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원

Search Result 27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Washoff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ants from Artificial Grassland (강우시 인공 초지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상관성)

  • Lee, Jeong-Young;Maniquiz, Marla C.;Choi, Ji-Yeon;Lee, Ja-Eun;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3
    • /
    • pp.145-151
    • /
    • 2009
  • Recently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has been changed from managing the point source to controlling the nonpoint sources (NPSs) because of TMDL program. Most NPSs are accumulated on the surface during dry periods. These accumulated pollutants are washed-off during a storm event and highly impai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receiving water bodies. Usually NPS has high uncertainty and is hard to control because of the variability of the rainfall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Also, NPS is derived from various land us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is studying and monitoring the pollutant loads from each land use since 2007 to determine the unit pollutant loads. This research was a part of long-term monitoring program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washoff and provide the mean EMC of artificial grassland. The average EMCs result of BOD, COD, DOC, SS, TN, NH4-N, NO3-N, TP, and PO4-P of the artificial grassland were deterined to 8.2, 17.5, 11.3, 110.1, 3.07, 0.20, 0.75, 0.86 and 0.08 mg/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conducted showed a low correlation to the contaminants.

  • PDF

A study of the operational plans of non-point treatment facility depending on non-point source reduction scenario (비점오염원 저감시나리오에 따른 비점처리시설의 운영방안 연구)

  • Shin, Hyun-Suk;Jang, Jong-Kyung;Shon, Tae-Seok;Kim, Hong-Tae;Son, Je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56-2060
    • /
    • 2008
  • 도시하천의 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분류되어 점오염원은 하천유입 전에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하는 체계가 갖추어져 있으나 전체 오염부하량의 $30%{\sim}40%$ (BOD기준)로 추정되는 비점오염원은 차집되거나 처리되지 않고 그대로 하천에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점오염원은 불특정 오염원으로서 지표의 오염물질이나 합류식 하수관거의 하수가 강우에 의해 발생한 유출과 함께 하천으로 유입(CSOs)되어 우천 시에 하천을 오염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이의 저감하기 위한 효과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인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온천천 유역을 주요토구별 43개 유역으로 구분하여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구축하였고 개별 토구에 Divider를 설치하여 일정 차집량을 초과하는 유량은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모의하였다. 장치형 처리시설은 농도에 따라 일정효율을 가지고 처리시설의 임계유량을 초과하는 경우는 미처리되어 방류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처리장으로 차집된 유량도 처리장의 시간최대 유량을 초과하는 유량은 간이처리 후 방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하였다. 각 토구별로 처리시설을 설치한 경우의 처리효율과 차집비율을 증가시켜 처리장에서 일괄처리하는 경우의 처리효율을 차집비율별로 검토하여 최적의 차집비율을 검토하였다. 또한 오염원 관리측면의 면적당 축적부하량 저감과 발생량 관리측면의 토구의 차집비율 증가 및 토구에 대한 처리시설 설치비율에 따른 효율을 검토하여 처리효율, 오염원 저감 및 차집비율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 PDF

Effect of Sulfate Source on Removal Efficiency in Electrokinetic Bioremediation of Phenanthrene-Contaminated Soil (Pnenanthrene-오염토양의 동전기 생물학적복원에서 제거효율에 대한 황산염원의 영향)

  • Kim, Sang-Joon;Park, Ji-Yeon;Lee, You-Jin;Yang, Ji-Won
    • KSBB Journal
    • /
    • v.21 no.6 s.101
    • /
    • pp.428-432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lfate source on removal efficiency in electrokinetic bioremediation which needs sulfate to degrade contaminants by an applied microorganism. The representative contaminant and the applied microorganism were phenanthrene and Sphingomonas sp. 3Y, respectively. When magnesium sulfate was used, the magnesium ion combined with hydroxyl ion electrically-generated at cathode to cause the decrease of electrolyte pH, and then the microbial activity was inhibited by that. When ammonium sulfate and disodium sulfate were used to solve the pH control problem, the pH values of electrolyte and soil solution were maintained neutrally, and also the high 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With the former sulfate source, however, ammonium retarded the phenanthrene degradation, and so the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to 12.0% rather than 21.8% with magnesium sulfat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mproved the removal efficiency to 27.2%. This difference of removal efficiency would be outstanding for an elongated treatment period.

Diffusion of a Steady Horizontal Line Source in a Turbulent Shear Flow (난류전단(亂流剪斷) 흐름에서의 정상(定常) 수평(水平) 선오염원(線汚染源)의 확산(擴散))

  • Jun, Kyung Soo;Lee, Kil Se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2
    • /
    • pp.191-199
    • /
    • 1993
  • Diffusion of a steady horizontal line source in a turbulent shear flow is simulated by numerically solving a steady two-dimensional advective diffusion equation. The computational result is compared with the analytic solution for uniform velocity and diffusivity distributions over the depth. The analytic solution for constant velocity and diffusivity overestimates the degree of vertical mixing. The normalized equation indicates that friction factor is the only physical parameter that governs the vertical diffusion process. Sensitivities of the diffusion process to the friction factor and initial source position are analyzed. The rate of vertical mixing varies approximately as the square root of the friction factor. The optimal source position, which gives the most rapid mixing, lies above the mid-depth and moves toward the water surface as the friction factor increases.

