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엽수

검색결과 636건 처리시간 0.023초

잔존엽수가 수경재배 잎 상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mained Leaf Number on the Growth and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Leaf Lettuce)

  • 지성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3-67
    • /
    • 2005
  • 수경상추의 잔존엽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품질 다수확 재배를 위한 잔존엽수의 적정범위를 구명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잔존엽수가 많을수록 수확되는 잎의 평균엽장은 길어져 잔존엽수와 엽장 간에는 $R^2=0.96$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잔존엽수와 총 엽생체중 간에는 높은 상관을 나타냈는데, 엽생체중은 잔존엽수 10매까지는 많을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잔존엽수 12매와 16매에서는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잔존엽수가 식물체 조직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뿌리보다는 줄기에서 현저히 나타났다 특히 줄기길이는 잔존엽수가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어서 잔존엽수 2매와 16매 간에는 6배의 차이를 보였다. 최대 근장은 잔존엽수 2-4매 처리에서 약간 짧았을 뿐 6-16매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생장점 부위 어린잎의 색깔은 잔존엽수가 감소할수록 옅어졌는데, 특히 2와 4매 처리에서는 잎 전체가 황백화 되었다. 따라서, 수확한 잎의 평균엽장이 14-20cm인 것이 외관적 품질이 우수하다고 추정할 때 잔존엽수를 4-6매 두어 관리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국재래생강(韓國在來生薑)에 있어서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유전변이(遺傳變異), 상관(相關) 및 경로분석(經路分析) (Genetic Variability,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for Yield Components in Korea Domestic Ginger)

  • 장원석;김정선;최재을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6-10
    • /
    • 1997
  • 초장, 엽수, 경수, 경직경, 엽장, 엽폭, 근경생산량을 평가하기위하여 수집 한 94 clone은 경수와 근경생산량에서 유용한 변이를 보여주었다. 초장, 엽수, 엽장, 엽폭, 경직경은 약간의 변이가 관찰되었다. 작물학적 특성간의 단순상관은 근경생산량과 정의 상관을 보여주었고 엽수, 초장, 경직경은 근경생산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경로계수분석을 통하여 경수, 엽수, 경직경순으로 근경생산에 직접효과를 준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엽수를 통한 초장의 간접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엽수를 통한 엽장, 엽폭과 경직경을 통한 초장, 엽장, 엽폭에서도 간접효과가 관찰되었다. 선발의 관점에서 볼 때, 초장, 엽수, 경수와 같은 특성들은 좋은 유전형을 선발하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 PDF

딸기 '설향' 촉성 재배 시 동절기 엽수 관리 방법이 수량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f Management during Winter Season on the Yield and Soluble Solid Contents of Fruits in Forcing Cultivation of Strawberry 'Seolhyang')

  • 김대영;김승유;이선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3-287
    • /
    • 2016
  • 동절기 엽수 관리는 딸기 재배 농가마다 상이한데 촉성 작형으로 '설향'을 토경 재배할 때 동절기 엽수 조절이 딸기 수량 및 과실 당도에 미치는 영향을 2작기(2013-2014년 및 2014-2015년)에 걸쳐 검토하였다. 12월 상순에서 2월 하순 사이에 엽수를 성엽을 기준으로 6매 및 9매를 남기고 주기적으로 적엽하거나 노화되어 황화된 엽만 제거한 무적엽 처리구를 두어 실험하였다. 2014-2015년 작기에서 엽수를 6매 및 9매를 남기고 적엽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무적엽 처리구에서 2월 하순까지의 조기 상품과 수량 및 상품과 총수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동절기 엽수 조절에 따라 1-3월 사이에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무적엽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수확 전기간 평균 $12^{\circ}Brix$ 내외로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부족한 일조량과 단일 조건으로 충분한 동화산물의 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노화엽과 이병엽을 제외하고 최소한으로 적엽하여 관리하는 것이 딸기 과실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을 판단된다.

