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수침임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Saltwater Intrusion by Flushing Discharge in Seomjin River Estuary (섬진강 flushing 방류로 인한 하구부 염수침입 영향분석)

  • Noh, Jun-Woo;Lee, Jin-Young;Kang, Shin-Wook;Lee, S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82-985
    • /
    • 2010
  • 섬진강 하구는 남해안 중부에 위치해 있으며, 하구둑이 건조되어 있지 않아 하구역 일대와 광양만이 하나의 넓은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섬진강 하구는 상류에 섬진강댐, 주암댐 등이 건설되고 취수량이 증가하면서 하구로 유입되는 수량이 감소해 기수역이 상류로 확대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08년 주암댐에서는 갈수기 때마다 대두되는 수질악화 및 염수침입을 방지하고자 3/10~3/24일에 걸쳐 1차, 4/23~5/7에 걸쳐 2차로 나누어 flushing 방류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측된 염분 자료를 토대로 3차원 수리 및 수질해석이 가능한 EFDC 모형을 활용하여 flushing 방류를 실시한 경우와 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하여 모의를 수행함으로써 flushing 방류 유무에 따른 하구의 염수침입 및 염해피해 방지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

Status and plan of 'Operation rule improv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Nakdong estuary'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 용역' 추진현황 및 계획)

  • Noh, Hee Kyung;Ryu, Hyung Kwan;Ryu, Jong Hyun;Kim, Hwa Young;Chun, Ja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22
    • /
    • 2020
  • 낙동강 하굿둑(이하 하굿둑)은 1987년 부산 사하구와 강서구 사이에 건설되어 하류 지역의 바닷물 유입을 막아 부산, 울산, 경남 등에 안정적으로 생활·농업·공업 등의 분야에 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해왔다. 현재, 하굿둑의 수문은 낙동강 상류로부터 하류로 흘러내려오는 민물(담수)을 방류하기 위해서만 하굿둑 수문을 개방하고 있다. 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서로 만나는 구역으로 바닷물과 염수의 밀도차에 의한 혼합으로 자연상태의 하구에서는 담수와 염수가 섞이는 기수역이 형성되며, 이러한 특성으로 하구 인근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하천 및 해양, 연안과는 분명히 구별되는 생태계가 조성된다. 하굿둑 건설이후 바닷물(해수)과 민물(담수)이 만나는 낙동강 어귀에 기수생태계가 사라지면서 바닷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하굿둑이 지역에 기여해온 사실은 분명하나 하굿둑으로 인해 생태계 단절이 발생하고 기수생태계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굿둑을 개방하여 과거 기수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하굿둑의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효율적인 개방 방안을 모색하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 중이고, 실무협의회 논의를 통해 5개 주요 관계기관(환경부, 국토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K-water) 공동으로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2018년 1단계 용역이 완료되었으며, 2019년부터 2단계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고 하굿둑 개방의 수준별로 각종 영향을 검토한 후 대책을 마련하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단계 연구용역에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수생태계 복원방안 마련을 위해서 실제로 해수를 유입시키는 3차례의 실증실험 및 수리모형실험 등을 추진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도 수문개방에 따른 해수유입 영향에 대해 모델링을 통해서 분석했지만 이는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로 이번 용역에서는 실제 해수를 유입시키고 염분의 침투 및 각종 수생태 영향을 모니터링 한 후 그 결과를 반영하여 모델링을 고도화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고도화된 모델링 결과를 기반으로 기수생태계 조성 방안별로 염분, 수질, 수생태, 침퇴적 등 각종 분야에 대한 정확한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이 계획에만 그치지 않고 실행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대를 형성해 나아가고 있으며 지역주민, 전문가, 관계기관 등 민(民)·관(官)·학(學)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하구지역내 수량-수질-수생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원 방안을 마련 후 사회적인 합의를 추진하여 확정할 예정이며, 하구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AI 등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극 적용하는 스마트한 하구물관리(Smart Estuary Watershed Management)"를 활용한 "하구통합물관리" (Estuary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등 과학적인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 PDF

Trend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in Nakdong River Watersheds (낙동강유역의 지하수위 경향성 분석)

  • Yang, Jeong-Seok;Kim, Nam-Ki;Nam, Jae-Joon;Lee, Myung-Eun;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4-234
    • /
    • 2011
  •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사상의 특성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로 인해 밝혀졌다. 이중, 강우사상의 경우 연강우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최대강우량 또는 강우강도나 강우집중률이 비교적 더 크게 증가하면서 직접유출 부분이 증가하고 침투량이 감소하면서, 즉 총강우의 유역출구로 나가는 부분이 증가하면서, 갈수기의 지하 및 하천수위는 예년에 비해 더욱 하강하고 있는 실정이 국가지하수관측망이나 하천수위 자료로서 관측되고 있다. 이는 지하수위의 변동특성이 강우패턴의 변화로 인해 분명히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자료로서 입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지하수 관측망 중 낙동강유역에 위치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관측자료를 검토한 결과 총 43개의 관측소를 선정하여 암반층 36개, 충적층 19개로 관측정별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연최대, 연평균, 연최저 지하수위에 대한 경향성 및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성 검정은 t-test를 실시하였다. 연 평균지하수위를 기준으로 암반층은 27개 관측소가 하강하였고, 이 중 유의수준 5% 이내에 유의하며 하강하는 지점은 9개로 나타났다. 충적층은 16개 관측소가 하강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 중 12개 관측소가 유의수준 5% 이내에 유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위의 하강하는 경향성이 뚜렷한 지역은 지하수의 고갈과 함께 인근하천의 건천화 그리고 지반침하나 해안지방인 경우는 염수침입이 일어날 가능성이 큰 지역이므로 향후 이에 대한 대책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 PDF