  • PDF

An applicability estimation of the HSPF model considering watershed scale (유역의 규모를 고려한 HSPF 모형의 적용성 평가)

  • Choi, Hyun-Gu;Kim, Dong-IL;HwangBo, Hyun;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4-204
    • /
    • 2011
  • 최근에 들어 도시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유역에서의 유출특성과 오염물질 발생특성이 변화하고 있어 이에 따라 체계적인 유역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하천 및 호소에 대한 수질 관리를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 점오염원을 중심으로 수질관리정책 및 대책을 추진하여 왔으나, 오염물질의 상당량은 비점오염원에서 유발되고 있다. 또한 오염총량제의 실시 이후 국내에서는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이 점오염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짐으로서 유역수질모델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비점오염원에 관련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유역의 유출 및 수질 분석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유역간 물질의 교환 및 전달이 유역 규모에 따라 얼마나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검토하여 효과적인 유역수질모델링의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통합적 수질관리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유역 내 수문 순환 및 비점 오염원의 발생 거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통해 오염총량 단위유역을 각각의 소유역으로 순차적으로 모의하여 검 보정을 수행 후 그 결과로 계산된 매개변수들을 단위유역 전체에 대한 분석에 입력하여 수행한 모의 결과와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점오염원에 의한 유역 내 하천 수질 영향도를 파악하였다. 유량 및 수질해석을 위하여 남강유역의 2004년부터 2007년까지 강우와 기상자료, 유량과 오염원 자료를 수집하여 입력 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대상유역에 해당되는 환경기초시설의 방류 유량 및 수질을 유입시킴으로써 HSPF모의가 진행되었다. 하천수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점오염원은 강우 및 기상 관련 자료의 입력을 통하여 유역 내 유출 조건의 초기입력을 수행하였으며, 강우 입력에 따른 유출에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토지이용 및 토양도를 고려하였다. 그리고 유역의 규모를 고려하였을 때 오염총량 단위유역의 유역 규모에 따라 모의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HSPF 모형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여 정확성이 높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의결과 소유역을 순차적으로 모의한 결과(CaseA)가 전체유역을 모의한 결과(CaseB)보다 실측치와 더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평가방법을 바탕으로 유역수질모델링이 이루어진다면 추후 비점오염원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며, 모니터링 기법 및 GIS기반 유역관리모델 개발, 4대강 비점오염원 최적관리기법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River Contamination Level and Ground Pollution Source through Korean Case Study (국내 사례분석을 통한 하천오염도와 지반오염원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Choi, Joohwan;Song, Wonjun;Lee, Jun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3 no.1
    • /
    • pp.51-60
    • /
    • 2010
  • This study measured for comparison and analysis the correlation of River pollution and Soil conta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udy, heavy metals which cause serious side effects was limited to the case among polluta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rivers that near the Urban and industrial districts, for example, Nak-Dong river, An-Yang river, Tae-Hwa river and the rivers that near the farm land or pasture, for example, Yeong-San river, Mi-Ho river, then compare and analyze the degree of actual pollution as gathere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Correlationship about pollutants of river near the Urban, industrial area and drainage basin its river has been proven, and this expected because of the strong influence by point pollution source. On the other hand, I can found the opposite relationship where the river near the farm land or pasture, and this probably because of the influence by nonpoint pollution source.

  • PDF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in Cheongmi basin under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청미천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추정)

  • Son, Minwoo;Kim, Sang Ug;Chung, Eun-Sung;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2-572
    • /
    • 2016
  • 청미천 유역은 다양한 수계로 구성된 대유역에 해당되며 농업 및 공업활동에 따른 오염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이 가지는 특성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 및 분석한다. 비점오염원의 모의를 위해서는 SWAT 모형이 이용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로는 RCP4.5 및 RCP8.5 시나리오가 적용된다. SWAT 모형은 유역 모의를 위한 모형으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의 장기간 모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조건의 토양 및 토지이용 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강유-유출모형과 수질모형 등을 GIS와 연계한 호환모형을 이용하며 유출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거동을 해석하고자 한다. SWAT 모형을 이용한 모의를 위해 필요한 매개변수는 관측소 현황, 강우, 기온, 습도, 일사량, 풍속 등이다. 이중 일사량에 대한 정보를 가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고 나머지 매개변수는 청미천 유역의 특성치를 조사하여 입력하였다. 청미천 유역의 수질 오염원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시설용량이 일정 크기 이상인 하수처리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정보가 모의시 검토되었다. 청미천 유역 전체 오염원에 대한 점오원의 비율을 검토한 결과 홍수기에 점오염원의 영향이 낮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홍수기에 불특정 지점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의 기여도가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소규모 산업단지의 배출량 등에 대한 자료가 보완될 때 보다 신뢰성 있는 모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총질소와 총인의 경우에도 하계 홍수기에 크게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유물질의 경우는 그 변동 폭이 다른 항목에 비해 크게 나타나며 9월에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보다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점오염원을 포함하여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구축되는 과정 역시 중요하다.

