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엽생장

검색결과 738건 처리시간 0.034초

단일처리전 장일처리 기간이 온실재배 스프레이 절화국의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 (Long-Day Period Before Short-Day Treatment Affects the Vegetative Growth of Greenhouse-Grown Cut Chrysanthemum cv, Reagan Improved)

  • 조경철;이정현;한태호;정순주;백철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5-216
    • /
    • 2002
  • 본 실험은 정식 후 단일처리전 장일처리 기간에 따른 온실재배 스프레이 절화국 (cv. Reagan Improved)의 생육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네덜란드 Wageningen 대학의 유리온실 실험포에서 수행하였다. 정식에서 개화기까지 3주 장일처리구에서는 84일이었고, 2주 처리구에서는 77일, 1주 처리구에서는 70일,단일처리 후에 최종수확일까지는 63일이 소요되었다. 정식 후 초장 생장량은 3주 장일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1주 장일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정식 후 최종 엽수, 엽면적 확보량 및 엽생체중과 총식물생체중은 3주 장일처리구에서 높고, 1주 장일처리구에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단일처리 후 절대생장율에 있어서 엽전개속도와 초장생장속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동일한 반응을 보였다. 최종건물생산량 (g.m$^{-2}$ )은 3주 장일처리구에서 높고, 1주 장일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장과 생체중은 장일 조건이 길수록 높게 나타났으며,누적 건물중도 3주 장일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파종기 이동에 따른 Silage 옥수수의 생장해석 (Growth Analysis of Silage Corn in Response to Seeding Time)

  • 강정훈;이호진;박병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2-219
    • /
    • 1985
  • 파종기(播種期) 이동(移動)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장반응(生長反應)을 알아 보고자 1980년(年) 4월(月) 25일(日)부터 6월(月) 24일(日)까지 12일(日) 간격(間隔)으로 6회(回)의 파종기(播種期)를 두고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사료포장(飼料圃場)에서 조생종(早生種) MTC-1과 만생종(晩生種) 수원(水原) 19호(號)를 가지고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출현일수(出現日數)는 단축(短縮)되었으며 출현(出現)에서 출사(出絲)에서 생리적(生理的) 성숙기(成熟期)(황숙기(黃熟期))까지 소요일수(所要日數)는 파종기(播種期)에 무관하였다. 2.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는 감소(減少)되었고 엽면적비(葉面積比)는 높았으며 엽면적비(葉面積比)의 최대치(最大値)에 도달되는 소요일수(所要日數)는 단축(短縮)되었다. 3. 순동화율(純同化率)은 생장초기(生長初期)보다 자수발육기(雌穗發育期)에 파종기(播種期)에 관계없이 포엽기(苞葉期)에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지면 현저히 감소(減少)하였고,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은 품종(品種) 및 파종기(播種期) 조(早) 만(晩)에 관계없이 제(第)1절(節) 노출기(露出期)부터 급격히 낮아졌다. 4. 개체당(個體當) 건물량(乾物量)은 파종기(播種期)가 빠를수록 많았고 최대건물량(最大乾物量)에 도달되는 소요일 수는 파종기(播種期)가 늦을수록 단축(短縮)되었다.

  • PDF

국화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발생소장, 가해특성과 품종에 따른 피해 (Population Dynamics and Injuries by Liriomyza trifolii(Burgess) in Chrysanthemum Field)

  • 박종대;이호범;김선곤;김도익;박인진;김상철;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1-147
    • /
    • 2000
  • 봄재배 국화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 성충은 5월 상순부터 황색 끈끈이트랩에 유인되기 시작하여 7월중순까지는 발생량이 많고 7월하순부터 수확기까지는 비교적 밀도가 낮았고 가장 발생량이 많은 시기는 6월중순~하순이었다. 유충의 밀도는 5월하순부터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상순에 가장 높았고 이후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절화를 생산하는 시기에는 밀도가 가장 낮았다. 가을재배에서는 봄재배에 비하여 셩충의 유인수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으나 9월하순 10월중순에 유인량이 비교적 많았고 유충의 밀도변화도 수확기까지 성충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정식후 국화 생장에 따른 피해엽율의 변화는 봄재배에서 4주째부터 피해엽이 나타나지 시작하였으며 5주째까지는 피해엽율이 비교적 낮았으나 6주째부터는 70%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수확기까지 계속되었다. 국화 품종에 따른 아케리카잎굴파리에 의한 피해엽율은 대국에서는 수방력이 초기에 피해가 약간 낮게 나타났지만 후기에는 조사된 모든 품종에서 45% 수준으로 높았고, 소국에서는 사티니스가 21.3%로 리건, 카산드라 등의 50% 수준보다 낮았다. 본 시험에서 검정된 국화품종은 모두 국화의 생장과 함께 피해엽이 증가하였다.