지역 및 재식거리가 곰취 '쌈마니'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Region and Distance on the Growth and Yield of Gomchwi 'Sammany' Variety)

  • 서종택;유동림;김기덕;이종남;홍미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6-76
    • /
    • 2018
  • 최근 육성된 곰취 신품종 '쌈마니'의 고랭지와 평난지 다수확 재배를 위한 적정 재식거리를 구명하고 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배지역은 표고가 해발 750 m인 고랭지와 해발 20 m인 평난지에서 하였으며, 재식거리는 $20{\times}20$, $20{\times}30$, $30{\times}30$, $35{\times}40$, $40{\times}40cm$ 등 5처리를 하고 난괴법 3반복으로 정식하고 노지에서 35% 차광재배를 하였다. 1년차 '쌈마니' 품종의 생육은 평난지보다 고랭지에서 컸으나 엽수는 고랭지보다는 평난지가 많게 나타났고, 재식거리간에는 $40{\times}40cm$구가 가장 많았고 재식거리가 넓을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주당 엽중은 평난지보다 고랭지가 더 높게 나타났다. 10a당 엽수는 고랭지보다 평난지가 많았으며, 재식거리가 좁을수록 많은 경향을 보였고, 평난지 $20{\times}20cm$ 재식구에서 543.5천매로 가장 많았다. 수량은 평난지보다 고랭지가 약간 많은 편이었으며 $20{\times}20cm$ 재식구에서 2,983 kg/10a로 가장 많았다. 2년차에도 생육은 고랭지가 컸으며 엽수와 엽중에서도 고랭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량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재식거리간에는 2지역 모두 재식거리가 좁은 $20{\times}20cm$ 재식구에서 높았는데 평난지는 3,369 kg/10a, 고랭지는 7,257 kg/10a로 나타났다. 3년차의 생육은 고랭지가 평난지보다 약간 좋은 편이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경직경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주당 엽수와 엽중에 있어서는 고랭지보다는 평난지에서 많았으며 재식거리간에는 재식거리가 넓을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10a당 엽수와 수량을 보면 역시 고랭지보다 평난지가 많았으며 재식거리간에는 재식거리가 좁을수록 수량성이 높아 평난지 $20{\times}20cm$ 재식구에서 6,051 kg/10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년간의 수량 변화를 보면 평난지는 3년차까지 계속 높아지나 고랭지에서는 2년차가 가장 많고 3년차에는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식거리 간에는 2지역 모두 재식거리가 좁을수록 수량이 많고 잎의 크기는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 PDF

토천궁(土川芎)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and Yield of Ligusticum chuanxiong Hort.)

  • 김충국;임대준;유홍섭;이승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6-31
    • /
    • 1994
  • 토천궁(土川芎)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여 재배기술개선(栽培技術改善)을 위한 자료(資料)로 이용(利用)하고자 시험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株當)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는 밀식(密植)할 수록 감소되었지만 단위면적당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는 증가되었다. 2. 경장(莖長)은 밀식(密植)할 수록 커졌으나 $50{\times}10cm$에서는 약간 작아졌으며 경태(莖太)는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 큰 차이가 없었고 지표면에서 1차분지(分枝)까지의 높이는 밀식(密植)할 수록 높아졌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 생육특성(生育特性)은 $m^2$당 경수(莖數)가 많으면 주당(株當) 엽수(葉數)와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가 적어지고, $m^2$당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가 많아지면 지표면에 서의 1차분지착생(分枝着生)높이가 높아졌다. 4. 10a당 근경수양(根莖收量)은 주당(株當) 경수(莖數)와 엽수(葉數)와는 유의적인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으며, $m^2$당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와는 유의적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다. 5. 개체당(個體當) 근경중(根莖重)과 세근중(細根重)은 밀식(密植)할 수록 작아졌으며 10a당 근경(根莖)과 세근(細根)의 수양(收量)은 오히려 밀식(密植)할 수록 증가되었다.

