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화알릴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Mo/SiO2 촉매상에서 t-Butyl hydroperoxide에 의한 염화알릴의 에폭시화반응에 관한 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y on the Epoxidation of Allyl Chloride by t-Butyl Hydroperoxide over Mo/SiO2 Catalyst)

  • 김성우;박대원;정종식;박대철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649-656
    • /
    • 1992
  • t-Butyl hydroperoxide(TBHP)에 의한 염화알릴의 에폭시화에 의해서 에피클로로히드린을 합성하는데 실리카에 담지된 몰리브데늄 촉매를 사용하였다. 속도론적 연구는 회분 반응기를 사용하여 $60-80^{\circ}C$, 10기압에서 TBHP/염화알릴의 농도비를 0.01-0.1의 범위내에서 수행하였다. t-butyl alcohol(TBA)에 의해서 염화알릴의 에폭시화 반응이 억제되었고, 반응속도는 Michaelis-Menten 형태의 속도식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반응기구는 TBHP와 TBA의 가역흡착과 $Mo/SiO_2$에 흡착된 TBHP와 염화알릴의 표면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동종이핵착물인 M+5-MeCp)Mn(CO)2Mn(CO)5-(M+=Na+, PPN+)와 염화알릴간의 반응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ies on the Reaction of the Homobimetallic Anion, M+5-MeCp)Mn(CO)2Mn(CO)5-(M+=Na+, PPN+) with Allyl Chloride)

  • 박용광;윤동신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73-482
    • /
    • 2004
  • 동종이핵착물인 $M^+({\eta}^5-MeCp)Mn(CO)_2Mn(CO)_5^-(M^+=Na^+,\;PPN^+)$과 염화알릴과의 반응을 고순도 질소속에서 염화알릴을 다량 넣어서 유사1차 반응조건에서 다양한 온도($20^{\circ}C{\sim}50^{\circ}C$)에서 반응시켰다. 이 동종이핵착물을 네 개의 원자를 있는 전이 상태를 거치는 단일 단계 반응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이 상태 후 CO와 만나서 $({\eta}^5-MeCp)Mn(CO)_3와\;({\eta}^1-allyl)Mn(CO)_5$로 이어지는 것 같다. 그러나 양이온이 $Na^+$인 경우, 이 양이온은 이 반응에서 동종이핵착물의 $Mn(CO)_5$ 부분에서 CO하나를 $({\eta}^5-MeCp)Mn(CO)_2$쪽으로 이동시켜 결국 $({\eta}^5-MeCp)Mn(CO)_3$로 만들거나 혹은 양이온($Na^+$)과 이탈기인 Cl을 끌어당겨서 반응을 가속화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 반응은 각각의 반응물질에 관해서 1차, 따라서 전체적으로 2차 반응이며 이 반응에 관련된 활성화 에너지 관련 매개변수들은 다음과 같다(양이온이 $Na^+$인 경우 ${\Delta}H^{\neq}=17.15{\pm} 0.17 kcal/mol,\;{\Delta}S^{\neq}=-9.63{\pm}0.10$ e.u.; 양이온이 인 경우 ${\Delta}H^{\neq}=22.13{\pm}0.21 kcal/mol,\;;{\Delta}S^{\neq}=9.74{\pm}0.19$ e.u.).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한 알릴 염화물의 포유류 배양세포 염색체이상시험 (In Vitro Mammalian Chromosomal Aberration Test of Allyl Chloride for Workers' Health)

  • 임경택;김수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0-168
    • /
    • 2014
  • Objectives: Chemical hazard evaluations are important for workers' health and working environments. Allyl chloride (CAS No. 107-05-1) is used in many industries, leading to concerns about the possibility of threats to the health of workers. Since only insufficient or controversial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potential related hazards, an in vitro mammalian chromosomal aberration (CA) assay was conducted in order to gain additional information concerning any such hazards. Moreover, toxicological information from this study could be applied for workers' rights to know, and to prepare or update the Materials Safety Data Sheet (MSDS) for a number of industries. Methods and Results: The assay was performed using the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cell (ATCC, CRL-1935), by the direct method (-S9) and by the metabolic activated method (+S9 mix). Using the direct method, the seven dosages in the 48-hour treatment group did not show that the frequency of CA is proportionate to the dosage. The frequency of CA is not proportionate to the dosage addition for a six-hour treatment using the metabolic activated method. Conclusions: From these findings, it was decided that this chemical does not induce chromosomal aberrations under the tested conditions.

이산화망간 존재하에서 사염화규소를 이용한 알코올의 염소화반응 (Manganese Dioxide-Based Chlorination of Alcohols Using Silicon Tetrachloride)

  • 하동수;윤명종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541-546
    • /
    • 1997
  • 이산화망간 존재하에서 사염화규소는 1차, 2차, 3차 및 벤질알코올 유도체 뿐 만 아니라 시클로헥산올과 같은 고리형 알코올, 알릴 알코올 등의 염소화반응을 정량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먼저 이산화망간이 사염화규소의 반응성이 큰 규소-염소 결합에 삽입되어 불안정한 중간체인 Manganese(IV) oxodichloride를 생성하고 이 중간체는 계속하여 사염화규소와 반응하여 최종적으로 사염화망간을 생성하리라 예상된다. 이렇게 생성되리라 예상되는 화학종들은 모두 반응메카니즘적으로 알코올의 염소화반응에 관여할 수 있음을 알았다. 이 반응은 Thionyl chloride나 삼염화인등을 사용한 고전적인 알코올의 염소화반응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실리카겔에 고정화된 산성 이온성 액체 촉매를 이용한 올레산의 에스터화 반응연구 (The Esterification of Oleic Acid Using Acidic Ionic Liquid Catalysts Immobilized on Silica Gel)

  • 최재형;박용범;이석희;천재기;우희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583-588
    • /
    • 2010
  • 유리지방산 함량이 높은 원료의 효율적인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해 다양한 고체산 촉매를 사용하여 회분식 반응기에서 유리지방산의 에스터화 반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체산 촉매는 상용 촉매인 황산기를 지닌 이온교환수지(Amberlyst-15, Dowex 50Wx8)와 실리카겔에 술폰기 및 염화술폰기 지닌 산성 이온성 액체가 고정화된 촉매($SiO_2-[ASBI][HSO_4]$, $SiO_2-[ASCBI][HSO_4]$), 단순히 실리카겔에 술폰기 및 염화술폰기의 산성적 기능기를 도입한 촉매들을 사용하여 반응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에스터화 반응 실험변수로써 반응시간, 온도, 반응물간의 몰 비율(메탄올:올레산), 촉매량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고체산 촉매들 중 실리카겔에 고정화된 알릴이미다졸리움을 포함한 산성 이온성 액체 촉매가 가장 우수한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리카겔에 3-allyl-1-(4-sulfobutyl)imidazolium hydrogen sulfate가 고정화된 $SiO_2-[ASBI][HSO_4]$ 촉매가 같은 반응조건에서 기존의 알려진 Amberlyst-15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였으며, 353 K 반응온도와 5 wt%의 촉매량, 메탄올/올레산의 몰 비율 20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약 96%의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SiO_2-[ASBI][HSO_4]$의 높은 촉매 활성은 실리카에 고정화된 강한 브뢴스테드산의 작용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바이오디젤로부터 촉매의 분리 및 회수는 간단한 경사법 혹은 여과법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이를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