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국성

Search Result 1,22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Overreaction Hypothesis and Aftermarket Performance of the U.K. IPOS (과잉반응가설과 영국 최초공모주의 장기성과 분석)

  • Lee, Ki-Hwa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2 no.1
    • /
    • pp.187-210
    • /
    • 1995
  • 본고(本槁)에서는 영국기업의 최초공모주를 이용하여 최초공모주(最初公募株) 시장(市場)에 나타나는 3가지 이례현상(異例現象) 즉 단기(短期)에 있어 최초공모주의 저가발행현상(低價發行現象), 장기(長期)에 있어 최초공모주의 저성과현상(低成果現象) 그리고 hot issue market 존재를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주로 미국(美國) 발행시장(發行市場)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는바, 시장의 효율성 측면에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영국(英國)의 증권시장(證券市場)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조사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뿐만아니라 이러한 현상이 다른 시장에서도 통상 나타나는 현상인지를 밝히는데도 의의가 있다고 보여진다. 영국(英國)의 최초공모주(最初公募株) 시장(市場)에서의 3가지 이례현상(異例現象)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거래 첫날의 시장조정수익률(市場調整收益率)을 계산하여 신규공모주가 시장가격에 비해 할인(割引)되어 발행되는지를 조사한 결과 시장가격에 비해 12.88% 정도 할인발행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단기의 저가발행현상(低價發行現象)과는 달리 신규공모주가 시장에 상장된지 3년이 경과한 후 추정된 장기투자수익률(長期投資收益率)은 12.05%의 부(負)의 누적초과수익률(累積超過收益率)을 시현하고 있는데 이는 과잉반응가설(過剩反應假說)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끝으로 1987년의 최초공모주가 다른 연도에 비해 다섯배 정도로 저가발행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영국발행시장(英國發行市場)에도 hot issue market 현상이 나타남을 분석하고 있다.

  • PDF

The implicit meaning of British fashion into English culture identity (영국의 문화 정체성이 반영된 영국패션의 내재적 특징)

  • Jeong, Hye Yeon;Seo, Seung Hee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21 no.2
    • /
    • pp.234-245
    • /
    • 2013
  • The modern fashion was developed the basis on the western dress structure and its historical flow was continued until today. Particularly, the Britain has coexised the unique cultural identity in the aristocratic high culture and rebellious tendency of the subculture so it is necessary to the consideration about whole culture in order to grasp the British fashion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hown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the culture identity research of one country through the background of this formation of culture and process high culture and subculture study by analysis the culture identity in the today's Britain.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it draws whether the feature of the British fashion shows up as any aspect in this culture identity. The range of this study subdivides and considers with the imperialism, industrial revolution, aristocratism, union nations, and geographical aspect as the island country into the economy, politics, society, and natural characteristic about the Englishness and the notion of British culture then it draws the dichotomy of the British fashion through the culture identity formed in this society cultural background with both sides in the high culture and subculture aspect.

An Inquiry Over Characteristics of British Acoustics in the Nineteenth Century: Focusing on Its Interaction with Music (19세기 영국 음향학의 특성 탐구: 음악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Ku, Ja-Hy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2
    • /
    • pp.72-77
    • /
    • 2006
  • British acoustics in the nineteenth century is important as a foundation for modern acoustics in the history of acoustics. The Purpose and objective of acoustics was different from those in modern age. and musical motivation was distinguished among them.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various aspects of interaction between music and acoustics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by examining related materials in both published and unpublished forms. Then music Provided acoustics with instruments, subjects, and personnel, and acoustics did much as musical science in helping to improve and develop musical scales and enhancing the exactness of measurement of absolute pitches. Music played an essential role in developing acoustics to a modern discipline in Europe, especially in Britain. all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iver Basin Management: the Case Study of England and Wales and France (유역물관리체제 수립과 운영: 영국과 프랑스 사례연구와 시사점)