  • PDF

교호적 단일/장일 처리에 대한 국화의 개화반응 (Flowering Responses to Sequential Short Day/Long Day Exposure in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a Tzvelev))

  • 이병주;원미경;이동희;신동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60-563
    • /
    • 2001
  • 교호적인 단일과 장일을 처리하여 국화의 화아분화 개시와 발달에 필요한 최소 단일소요일수를 결정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6시간의 계속 장일과 비교한 결과 국화 '엔비'는 2일간의 단일, '레이디 타임'은 4일간의 단일처리에 의해 화아발달의 단계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2-4일 간의 단일로도 화아분화 개시를 일으키는 충분한 효과가 있었다. 교호적인 단일처리일수를 늘릴수록 최종엽수는 감소하였고, 화아발달의 단계는 증가하였다. 이것은 단일에 대한 광주기적인 반응이 양적인 것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일 6주를 처리한 국화의 경우 그 이후의 광조건이 단일 또는 장일인가에 관계없이 모두 정상적인 개화가 가능하였다. 장일엽수(LDLN)는 '엔비' 38.0, '레이디 타임' 45.4로 품종 간의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냈다.

  • PDF

담배 약배양에 의한 반수체배가계통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유전력, 유전상관, 경로계수를 중심으로 - (Heritabilities, Genetic Correlations and Path-coefficient Analysis of Some Economic Characters among Dihaploids from Anther Cultured (Nicotiana tabaccum L.))

  • 진정의;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7-93
    • /
    • 1982
  • 담배 황색종 품종인 SC72와 Hicks를 교배하여 그 $F_1$잡종식물의 약으로부터 유기한 반수체식물을 배가시켜 얻은 30계통의 10개 양적형질에 대한 변이, 유전력, 유전상관 및 경로계수의 분석에 의하여 각형질들의 유전현상을 본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배친간 각 형질의 변이폭은 1.5~37.8%인데 비하여 반수체배가계통간에는 19.6%~100.1%로 현저히 크게 나타났고 평균치에 있어서는 교배친에 비하여 반수체배가계통들은 nicotine, 수확엽수 및 엽장폭비가 증가하는 경향이나 그외 특성들은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2. 유전력은 개화일수 및 수확엽수는 높게, reducing sugar, kg당 가격 및 수량은 낮게, 그외 형질들은 중간치를 나타내었다. 3. 유전상관의 값은 표현형상관보다 그 값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수량은 kg당 가격, 엽폭, 수확엽수 및 reducing sugar와는 정의 상관이었고, nicotine은 엽장폭비를 제외한 타형질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수량과 각형질간의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수확엽수와 엽폭이 수량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컸으며, 간접효과는 개화일수와 초장이 크게 나타났다.

  • PDF

벼 파종기에 따른 출수기 및 최종 엽수 변화와 출엽 모델에 의한 출수기 예측 (Heading date and final Leaf Number as Affected by Sowing Date and Prediction of Heading Date Based on Leaf Appearance Model in Rice)

  • 이충근;이변우;신진철;윤영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95-201
    • /
    • 2001
  • 본 연구는 광안벼를 공시하여 지연일장의 인공기상실(21$^{\circ}C$ 및 24$^{\circ}C$)과 포장 조건에서 파종기(최초 파종 일 4월25일, 최종 파종일 6월 5일) 이동에 따른 온도와 일장 변화가 출엽 및 출수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일장에 따른 최종엽수 추정모델을 설정하였으며, 이 모델과 온도에 따른 출엽속도 모델을 결합하여 출수기 예측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출수기 추정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1. 포장에서는 4월 25일 이후 파종기가 늦을수록 생육기간 중 평균기온은 높아진 반면, 포장과 인공기상실 양 조건에서 일장감응기간(6엽기부터 유수분화기)중의 평균일장은 짧아졌다. 이에 따라 일장만 관여한 인공기상실에 비해 온도와 일장이 함께 관여한 포장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출수소요일수 단축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2. 일장감응기간의 일장이 길어짐에 따라 최종엽수(FNL)가 증가하였으며, 이 관계는 다음과 같은 Rational 함수로 잘 표현이 되었고($R^2$=0.98),이를 광안벼의 최종엽수 추정모델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D는 일장이며, a,b,c는 상수로서 각각 14.694, -0.992, -0.068로 추정되었다. 3.온도에 따른 출엽속도 모델과 일장에 따른 최종엽수 모델로 구성된 출수기 예측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모델 설정에 이용되지 않은 포장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추정된 출수기는 예측오차가 1-2일로 추정 정확도가 높았다.