  • PDF

고려인삼의 조직배양에 관한 연구(I) -온도의 차이가 인삼 및 인삼Callus생장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Tissue Culture of Korean-Ginseng (I)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ginseng plant and ginseng callus-)

  • 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5-79
    • /
    • 1979
  • 인삼의 재배 및 기내재양시 Callus 조직의 유기와 생장 및 Callus조직으로부터 근 및 경엽의 재분화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7^{\circ}C$ 내지 $21^{\circ}C$에서는 배에서 발아한 유묘가 정상적인 성장을 보였으며 특히 $21^{\circ}C$에서 가장 왕성한 생육을 보였으나 $25^{\circ}C$에서는 경의 신장이 억제되고 엽의 엽록소가 퇴화되었으며 $29^{\circ}C$에서는 잎은 백화고사하고 생육이 정지 되었다. 2. 2년근인삼의 생육역시 $17^{\circ}C$~$21^{\circ}C$에서는 정상적이 었으나 $25^{\circ}C$에서는 경엽의 신장이 억제되고 엽중앙부의 엽록소가 퇴화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29^{\circ}C$에서 가장 왕성하였다. 4. Callus조직으로부터의 근의 재분화는 고온에서 축진되었으며 $29^{\circ}C$에서 발근량이 가장 많았으나 $25^{\circ}C$이상의 온도에서는 경엽의 분화가 거의 없었다. 5. $25^{\circ}C$이상에서 배양하던 Callus를 $21^{\circ}C$로 배양온도를 낮추면 Callus에서 아가 형성되고 경엽이 분화신장된다.

  • PDF

생장억제제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에 따른 클로버의 생육억제 효과 (Effect of Growth Restraint of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as Affected by Prohexadione-calcium Application)

  • 최의주;최봉수;우선희;이철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9-143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잔디로 조성된 잔디밭에서 예초 직후에 prohexadione-calcium을 엽면 처리하여 잔디와 경합하는 클로버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구명하기위하여 수행되었다. 클로버의 엽병장과 엽면적은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로 7주에도 무처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클로버의 생엽중도 무처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색도는 무처리에 비하여 prohexadione-calcium 처리구가 높아졌고,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엽색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잔디밭에서 클로버를 방임할 때보다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는 클로버의 피복율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었다.

차광처리가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Shading Effect on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홍동오;이창우;김홍영;강진호;유영섭;신성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43
    • /
    • 2006
  • 개화 이후 고사하는 일임성 식물인 바위솔은 가을철에 집중되는 자연산의 출하시기와 중복되지 않도록 비가림 하우스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하우스 시설로 인한 차광 (무차광, 35, 55, 75, 95% 차광)이 바위솔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화서장, 엽과 포엽수 및 경직경은 광도가 가장 약한 95% 차광시 가장 짧고, 적거나, 가늘었던 반면, 여타 차광 처리간에는 차이가 적다 할지라도 차광이 심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2. 엽과 포엽중, 경중, 근중, 지상부중, 전체건물중은 무차광에서 가장 많았으며 차광이 심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3. 형성된 소화수는 건물중과 같이 무차광에서 가장 많고 차광이 심할수록 감소되었으나, 95% 차광시 아주 적었다. 4. 차광처리로 소화가 개화된 개체는 관찰되지 않아 광도가 제한되는 시설하우스에서 여타 처리를 통하여 바위솔의 인공재배는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펄라이트 배지량이 양액재배 오이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strate Amount of Perlite on the Growth and Fruit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Cucumis sativus L.) Plants)

