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아 언어발달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7초

영아의 언어발달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ts)

  • 김민석;호운운;왕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57-465
    • /
    • 2019
  • 본 연구는 영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1차년도(2008년)부터 3차년도(2010년)까지 3개년도의 패널 데이터를 구성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참여 영아 2,150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한국아동패널에서 제공하는 K-ASQ 검사의 의사소통 점수를 활용하여 영아의 언어발달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영아의 언어발달 영향요인들을 모형에 투입하였으며, 가구 및 부모 특성에 주목하여 영아의 언어발달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하우스만 검정을 통해 패널의 개체 특성 오차항을 고정한 고정효과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영아의 인지발달 수준이 높아질수록,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이 많아질수록 영아의 언어발달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 및 부모 특성에 대한 결론 및 제언을 첨언하였다.

영아교사의 애착 및 영아의 몸짓(gesture)과 영아 언어발달 간의 관계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Attachment or Infant Gesture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 신애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21-1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 애착 및 영아의 몸짓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가정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 63곳에 재원 중인 18~24개월 영아와 그 담임교사 84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 애착은 영아의 언어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교사 애착 유형별로는 긍정적정서, 접촉추구, 자기희생적온정, 근접추구, 결속, 기대감 모두 수용언어,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보호는 수용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냉담만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 몸짓의 하위요인 중 지시적몸짓은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관습적몸짓과 표상적몸짓은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애착과 영아 몸짓이 영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체언어에 대해서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영아 언어 유형별로는 수용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표현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결속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 언어발달에는 영아의 몸짓보다 영아교사의 애착이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교사와 영아의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통해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아(18-24개월)의 언어발달능력 지표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Indicators of Language Development Ability in Infants 18-24 Months)

  • 황경숙;김화수;이지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843-848
    • /
    • 2023
  • 본 연구는 언어가 가장 많이 발달하는 18-24개월 시기의 영아의 발달에 대해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빠른 시기에 적절한 중재 설계를 촉진 시킬 수 있는 발달 평가의 새로운 규준 마련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18-24개월 영아의 언어발달 능력 지표를 알 수 있는 선별검사, 표준화된 검사도구 등의 하위 항목들을 구문/음운, 의미, 화용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문항들을 분류하고 5점 척도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18-24개월 영아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국가적으로 시행하는 영유아 건강검진에서 언어 지연이 있는 영아 선별에 낮은 민감도, 국내 검사도구들이 표준화 된지 최소 6년에서 많게는 10년 이상으로 또래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발달수준의 격차가 크다는 부모 또는 교사의 보고가 많은 실정이다. 연구 결과에서도 수용 및 표현 관련 설문 문항에서 '항상 가능하다.'와 '하기 시작했다'의 비율이 50~60% 이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빠른 시기에 세부적으로 적절한 중재 설계를 촉진 시킬 수 있는 발달 평가의 새로운 규준이 마련되어 발달 및 언어 지연이 있는 영아의 선별에 활용되기를 바란다.

만2세 영아의 음악경험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ic Experiences on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 Care Toddler)

  • 황인주
    • 아동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3-87
    • /
    • 2008
  •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s of music experiences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oddlers in the day care setting. Subjects were 44(23 experimental group; 21 control group) 29- to 42-month-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10 weeks of music activities, including musical sense, singing, listening, playing instruments, improvisation, finger plays, movement, simple games, word-sound music games and music routines. Language development was tested by the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Kim et al. 200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of 30- to 36-month-old and in the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f 36- to 42-month-old toddlers, respectively.

  • PDF

한국 아동의 언어발달

  • 배소영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8-105
    • /
    • 1996
  • 한 아이가 태어나서 말을 배우고 글을 읽고 쓰게 되기까지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성공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아동이 해부학적으로 정상적 뇌, 조음 관련 기관, 감각-운동기관을 가져야 하며. 사회적으로 언어적 자극속에 노출되어야 하고. 또 문제 해결이나 의사소통을 위해 말 또는 글이라는 도구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Fletcher 1973 ; Kent 1976 ; Kent 1984 ; Spreen et al. 1984 ; Vygotsky 1978). 언어 발달의 기간도 매우 길어 기본적 말의 틀이 3년에서 5년 정도 걸려 완성된 이후 본격적으로 성인언어에 가까운 문법이나 조음 능력을 가지는 데에는 또 여러 해가 더 필요하다(Bloom 1970 ; Bloom 1991 ; Bloom and Lahey 1978 ; Bruner 1983 ; Pinker 1984 ; Radford 1990). (중략)