  • PDF

Pollutant Sources Contribution Analysis of PM2.5 using The CMB Receptor Model (CMB 수용모델을 이용한 PM2.5의 오염원 기여도 분석)

  • Koo, Tai-Wan;Hong, Min-Sun;Moon, Su-Ho;Kim, Ho-J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3
    • /
    • pp.866-875
    • /
    • 2019
  • In this study, The Chemical Mass Balance (CMB) model was used to identify pollutant sources and their contributions to $PM_{2.5}$. The contribution rankings by emission source in A city were ash dust (30.1%) > biomass burning (21.9%) > secondary pollutants (21.1%) > mobile source (19.3%) > area sources (7.6%), and The emission sources increased from the contribution of the CMB model and the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 emissions were biomass burning and secondary pollutants, and The emission sources reduced were mobile source, ash dust, and area sources.

Study on the selected by management streams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dam-reservoir (댐-호소의 수질개선을 위한 관리 하천 선정에 관한 연구)

  • Yonghun Choi;Gwanjae Lee;Sangjoon Bak;Yeonji Jeong;Kyoungjae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5-265
    • /
    • 2023
  • 유역모형을 통해 우심하천을 제시하는 방법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배출부하량 자료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오염원별/오염물질별 수질 관리가 요구되는 하천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우심하천을 선정하였다. 적용 유역은 한강 수계에서 가장 복합한 댐 유역인 충주댐 유역으로 결정하였다. 충주댐 유역의 소유역별 배출부하량을 활용해 하천 관점의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하천 관점의 배출부하량 (Stream Total Loads, STL로 명명)은 임의의 하천으로 유입되는 모든 소유역의 배출부하량 합계를 면적 합계로 나누어 산정하는 방법이며, 임의의 하천 지점에서 상류의 모든 소유역이 포함된 단위면적당 배출부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댐 유역 말단의 STL은 유역 전체의 단위면적당 배출부하로 표현되며, 유역 전체의 STL보다 높은 소유역이 연결된 하천을 댐 호소 관점에서 볼 때 관리가 필요한 하천이라 할 수 있다. 댐 유역 말단의 STL은 점오염원-BOD 0.617 kg/km2/day, 점오염원-TP 0.038 kg/km2/day, 비점오염원-BOD 2.909 kg/km2/day, 비점오염원-TP 0.237 kg/km2/day로 산정되었다. 점오염원에 대한 BOD 관리하천은 창리천, 장평천, 지장천하류 등 15개 소유역, TP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창리천, 주천강상류 등 20개 소유역으로 나타났다. 비점오염에 대한 BOD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장평천, 제천천하류 등 13개 소유역, TP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장평천, 주천강상류 등 16개 소유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배출부하에 대한 비점오염원의 배출부하비는 BOD 82.5%, TP 86.2%로 점오염원보다 높았다. 따라서 우선 관리 대상 하천은 TP 비점오염원, BOD 비점오염원, TP 점오염원, BOD 점오염원 순으로 계획될 필요가 있다. 향후 유역 모델링을 수행하고, STL 산정 결과와 비교하여 우심 하천 선정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 PDF

모바일 촉각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 Yang, Gi-Hun
    • ICROS
    • /
    • v.20 no.3
    • /
    • pp.22-26
    • /
    • 2014
  • 본 기술 동향에서는 햅틱 기술과 관련된 최근의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진동 촉각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기기용 햅틱스는 관련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이 중에 몇 가지 연구들과 활용되는 액추에이터 등에 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촉각 기반 생태계를 예측해 보고, 아울러 의료 휴대폰, 컴퓨터, 재활 분야등에서 필요로 하고 또 활용 가치가 있는 햅틱 기술들에 대해서 고찰해 보기로 한다. 최근에 각광받는 웨어러블 기기등도 내부에 다양한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내장하려는 움직임이 있고, 휴대폰 등에서 진동 액추에이터를 활용하여 소리를 대체하듯 촉각 기술이 터치 스크린 기반 시장을 한 단계 발전시켜 차세대 입력 장치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관련 분야에서 필요한 촉각 기술을 개발한다면 햅틱 연구자들이 그토록 염원하는 촉각 기반 시장의 확대 성장도 그리 오랜 시일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