  • 박순기;정순주;서범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5-274
    • /
    • 1999
  • 본 연구는 perlite를 이용한 오이의 양액재배시 적정 배지량과 근권용적을 구명하고자 용기의 크기가 2, 4, 6, 8 및 $10{\ell}$인 플라스틱 포트에 펄라이트를 채워 오이를 양액 재배하였다. 근권용적이 증가할수록 초장, 경경, 엽수 및 엽면적이 증가하였고, 과실수와 과실중량에서는 근권용적이 큰 $8{\ell}$$10{\ell}$ 의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기형과 발생률도 낮은 경향이었다. 근권용적을 $6{\ell}$ 이상으로 하였을 때 경으로의 건물분배가 줄어들고 엽으로의 건물분배가 많았다. NAR과 CGR은 근권용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권용적에 관계없이 본 실험 범위내에서는 LAI가 증가할수록 NAR과 CGR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향끽미종 담배의 재식밀도 및 질소시비량이 잎담배 생육 및 특성에 미치는 경향 (Effect of Spac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on Yield and Properties of Aromatic Tobacco leaves)

  • 류명현;김용옥;손현주;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1-237
    • /
    • 1986
  • 향미종 연초 재배에서 재식밀도 및 질소 시비량에 따른 생육특성 및 수량, kg당 가격과 향미종 연초의 특징인 휘발성 유기산 함량의 관계를 분석, 재배법에 활용코자 시험한 결과, 1. 10 a당 13,885주에서 24,997주로 밀식할수록, 주당 생장량은 감소하나 LAI는 증가하였으며 수량은 21.875주까지 유의성 없이 증가하였으나 그 이하에서는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2. 10a 당 질소 시비량을 1.5, 3.0, 4.5kg 증비 할수록 주당 생장량, 잎의 크기 및 LAI가 증가하고 수량 및 kg당 가격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였다. 3. 발뢰 7 일 전 엽중 질소 함량은 처리간 차를 나타냈으나, 건조엽중의 질소, 환원당, 니코딘 함량에서는 재식밀도 및 질소수준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4. 초장 및 엽의 크기가 작을수록 건조엽중 2-methyl butanoic, 3- methyl butanoic 및 3- methyl pentano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5. 건조엽중 휘발성 유기산 함량과 개화기의 초장(r=-0.49), 최대엽장(r=-049), 일주당 엽면적(r=-0.47)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다. LAI 및 단위엽면적당과는 각각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 PDF

액체배지배양에서 당근 체세포배의 발아 억제 현상 (Germination Arrest of Carrot Somatic Embryos Cultured in Liquid Medium)

  • 소웅영;이은경;홍성식;조덕이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5-180
    • /
    • 2000
  • 발아를 위한 MS 액체배지에서 체세포배를 1주일간 배양하다가 고형배지로 옮겨 배양하면 92%가 발아하지만 액체배지 배양기간이 길어지면 발아율이 낮아져서 4주간 배양 후 고체 배지로 옮기면 26% 밖에 발아하지 않았다. 액체배지에서 발아처리된 체세포배는 배축과 유근의 생장은 충실하게 일어나데 일부에서는 배축에 2차배가 발생되거나 배축과 유근 기부에서 캘러스가 형성된 경우도 있었다.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결과 경정분열조직을 이루고 있는 세포는 엉성하게 배열되어 있고 제1엽원기가 발생된 경우 그 구조가 충실하지 못하여 생장이 중단되어 있으며 엽원기의 발생이 않된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액체배지에서 체세포배의 발아가 억제된 원인은 경정분열조직의 구조적 결함으로 경엽부 형성이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소향(Nicotiana tobaccum L.)의 재식밀도와 생육, 수량 및 품종 (Effect of Plant Population on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ohyang (Nicotiana tabaccum L.))

  • 배성국;임해건;손세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7-211
    • /
    • 1981
  •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소향을 공시하고 생육, 수양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개년(1979, 1980)동안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 절대 생장양과 액아 발생량은 소식구보다 밀식구에서 적었다. 2. 엽면적은 소식일수록 컸으나 엽면적지수는 밀식구에서 컸으며 단위 엽면적중은 처리간에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상대생장률은 소식일수록 후기 생육이 계속되었고, 초형은 밀식인 경우에 양분경합으로 상위엽의 전개가 저해되었으나, 수광율은 본, 상엽에서 광합성작용에 충분한 것으로 보였다. 4. 모용수, Total alkaloid 및 Total nitrogen 함량은 밀식구에서 적었고, 세포간극율, Total sugar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5. 수량은 밀식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품질은 처리간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16,666주보다 밀식하여도 품질면에서 지장이 없을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