skills in the areas of content and lexical fluency. As for the linguistic evidence that related dialogue journaling to English writing development, the three patterns of change in language use emerged from the participants' dialogue journals: a) raised awareness on grammar conventions, b) raised awareness on discourse conventions, and c) increased depth and richness in idea development. There were also three unhelpful factors associated with little improvement of English writing: a) lack in basic writing skills, b) repetitive use of identical sentence patterns, and c) lack in grammatical and lexical awareness. Overall, the results suggested that dialogue journaling could facilitate Korean students' English writing development when it creates authentic communica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 PDF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초등 영어 쓰기 지도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the writing instruction using animations)

  • 고민규;장재학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2호
    • /
    • pp.149-170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the writing instruction using animations has effects on the writing performance of $4^{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nimation-based writing instruction on the interest and confidence of those students. To this aim, the present study utilized a set of writing tests an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3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writing instruction using animation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writing test than those who received the textbook-based instruction.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those who received the animation-based instruction showed more positive interest and confidence on English and English learning.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 PDF

인터넷이 제공하는 언어 습득의 새로운 방법 활용 (On Exploiting New Methods of Language Acquisition Offered by the Internet)

  • 최미희 미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1-116
    • /
    • 2013
  • 강의실에서 활동이 영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 유창성을 익히도록 하는데 제한적이기 때문에 언어에서 기술의 사용은 교육 도구로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의 주요 학습의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온라인 상의 보충자료를 얼마나 활용하느냐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 향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인터넷을 통해 제공 되어지는 모든 잠재적인 가능성의 활용에 근거하여 언어 습득에 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 쓰기 과제를 학생들이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터넷을 활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의 참여와 그 영어쓰기 실력 향상과의 비례관계를 보여준다.

영어쓰기학습에서 온라인 문법체커 활용 연구 (The use of an online grammar checker in English writing learning)

  • 임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51-58
    • /
    • 2021
  • 본 논문은 온라인 문법체커에 대해서 살펴보고 영어쓰기에 있어서 온라인 문법체커 활용 시에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충청도에 있는 D 대학교에서 2019년 2학기에 실시하였으며 총 35명의 대학교 1학년 학생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서 사전 · 사후의 문법 테스트와 설문지 그리고 학습저널이 수집되었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문법 테스트 결과 온라인 문법체커는 영어쓰기수업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온라인 문법체커에서 제공되는 피드백 무조건 받아들이기 보다는 스스로 판단하여 수용을 하거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문법체커에서 제공하는 피드백 중 (부정)관사, 전치사, 문장부호, 동사 수의 일치, 명사수의 일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을 토론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DALL-E2 활용 쓰기 활동에 대한 영어학습자들의 인식 조사 (A Pilot Study of English Learners' Perception on Writing Activities using AI-Based DALL-E2)

  • 윤택남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21-127
    • /
    • 2023
  • 본 예비연구의 목적은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도구인 DALL-E2를 활용하여 영어 작문 활동을 실시한 후 중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반응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15명의 중학교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3주간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ALL-E2 활용 영어 작문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자신감, 흥미 및 인공지능 기반 도구 활용 쓰기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인공지능 활용 학습이 영어 작문 및 전반적인 영어 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둘째, DALL-E2 활용 영어 작문 활동에 대한 소감문을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핵심 주제를 3가지(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특성)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영어 학습에 있어 인공지능 기반의 DALL-E2의 활용과 접목은 학습에 대한 새로운 흥미와 도전, 의지, 적극성을 높이며 궁극적으로는 영어표현력(productive skill) 향상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영어 말하기, 쓰기 학습자를 위한 문법 오류 검출 시스템 (Grammar Error Detection System for Learners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 서홍석;이성진;이진식;이종훈;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1년도 제2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36-139
    • /
    • 2011
  •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그에 대한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언어 교육의 기회를 늘리고 비용을 줄이기 위해 컴퓨터 기반의 다양한 기술들의 요구 역시 증가하고 개발되고 있다. 언어 능력 개발의 중요한 요소로서 문법 교육에 대한 컴퓨터 지원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법 오류 시뮬레이션을 통해 문법 오류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들 패턴과 사용자 입력의 패턴 매칭으로 생성된 자질 벡터로 기계 학습을 하여 문법성 확인을 했다. 문법성 확인 결과에 따라 오류 종류에 따른 상대 빈도를 고려하여 오류 종류를 분류했다. 또 말하기와 쓰기 작업의 서로 다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말하기 작업과 쓰기 작업에 대한 두 개의 다른 말뭉치가 학습에 이용 되었다.

  • PDF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쓰기활동 과업 분석: 장르, 텍스트 전개구조, 활동 유형, 진정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writing task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ocusing on genre, rhetorical structure, task types, and authenticity)

  • 최선희;유호정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4호
    • /
    • pp.267-29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tasks included in the newly develope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in the aspects of genre, rhetorical structure, task type, and authenticity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se task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Korean EFL students' writing skills. A total of nine textbook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every writing task in each textbook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various types of genres were incorporated in the tasks, but very few opportunities were provided for students to acquir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genres. In terms of rhetorical structure of text, narration, illustration, and transaction were required most, whereas not a single writing task asked students to use classification or cause and effect. Many of the writing tasks analyzed offered linguistic and/or content support through the use of models, which displays traces of the product-based approach to teaching writing. Lastly, most of the tasks lacked authenticity represented by explicit discussion of purpose and audience. Implications for L2 writing task development and writing instruction in the Korean EFL context are discussed.

  • PDF

형태에 초점을 맞춘 교수가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즈니스 영작문 교육을 위한 탐색 (The effects of focus-on-form instruction on EFL learners' English writing ability: An inquiry for teaching business English writing)

  • 김부자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1호
    • /
    • pp.77-98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ocus-on-form instruction is effective in promoting accuracy in writing and to make some suggestions regarding education in business English writing.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of which the participants were 29 college sophomores taking a course in business English, was made. The learners received instruction in the English nouns followed by modificatory phrases or clauses through the focus-on-form techniques, feedback and explicit expla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who received focus-on-form instruction improved accuracy in writing. Seco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the effects of focus-on-form instruction. Third, the high level learn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focus-on-form instruction than the low level ones. To promote accuracy in written business communic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irst, focus-on-form instruc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a content-based business English class. Second, repeated focus-on-form instruction is needed. Third,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focus-on-form instruction is given.

  • PDF

협동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효과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writing instruction using the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 in high schools)

  • 민찬규;김보경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4호
    • /
    • pp.185-210
    • /
    • 2006
  • This study has two purposes. First, it aims to suggest an appropriate approach to English writing education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a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It also aims to suggest what type of learner grouping, either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is appropriate by comparing the learners' writing abilities and the changes of their affective factors after being exposed to cooperative EFL writing instruction. Two homogeneous classes were selected and instructed to write in English for 11 weeks. One was composed of homogeneous small groups based on the students' writing scores, and the other was composed of heterogeneous small groups, again based on the students' writing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rovement between the two class types was quite different across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For example, although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homogeneous and the heterogeneous classes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learners in writing ability improvement, high-leve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as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lass participation correlated significantly to writing ability improvement. Cooperative learning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al approach to encourage learners' interest and increase their self-confidence; however, the resul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ers' affective domain between the homogeneous and the heterogeneous classes. Similarly, the learners' grouping preference was not affected by the grouping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