  • PDF

페튜니아 일대 잡종에서 덩굴성 관련형질의 상호관계 및 조합능력 (Correlation and Combining Ability of Plant Spreading Chracteristics in F1 Hybrids by Diallel Cross in Petunia hybrida)

  • 송천영
    • 화훼연구
    • /
    • 제17권3호
    • /
    • pp.179-184
    • /
    • 2009
  • 페튜니아 5개 계통을 이면교배한 $F_1$ 10개 조합 및 양친에 대한 성 관련 형질인 초장, 초폭, 줄기길이, 줄기수, 절간장, 엽수 및 개회수 등의 형질에 대하여 상호관계 및 조합능력을 분석하였다. 초장은 초폭, 절간장 및 개회수 등의 형질들과, 엽수는 초폭, 줄기수 및 개회수의 형질들과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특히 초폭과 절간장과의 사이에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조합능력(GCA)은 초장, 초폭, 줄기길이, 절간장, 줄기수, 엽수 및 개화수 등 모든 조사 형질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특수조합능력(SCA) 초폭, 줄기수, 엽수 및 개화수 등의 형질에서 유의성이 있었고, 일반조합능력효과가 특수조합능력효과보다 크게 작용하였다. 모본의 일반조합능력검정에서 D계통은 초 장, 초폭, 줄기길이, 줄기수, 엽수 및 개회수의 증가를 위해서, I계통은 초폭, 줄기길이 절간장에 대하여 일반 조합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조합능력 검정에서 초폭 증가에 뚜렷한 유의성을 보인 조합은 $D{\times}I$, $F{\times}I$$G{\times}I$조합이었고, 초폭, 절간장 및 개회수를 동시에 증가시키는데 유의성을 보인 조합은 $G{\times}I$조합이었다. 광의의 유전력은 7가지 형질 모두 크게 나타났고, 초폭과 줄기길이 및 절간장은 협의의 유전력도 높게 나타났다.

가는잎향유의 분화 재배를 위한 몇 가지 처리 (Several Treatments of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for Pot Cultivation)

  • 이상인;연수호;이승연;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5-85
    • /
    • 2019
  • 가는잎향유[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는 꽃이 원줄기와 가지 끝에 조밀하고 아름답게 달리며, 전초에 함유된 정유성분의 향이 우수하여 관상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상소재로 이용가능한 가는잎향유의 분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2018년 7월 2일에 유묘(4월 3일~5월 31일 육묘)를 포트에 정식하여 10월 15일까지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200구 트레이에 셀당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여 이용하였다. 기비처리는 싱싱코트를 0, 10 및 20알로 처리하였고, 추비처리는 정식 후 4주 간격으로 hyponex (4-6-6)를 0, 1000 및 $2000mg{\cdot}L-1$로 3회 엽면시비 하였다. 차광정도 실험은 0, 55 및 75%로 광량을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왜화제는 diniconazole과 daminozide를 각 0, 1000 및 $2000mg{\cdot}L-1$로 정식 후 4주차에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비와 추비 처리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생육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절간장은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억제되었으며, 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측지수 및 엽수는 기비 처리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으며, 추비는 측지수와 엽수가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한편, 기비와 추비 처리는 개화율을 비교적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차광정도가 증가할수록 초장, 절간장, 경직경, 화서수, 화서장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무차광과 차광처리 간 측지수와 엽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왜화제 처리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절간장을 감소시켰다. Daminozide 처리시 측지수와 엽수는 무처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지상부의 생체중은 엽수와 측지수에 비례하여 무거워지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2000mg{\cdot}L-1$ 농도 처리시 개화율이 100%에 도달하였다. Diniconazole 처리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가는잎향유를 분화재배를 하기 위해서는 기비와 추비는 처리하지 않고, 무차광 조건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왜화제는 daminozide $2000mg{\cdot}L-1$로 처리하는 것이 측지수, 엽수 및 개화율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 분화 재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