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서지방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istricting the Growth Zone by Diameter Growth Pattern for Pinus densiflora in Kangwon Province (직경생장(直徑生長)패턴에 따른 강원도(江原道) 소나무의 생장권역(生長圈域) 구분(區分))

  • Song, Chul Chul;Byun, Woo Hyuk;Lee, Woo K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4 no.1
    • /
    • pp.71-76
    • /
    • 1995
  • This study on Pinus desiflora in Kangwon Province has been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classifying its growth area by geographical factors. To classify its growth area, the basic data which had were the measured values for annual ring width from cores were used. Individual variations in the measured values were removed through the standardization. Regional mean chronologies were estimated from the standardized values. The growth area was classified by the cluster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regional mean standardized ind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n that annual growth patterns to be clustered similar to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Kangwon Province. And the regional variations of annual growth patterns in the western part of Kangwon province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eastern part of Kangwon province.

  • PDF

A Study on the Traditional Houses in Young Seo District of Kangwon-Do - Focused on the Floor Plan Types - (강원도(江原道) 영서지방(嶺西地方) 민가(民家)에 관한 연구(硏究) - 평면유형(平面類型)을 중심(中心)으로 -)

  • Ryu, Seung-Yong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17
    • /
    • pp.345-35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types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Young Seo District of Kangwon-Do. In the light of this previous studies concerning Korean traditional houses the examin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on the house form in terms of the floor plan types.

  • PDF

정선화암동굴개발의 타당성 연구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23
    • /
    • pp.1-37
    • /
    • 1990
  • 2000년대를 맞이하게된 우리는 보다 더한 경제시장과 생활복지향상을 위한 욕구심이 더한층 고조되어가고 있는 이때 우리는 보다 효율적이고 보다 평형적인 지역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도록 전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사실상 국토의 개발은 국토공개의 다양화를 기하여 국토를 고도로 이용하므로써 국민생활의 균등적인 향상발전을 그 개발의 이념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여때까지 후진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던 강원도지역 그중에서도 영서지방으로 알려있는 정선, 평창, 영월지역의 지역사회개발이 요구되어 왔던 것이다.(중략)

  • PDF

A Conception for a Housing Development of Woll-Toon Cave in Sam-Cheock (삼척월둔굴의 개발구상)

  • 홍시환;김병우;김추윤;권동희;홍현철;홍충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0
    • /
    • pp.45-76
    • /
    • 1997
  • 이 단지는 대체로 세가지의 입지배경을 지니고있다고 보겠다. 즉 첫째는 강원도 등뼈 산지의 내부산간 오지에 입지하고 있어서 이른바 자연의 신비를 그대로 지니고 있는 내륙 유경지역에 입지하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속세를 떠난 대자연의 품속이라고 할 수 있는 오지에 입지하고 있어서 심산유경의 계곡을 찾는 기분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지리적인 입지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둘째, 동해안인 관동지방, 바닷가와 그리고 내륙오지에 해당하는 영서지방을 연결시켜주는 중간의 징검다리의 거점이 될 수 있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본다. 즉 동해안 삼척 동해시 나아가서는 관동연안해안지대에서 태백산 넘어 서쪽 정선땅 특히 최근에 국민관광지로 개발되고 있는 정선의 화암약수터와 화암동굴지대를 묶고 있는 국민관광 지역으로 넘어가는 바른 중간지점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셋째로,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내륙오지의 광산지역인 태백시지역 그리고 정선의 사북 고한읍 등의 광산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지리적 위치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중략)

  • PDF

Study on Improvement of Methods for Dividing Watershed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지역특성을 고려한 유역분할기법 수립 개선 연구)

  • Jung, Sang-Hwa;Kim, Kyu-Ho;Im, Dong-Kyun;Kang, Hy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33-1536
    • /
    • 2009
  • 기후변화에 따른 빈번한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해 지속적으로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점차 다양한 지역에서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과거 태풍 루사나 매미의 경우 도시유역에서 주요 피해가 발생하여 대규모 피해를 야기하였으나 2006년 발생한 태풍 에위니아의 경우 집중호우로 인한 배수문제, 산사태로 인한 토석류 발생과 이에 따른 도로 및 하천 유입으로 피해가 나타났다. 이러한 피해는 남해안 및 영남지방, 강원 영서지방에서 주로 발생한 것으로 과거 피해 유형과 차이가 난다. 기존 하천 중심의 치수대책만으로는 다양한 지역특성을 고려한 치수계획을 종합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한계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2001)는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에서 하도와 유역 시스템을 함께 고려하는 유역종합치수정책을 제안하였다. 홍수피해잠재능은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면 개념을 도입하여 공간적 비교가 가능하고, 단위구역의 치수특성 및 사회경제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된 지수(이승종, 2006)이며, 치수안전도 설정을 위한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제시된 개념으로 아직 이론적 기반이 미흡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수정된 개념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종합치수계획 등 국가 치수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중요한 개념인 홍수피해잠재능과 치수안전도의 치수계획 활용 사례를 조사하여 지역특성별로 유역분할기법을 조사 정리하였으며 국외 사례를 분석하여 유역분할기법의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유역단위 맞춤형 치수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 experimental study on the depth of scour to formula estimated of the pattern pier (원형 교각의 세굴심 산정식 개발에 대한 실험적 연구)