The Study of Water Availability Estimation for Estuary Lake in Sap-gyo Stream (삽교천방조제에 의한 수리권 가용수량 추정 연구)

  • Park, Hee-Seong;Park, Ki-Chun;Kim, Jeong-Yup;Choi, Hyuk-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96-1300
    • /
    • 2009
  • 삽교호는 금강 하류부에서 해수의 역류에 의한 염수 침입에 따른 염해방지와 유역에 필요한 담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방조제는 조위 상승에 따른 해수의 침임을 방 할 뿐만 아니라 홍수 시에는 배수갑문의 인위적인 조작을 통해서 과다한 홍수량을 바다로 배제하여 상류유역의 홍수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방조제로 인하여 기존에 염해로 인하여 취수할 수 없던 하천구간에서의 취수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일정한 수위로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상당량의 농업용수를 확보하게 되었으나, 댐과는 달리 허가를 위해 가용한 유량이 얼마인지 판단을 해본 적이 없다. 그것은 방조제의 방류량이 댐의 방류량과는 달라서 조석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기 때문에 단순한 물수지 분석 등으로 이를 모의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1일 2회의 조석이 발생하므로 1일단위의 물수지 분석은 어려운 현실이다. 방조제의 공급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물수지 분석을 하게 되면, 취수하고 있는 용수는 추가적으로 확보되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하천에서의 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방조제가 공급 가능한 가용허가수량이 얼마인지 분석하고 이를 물수지 분석에 반영해 줄 수 있도록 해야 할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위예측방법 및 수문조작 방법등 주요 모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 모형을 개발하고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일별자연유출량 자료에 대해 물수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삽교천방조제의 수리권 가용수량에 대해 추정하여 보았다. 적용 결과 삽교천방조제에 의해 기존의 갈수량인 $4.9m^3$/초 외에 안정성이 요구되는 생 공용수로 약 $4.2m^3$/초의 유량과, 제한적인 시기만 사용하는 농업전용으로 약 $10.3m^3$/초의 유량이 공급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omparison of Tree Growth by the Residual Stand Density in Artificial Coniferous Forests (침염수 조림지에서의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생장 비교에 관한 연구)

  • 강성기;김완수;이원섭;김지홍
    • Journal of Korea Foresty Energy
    • /
    • v.20 no.2
    • /
    • pp.46-57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ending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in unmanaged artificial forest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Pinus rigida, and larix leptolepis, based on the study of the comparison of tree growth pattern by residual stand density after thinning practices. Followings ar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1. The diameter growth of residual trees was increased as residual stand density decreased by thinning practices in the stand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nd Pinus rigida, and subcompartment (Ga) and (Na) of Larix leptolepis. The statistical analysis noted that the tree grow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residual stand density. 2. The height growth did not show corresponding results by stand density treatment pattern, which indicated that the height growth was not directly influenced by residual stand density, but by site quality of the stand. 3. The diameter increment for the last six years was proportionately increased in larger diameter classes and less dense stands.

  • PDF

Fungal Flora of Ullung Island (I) - on Some Corticioid Fungi - (울릉도의 근류상 (I) - 수 종 고약균류에 관하여 -)

  • 정학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4 no.1
    • /
    • pp.77-90
    • /
    • 1991
  • Fresh fungi were obtained during collection trips to Ullung Island in October, 1989, and August, 1990. Among them, some corticioid fungi were identified. Ten fungi were confirmed new to Korea and are recorded here with descriptions. They are Athelia epiphylla, Grandinia alutaria, G. gran.utosa, G. stenospora. Cylindrobasidium evolvens. Hyphoderma rlldula, H setigerum, Hypochnicium eichleri, Trechispora Illbo-ochracea, and T. farinllcea.nllcea.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by Landsat TM Data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임종구분에 관한 연구)

  • 최승필;홍성태;박재훈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1 no.1
    • /
    • pp.55-60
    • /
    • 1993
  • Forest occupied a part of natural ecosystem carries out a role of purifying air, preserving water resource, prevention of the breeding and extermination, recreation areas and etc that preserve and for me one's liv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for management of this forest is performed with Landsat TM Image. The classes are decided needle-leaf trees, broad-leaf trees, farming land and grass land, and water. When the TM digital images are classified on computer, water is represented in 7∼13 D.N. of 4th band. But the others is appeared similar mostly specific values so that must be done image processing. When the images compounded 2ed band and 3ed band are processed with ratio of enhancement. Needle-leaf treas is represented in l18∼136 D.N. of 1st band, broad-leaf trees in 72∼91 D.N. of 3ed band, farm land and glass land in 96∼120 of 3ed band. Forest Information is classified with M.L.C, an image classification method. The errors of needle-leaf trees, broad-leaf trees, farm land and grass land, and water are appeared each -7.43, +1.89,+7.58 and -2.04 as compared the digital image with investigation on the scene. Finally, these results are useful for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with Landsat TM Image.