  • Lee,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27
    • /
    • 2019
  • 본 연구는 2019년 물관리기본법 시행과 함께 추진하는 유역물관리체제 수립과 운영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유역물관리는 기존의 행정체계 중심으로 추진된 물관리에서 드러난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물순환에 기초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자연 친화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통합물관리의 기초이다. 유역물관리제도를 적절하게 수립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한국보다 앞서 유역물관리제도를 채택하고 운영해온 경험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장단점을 학습하여 한국 현실에 맞게 응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역물관리제도를 성공적으로 수립하고 운영해 온 영국(잉글랜드 및 웨일스)과 프랑스 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영국(잉글랜드 및 웨일스)은 1973년 유역관리청을 10개 대유역에 설치하여 유역물관리체제를 수립하고 운영하였지만 1970년대 및 1980년대 경제난을 겪으면서 관련 투자가 줄어들고 하천의 수질 악화가 지속하였으며 유역관리청과 지방정부와의 긴밀한 협조 부재로 관리의 어려움이 증가하였다. 결국, 1989년 10개의 유역관리청을 상하수도 서비스회사로 전환하고 물서비스감시청, 음용수감시국, 환경청 등의 규제기관을 수립하여 규제와 서비스를 분리한 독특한 유역물관리체제를 수립하였다. 영국의 유역물관리체제는 2000년 유럽연합물관리지침의 도입으로 10개 유역을 11개의 유역으로 재편하고 국가소통위원회, 유역소통위원회 14개, 유역파트너쉽 100개 등의 기구를 설치하여 유역거버넌스를 강화하였다. 프랑스는 1964년 새로운 물법 도입을 통해 전국을 6개 대유역으로 나누고 각 유역에 유역관리청과 유역위원회를 설치하여 본격적인 유역물관리제도를 수립하였다. 초기에는 유역관리 조직과 지방정부 간의 알력이 상당하여 수도요금에 자동부과되는 약 19%에 달하는 물세에 대한 거부감이 상당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물세가 유역관리청의 관리로 물관리 사업을 위한 펀드로 조성되고 물관리 사업 시행 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실효성이 입증되면서 점차 유역관리제도가 정착할 수 있게 되었다. 프랑스는 2000년 유럽연합물관리지침의 도입으로 기존의 6개 대유역으로 관리하던 것을 13개 유역으로 재편성하였고 유역감독관 제도를 신설하여 중앙의 감독을 강화하였으며 유역관리청과 유역위원회는 더욱 강화된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물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 사례는 한국의 유역물관리제도 수립과 운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2019년 시행을 앞둔 유역물관리위원회의 구성, 운영 및 역할 등에 대해서는 큰 범위에서 합의를 이뤄야 하겠지만 안정적인 운영과 사업 시행을 위해서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인내심과 여유를 갖고 임하되 필요한 원칙은 면밀한 검토와 합의를 통해 세워야 할 것이다. 둘째, 거버넌스의 중요성이다. 영국 사례와 같이 이해당사자 간의 대화와 타협은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아닌 유역, 지방, 도시 등에서의 이해당사자들이 함께 이룩해야 한다. 셋째, 유역관리조직을 위한 건전한 재정확보이다. 프랑스의 예와 같이 유역물관리 조직의 독립성은 재정적 독립이 근본이 되어야 하고 이것은 독립재정을 확보하여 중앙 혹은 기타 유역/지방 조직의 간섭을 피해야 한다.

  • PDF

Structures and Policies of British Geographic Information Dissemination for Korea National GIS Project (국가지리정보사업 추진을 위한 영국지리정보 유통구조 및 정책 연구 - 영국지리정보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 Kim, Bok-Hwan;Kim, Yo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4
    • /
    • pp.22-33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geographic information policies and strategies of British government and suggest effective policies for Korea National GIS project GIS that has been implemented geographic information infrastructures into public sectors and private markets for the last ten years. To obtain the research aim, this paper reviews the main factors of the Britain GIS project such as distribution structure and process of GI markets, government policies and strategies that are led by Ordnance Survey, most leading mapping agency in the UK. In conclusion, some issues have been explored with reference to the experiences of the Britain GIS projects. The first of these is the nature of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ncerns the notion of the circulation policies of spatial data, and the last proposes Korea GIS policies and strategies for successful geographic information and spatial data implementati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of the Britain GIS development indicate that a shift began to take place from central government coordinate toward more extensive utilization of private and commercial sectors. This reflects bo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geospatial data circulation in all levels of GIS stakeholders. Finally these discussions are particularly to be the issues where multi-agency collaboration of Korea government is concerned and can take the form of joint ventures by consortiums of both involving data producers and data users in order to increase commercial participation for value-added geospatial items, and to encourage both research and development sectors with low or free price policies.

  • PDF

Part-time Work in the UK: From Married Women's Work to Universal Flexible Work? (영국의 시간제 근로: 기혼 여성의 일에서 보편적 유연근로로의 변화?)

