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어과 핵심역량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영어교육전공의 핵심역량중심 학습 프레임워크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Framework and Curriculum of Core Competency-Based Learning in English Education Major)

  • 김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59-468
    • /
    • 2021
  • 본 연구는 역량에 대한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분석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영어교육관련 교과역량과 핵심역량강화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핵심역량에 대한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와 Education 2030 프로젝트,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영어교육과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방법을 연구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영어교육과 학생들은 본인의 역량에 대한 관심이 많으나 어떠한 역량을 강화해야하는지 또는 전공과 연계하여 어떻게 강화해야 할지는 모르겠다는 학생들이 많았다. 또한 학생들은 핵심역량 중심의 전공 커리큘럼을 통한, 전공과 연계된 핵심역량 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국가적 요구를 반영한 영어교육전공의 커리큘럼 개발 방향과 커리큘럼, 교수법, 평가 방법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필요한 역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양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플립드러닝 기반 PBL 모형 중학교 영어 수업의 효과 (Effectiveness of PBL Based on Flipped Learning for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 원영미;박양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85-19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러닝 기반의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 모형을 활용하여 중학교 영어 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최근 들어서, 플립드러닝과 PBL을 결합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중고등학교 교과 수업에의 적용 연구는 아직 많지 않은 상황이며, 이에 본 연구의 시도는 이론적, 실제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수업 모형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구체화시켰고, 수업 개발은 일반적 설계 절차(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를 따랐으며,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으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영어 학업성취도 검사와 영어과 핵심역량 검사를 수업 처치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영어 학업성취도 변화는 대응표본 t 검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핵심역량과 성취도 검사 수행 수준(상위, 하위)이 사전-사후 점수 변화에 미치는 효과의 양상은 혼합모형 반복측정 분산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성취도와 핵심역량 모두 상승하였으며, 성취도 검사 하위 집단의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플립드러닝 기반 PBL 수업은 중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와 핵심역량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며, 특히,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인 수업 방법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3,4학년 영어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Grades 3 and 4 Based on the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 장나래;김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8
    • /
    • 2018
  •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제작된 초등학교 3,4학년 영어 교과서 8종의 문화 고정란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목표와 핵심역량에 부합하는 문화적인 내용들이 적절히 선정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해 Moran(2001)의 문화 유형 분류를 나금효(2005)가 재구성한 문화 내용 유형 분석표를 분류 기준으로 선정하여 산물, 관습, 관점, 공동체, 인물의 다섯 가지 범주에 따라 분석하고, 영어 교과서에 반영된 문화 내용 유형 분석을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목표와 핵심역량 달성에 보다 효과적인 문화교육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제작된 초등학교 3,4학년 영어 교과서는 타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의 생활방식, 행동유형 및 관습과 같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내용, 산물과 같은 가시적인 문화에 관한 내용,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보편적 문화 소재를 위주로 문화 내용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다양한 문화 학습 욕구를 반영하는 균형 잡힌 문화교육을 위해 초등학교 영어교과서의 문화고정란은 문화 소재 유형 측면에서 보다 다양하고 균형 있는 문화 내용을 소개하고 문화 내용 제시방식 및 학습활동도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능력과 자기관리역량, 공동체역량 및 지식정보처리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