  • PDF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Sprouting and Occurrence on paddy field of Water Chestnut(Eleocharis Kuroguwai Ohwi) (올방개 괴경(塊莖)의 맹아(萌芽) 특성(特性)과 본답(本畓)에서의 발생(發生)에 관한 연구(硏究))

  • Kim, H.D.;Park, J.S.;Park, K.Y.;Choi, Y.J.;Yu, C.J.;Rho, Y.D.;Kwon, Y.W.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16 no.4
    • /
    • pp.264-281
    • /
    • 1996
  • As a consequence of wide use of herbicides, Eleocharis kuroguwai Ohwi became a dorminant problem weed for rice cultivation in Korea. To understand the establishment of the weed, experiments on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arried out sprouting and occurrence,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Sprouting percentage remained 68 to 73% until the time of field emergence, indicating many of the them are still dormant. The proportion of the dormant tubers were greater for the smaller than the bigger tubers. Apical dominance was apparent in sprouting, with 84% of tuber sprouted from only one of the apical buds. Tubers sprouted from 2 or 3 buds were less than 20%, and were mostly from the bigger tubers. When the shoot growth was compared, by controlling the others, ones from apical and the next 3 buds showed similar vigorous growth, but the later ones showed poorer growth. For the longevity of tubers, deep soil storage appeared to be better than storage in temperature controlled room to 2~$3^{\circ}C$. Emergence of E. kuroguwai was better in clay soil than in sand, and the possible depth for emergence in clay soil appeared to be up to 21cm, but was 15cm in sand. When tubers were exposed to salt solutions before emergence tests, E. kuroguwai appeared to be much sensitive to salts than S.planiculmis. Among the tubers formed in previous year, 12.7% remained still viable until the end of next crop season, but with relatively strong dormancy. The first emergence was about 10 days after planting at ordinary cropping seasons, and the days to the maximum shoot number stage were 60~90 from planting. The duration was extended at early transplanting, and shoot number, leaves per shoot, and tubers developed per plant were also greater at early plantings. The 6th order offshoots were developing when E. kuroguwai was planted at early season. When planted at later seasons, generation and the number of offshoots was reduced planted at early season. When planted at later seasons, generation and the number of offshoots was reduced and the number of tubers, runner and rhizome lengths was also reduced.

  • PDF

Studies on White Potato Processing for Mixed Cooking with Rice as Main Dish (PartII)-Polyphenol oxidase inactivation and safety of treated potato granules- (감자 주식화(主食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감자쌀의 변색방지(變色防止) 및 안정성(安定性)에 관(關)하여-)

  • Kim, Ze-Uook;Cho, Sung-Hwan;Yuo, Young-Keun;Kim, Hyung-Soo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20 no.1
    • /
    • pp.43-57
    • /
    • 1977
  • In order to establish methods of potato processing for mixed cooking with rice as main diet, treatment for polyphenol oxidase inactivation in potato tissues, and safety in regard to sanitation were studi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ut potato granule which were blanched in boiling water are practical and best in color within $3{\sim}6\;minutes$ dipping. 2. Dipping treatment of potato granules in a saline solution is not pratical because of the resulting color and saline taste. 3. Dipping treatment of potato granules in a boiling saline solution is not practical because of residual salt. 4. Dipping treatment of potato granules in low concentration of hydrochloric acid solution is not effective in color changes but dipping treatment from 0.1N concentration for 4-10 minutes to 0.5N concentration for $1{\sim}10minutes$ shows good effects. 5. Dipping treatment in boiling hydrochloric acid solution of 0.04-0.068N concentration for 3-5 minutes dipping is practical for its resulting color. 6. Dipping treatments in 0.05% of $K_2S_20_5$ solution for $50{\sim}60\;minutes$ and in 0.06% for $40{\sim}60\;minutes$ and 0.065% for $10{\sim}60\;minutes$ shows a small palatability in color but its boiled potato granules shows good color 7. Treatments for any time in $0.01{\sim}0.03%$ of boiling $K_2K_20_5$ solution after predipping in its cold solution for longer time than 30minutes show effective in the color and palatability of the potato granules and their cooked ones. 8. From the view of food sanitation, dipping treatment of the potato granules in the solution of $K_2S_20_5$ is safe because of the few residual amount of $SO_2$. 9. All the methods of treatment that potato granules are dipped for any time at 0.01% of $K_2S_20_5$ solution are safe from the view of fond sanitation. At 0.03% of $K_2S_20_5$ solution, nothing but the methods of treatment that they are dipped within 30 minutes and boiled within 4 minutes are sa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