  • Woo, Myungsook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7 no.1
    • /
    • pp.325-350
    • /
    • 2011
  • This article examines part-time work in the UK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ontexts. Part-time jobs developed early due to the UK's liberal market institution and low level of public support for female employment. A large proportion of the employed women (about 40 percent) work part-time. Part-time work has been largely for married women. The expansion of part-time work in the UK was primarily market-driven and led by employers. Married women have worked part-time work primarily to accommodate their family responsibilitie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labor market regulation in the UK since 1997. The Labor government legislated the Part-time Workers Regluations in 2000 to protect part-time workers. The government has also changed and newly implemented various laws and policies for work-life balance. There has been a real progres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part-time work overall. Nevertheless, we have not seen qualitatively different results in terms of female employment patterns and the qualify of part-time work so far. It has been largely constrained by the government's liberal orienation and voluntarism of labor relations in the UK.

A Study on Partnerships in the Development of Parks in UK (영국(英國) 공원개발에 있어서의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

  • Kim, Yun-Geum;Roe, Maggi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5 no.2 s.121
    • /
    • pp.1-12
    • /
    • 2007
  • 근래 한국에서도 대표적 공공공간인 공원의 조성 및 관리와 관련하여 파트너십에 대한 관심이 일고 있다. 주민들이 만들어가는 공원, 다양한 힘의 역학구조 속에서 공공성 유지, 지속 가능한 사회 구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후 한국에서의 실천과 제도정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영국에서는 어떻게 정책적으로 파트너쉽을 유도하는지 그리고 커뮤니티는 이를 어떻게 수용하여 자신들의 사례를 만들어 가는가를 살펴보았다. 사례연구에 있어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택했으며, 분석보다는 사례가 갖는 내러티브(narratives)를 다층적으로 서술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것은 거대 내러티브가 사라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일반적 원칙보다는 개별 사례의 구체성을 밝히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는 일부 사회학 연구자들의 견해를 수용한 것이다. 더욱이, 주민참여 관련 사례는 지역특성과 주민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방법이 유용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방식은 자못 추상적 이해에 그칠 외국 사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적합할 것이다. 연구결과에 있어, 먼저 영국에서는 지방의제21(LA21)이 지방정부의 서비스에 대한 근본적 태도와 체계를 바꾸는데 기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례로, 뉴캐슬(Newcastle upon Tyne)시는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주민들의 참여를 촉진하고 도와주는 방향으로 역할을 전환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양한 자금지원체계는 직접적으로 파트너십을 독려하고 있었다. 영국 뉴캐슬(Newcastle upon Tyne) 웨이브리 파크(Waverley Park) 사례를 살펴본 바에 따르면, 파트너십에 대한 지방정부의 태도가 성공적 파트너십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사례에서는 프렌즈그룹 이외, 커뮤니티 외부의 비영리 단체가 참여하지 않았는데, 이는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 주민들의 참여를 촉구하고 도왔기 때문이다. 이외, 커뮤니티의 구성원과 공무원들의 개인적 역할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앙정부는 단지 자금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사례에서 축적한 정보를 커뮤니티에 지원하고 전 과정을 모니터링 하고 있었는데, 간접적 참여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본 연구는 영국에서의 파트너십과 관련된 제도, 그리고 제도가 구체적 현실에서 작동되면서 나타나는 특수성을 살펴보는 데 주력했다. 그런데 사례 연구에서 발견한 특수성을 한국에서의 시사점으로 명시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시사점은, 제도적 차원에서 한국과 영국을 비교하여 간략하게 제시했다. 첫째, 지방의제 21의 수용 방식이다. 한국의 지방정부 또한 지방의제 21을 실천하기 위해 협의회 등을 설치하였지만 행정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영국과는 차이점이 있다. 둘째, 공원과 녹지에 대한 지원금이 제공될 때, 지역주민의 동의를 요구하는 것은 커뮤니티의 참여를 독려하고 주인의식을 갖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도 시사점이 될 수 있다. 한국에서도 녹색복권 등 세원 이외의 자금이 공원 및 녹지 공간에 투입되고 있으나 주민들이 직접 이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지는 않다. 즉, 커뮤니티의 참여와 관련되어 쓰이고 있지는 않다. 세 번째는, 커뮤니티와 공원과의 관계로 공원 설계와 관리에 있어서 영국에서는 커뮤니티가 직접 고객(client)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다. 한국에서도 계획 및 설계 과정에 주민을 참여시키는 경우가 있으나 의견청취 정도에 머물고 있고, 몇몇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시민들이 직접 공원 관리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으나 운동(movement)차원에 머물고 있을 뿐 이를 위한 제도적, 법적 토대가 구축되어 있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