  • PDF

어머니 애착수준 및 언어통제유형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ttachment Levels, Types of Verbal Control, an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 남효정;장경은
    • 아동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43-161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ttachment levels, types of verbal control, an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The selected participants comprised 224 infants, aged 24-35 months and their mothers (224) at 25 long day care centers located Goyang-si, Gimpo-si in Gyeonggi-do, Incheon and Seou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attachment levels, types of verbal control, an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Secondly, to assess the relative influences of two variables which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mothers and infants, including infants' age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were controlled in order to conduc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imperative-oriented verbal controls,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s, and contact seeking all influenced infants' overall language development.

어머니-영아간의 상호작용방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Mother-Infant Interaction Styles Associated with Infant Development)

  • 박성연;서소정
    • 아동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5-30
    • /
    • 2005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 mothers and their first-born infants from middle class families living in Seoul. Mother-infant interactions were filmed at 5 and 13 months of age during naturalistic play situations at home. Questionnaire data were also collected. Results revealed that both maternal didactic and social interactions decreased over the 5 to 13 month time period but (only for infants) object-oriented interaction increased over time. Infant object-oriented interaction at 13 months was predicted by cumulative effects of both mother's social stimulation at 5 months and infant social interaction at 13 months. Infant's social interaction at 13 months was predicted by infant's object-oriented interaction at 13 months. Infant language development was predicted by mother's didactic stimulation.

  • PDF

유아기 발달에 대한 생애 초기 가족 누적위험요인의 영향 - 가정학습환경을 매개로 - (The Effects of Early Cumulative Risk Factors on Children's Development at Age 3 - The Mediation of Home Learning Environment -)

  • 장영은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4호
    • /
    • pp.79-111
    • /
    • 2016
  • 본 연구는 영유아 시기에 경험하는 생애 초기 가족의 누적위험요인이 가정학습환경을 통해 유아의 언어 및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모델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만 3세 유아의 언어발달은 표현어휘력으로, 사회성 발달은 또래유능성으로 나타내었다. 한국아동패널(PSKC)의 2차년도와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1,725가족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링 기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만 1세 누적위험요인과 만 3세 누적위험요인 간 상관관계는 높아, 누적위험요인의 종단적 지속성을 시사하였다. 만 1세 누적위험요인은 만 3세 가정학습환경의 질적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정학습환경은 유아의 언어 및 사회성 발달 모두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하지만 만 1세 누적위험요인은 유아발달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만3세 누적위험요인은 유아의 언어발달을 직접 예측하였으나 사회성 발달 및 가정학습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만 1세 누적위험요인${\rightarrow}$가정학습환경${\rightarrow}$유아발달의 구조적 관계에서 가정학습환경의 매개적 역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종합하면, 영아기 가족 내 누적위험요인은 유아기 자녀의 발달을 돕는 가정학습환경 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유아 발달에 간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아기 자녀를 둔 위기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조기 중재 및 지원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유아의 가정환경과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언어발달의 역할 (The Role of Language Development in the Relation from Home Environment to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 장영은;성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18
    • /
    • 2015
  • 본 연구는 가정환경과 만 3세 유아의 언어발달, 그리고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즉, 유아의 가정환경이 바람직할 때 보다 나은 언어능력의 발달이 가능하며, 이는 어린이집 상황에서 보다 나은 긍정적 또래관계, 그리고 부정적 또래관계의 감소를 예측할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에 참여하고 있는 유아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 가정환경과 유아의 어휘능력은 긍정적인 또래관계와 부정적인 또래관계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유아 언어발달은 가정환경과 또래유능성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져 유아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언어발달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by Teachers' Types of Interaction during Reading of Picture Books)

  • 남규;이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57-276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depending on their teachers' types of interaction during reading of picture books. A pilot study identified teachers' types of interaction as instructional, non-immediate, and passive. Fifteen teachers recruited from 10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their 90 2-year-old toddl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achers read two picture books to a small group of toddlers each week for eight weeks. Data on the toddlers'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vocabulary, reading behavior, and book handling were collected and compared by their teachers' interaction type before and after teachers' 8-week reading of picture book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using the non-immediate interaction type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