  • Park, Park;Lee, Yeong-Seop;Lee, Jung-Yung;Baek, Kyung-Won;Choi, Han-Kuy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98-702
    • /
    • 2009
  • 본 연구는 강원도 영서지방의 지방하천을 중심으로 수리특성 및 교각제원 등을 조사하여 기존 세굴심 산정식의 산정 값과 모형실험 산정 값을 비교 검토 하였으며, 또한 교각의 세굴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하여 통계학적 방법인 민감도 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 기존 세굴심 산정식의 경우 전체 적으로 교각 크기가 커지면서 산정 값과 모형실험 산정 값간의 편차가 $1.09%{\sim}63.98%$ 를 보이고 있어, 강원도 하천의 경우 기존 세굴심 산정식을 적용하여 산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기존 세굴심 산정식 중 교각크기만으로 형성된 산정식의 경우 세굴심산정이 간편하기는 하나, 수리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산정식의 경우 민감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모형실험 산정 값과 세굴심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 교각크기 64%, 수심 36% 순으로 세굴심 발생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모형실험의 세굴심 값을 토대로 회귀분석을 통하여 강원도 하천에 적합한 세굴심 산정식을 제안 하였다.

  • PDF

Analysis of Landscape Planting in Gangwon-do (강원도 지역의 조경식물의 식재현황 분석)

  • Lee, Jae-Yoon;Park, Jun-Seok;Kim, Hea-Ran;Kim, Dong-Yeob;Noh, Hee-Sun;Lee, Ki-Eu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2
    • /
    • pp.113-126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planting and use of landscape plants in Gangwon-do. The designated plants by schools and cities in Gangwon-do were surveyed and then compared with the planted trees on streets, public parks, schools, etc. in 2009. There were 45 tree species and 43 flower species designated as school trees and school flowers at 632 schools in Gangwon-do. The majority of school tree species were Juniperus chinensis, Pinus densiflora, Abies holophylla, Ginkgo biloba, Pinus koraiensis, Taxus cuspidata, Zelkova serrata, and Pinus thunbergii.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was 35:10. The majority of school flower species Rosa centifolia, Forsythia koreana, Zinnia elegans, Rhododendron mucronulatum, Chrysanthemum morifolium, and Rosa rugosa.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the exotic was 22:21. There were 12 flower species and 7 tree species designated as city trees and city flowers in 18 cities and guns. The high frequency flower species wer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orsythia koreana, Magnolia sieboldii, and Prunus armeniaca var. ansu. The high frequency tree species were Ginkgo biloba, Pinus koraiensis, and Taxus cuspidata. There were 87 woody landscape tree species planted, and a total of 619,835 landscape plants were planted in Youngseo region (western part of Gangwon-do) in 2009.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species was 56:31. The majority of landscape trees planted were Pinus densiflora, Prunus yedoensis, Prunus sargentii, Comus officinalis, Pyrus pyrifoli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Pinus koraiensis, Taxus cuspidata, Hibiscus syriacus, Forsythia koreana, Zellkova serrata, Acer triflorum, Rhododendron obutusum, and Ligustrum obtusifolium A in 2009.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the exotic was 64:36. There were 77 woody landscape tree species planted, and a total of 914,668 landscape plants were planted in Youngdong region (eastern part of Gangwon-do) in 2009.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was 52:25. The major landscape trees planted were Pinus thunbergii, Rhododendron lateritium, Rhododendron schlippenenbachii, Hibiscus syriacus, Prunus yedoensis, Pinus densiflora, Syringa dilatat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Rosa rugosa, Prunus sargentii, Rosa centifolia, Juniperus chinensis, Euonymus japonica, Forsythia koreana, Chionanthus retusus, Acer palmatum, and Chaenomeles sinen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dscape plants need to be diverse in species in each region of Gangwon-do. Selection of suitable plants for each region and the use of native species need to be emphas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