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색체 이상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37초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화분에서 유래된 배의 발달과 분화식물체의 배수성 (Development of Pollen-Derived Embryos and Ploidy Level of Their Regenerated Plants in Paeonia ladctiflora Pall.)

  • 손재근;김광수;김경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5-220
    • /
    • 1994
  • 약배양에서 형성된 배를 GA$_3$가 첨가되지 많은 MS배지에 배양한 결과 발아률이 12.5%로 낮았으나, 0.3 mg/L GA$_3$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81.3%의 높은 발아률을 보였고 발아후의 생육양상도 양호하였다. 자엽출연기의 배를 GA$_3$ (0.3mg/L)가 첨가된 MS배지에서 20일 동안 전배양한 후 IAA, cytokinin 및 GA$_3$가 단용 또는 혼용된 배지에 배양한 바 배의 발아률은 모든 처리에서 72% 이상의 높은 발아률을 보였으나 발아후의 생육면에서는 2.0mg/의 BA 단용 또는0.1 mg/L의 kinetin과 0.3 mg/L의 G가 혼용된 배지에서 가장 좋았다. 0.5 mg/L GA$_3$가 첨가된 배지에 자엽출현기의 배를 이식하여 4$^{\circ}C$에 8주동안 저온처리하면서 저온처리 기간별 배의 발아률 및 발아후의 생육양상을 조사한 바 저온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작약의 발아률이 향상되어 8주동안 저온처리된 배에서 73.3%의 가장 높은 발아률을 나타내었고 발아후의 생육양상도 가장 양호하였다. 작약의 체배양에서 재분화된 식물체의 배수성을 조사한 바 분화식물체 개체 중 반수체와 이배체가 각각 낙.8%와 31.2%로 가장 많았고, 4배체5.2%)와 3배체(1.3%)도 있었으며 염색체수가 4개(1.3%) 또는 6개(5.2%)인 이수체 있었다.

  • PDF

염분과 저온에 대한 내성증진을 위한 GST 유전자의 과발현 (Increase of Salt and Low Temperature Tolerance by Overexpressing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Gene)

  • Jun Chol Kim;Il Seop Kim;Won Hee Kang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9-143
    • /
    • 2002
  • 목화의 Glutathione S-Transferase(GST) cDNA를 cloning한 뒤 담배식물체에서 과발현시킨 뒤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Northern blot 분석으로 목화의 GST 유전자가 성공적으로 담배식물체의 염색체에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Type I Type II의 전사체들이 인지되었고 이 보고에서는 Type II 전사체들의 역할을 기술하였다. Type II 전사체들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들은 야생형 또는 비형질전환체와 비교하였을 때 약 1.5배 이상의 GST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GST 효소의 활성은 1-chloro-2,4-dinitrobenzene (CDNB)와 글루타치온을 기질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담배식물체에서 목화 GST CDNA의 과발현은 이 유전자가 기능을 갖는 단백질로 번역이 될 수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형질전환된 담배 유묘를 저온($15^{\circ}C$)과 광이 있는 상태에서 키워 GST유전자의 역할에 대한 기능을 시험하였다. GST 유전자의 형질 전환체들은 대조구의 유묘들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성장이 좋았다. 소금에 대한 내성 시험에서도 효과를 보였다. 0, 50, 100, 150, and 200 mM NaCl농도에서 생장시험을 하였다. 50, 100 mM NaCl농도에서 GST 형질전환 유묘들은 성장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성을 보였으나 0, 150, 그리고 200mM의 소금농도에서는 성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탈카페인녹차 열수추출물의 포유동물 세포주를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 (Chromosome Aberration Test of Water Extract of Decaffeined Green Te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ith Mammalian Cell Line)

  • 구윤창;이현순;박병규;김은진;이선주;김경헌;김영석;김광옥;정영신;이광원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3-68
    • /
    • 2006
  • There are $10{\sim}30%$ polyphenol and $2{\sim}4%$ caffeine in green tea. Caffeine is a kind of alkaloid containing nitrogen which cause stimulation, impatience, headache, insomnia, low birth weight infant. Because of these negative effect, decaffeined beverage came out and decaffeined coffee already have a big market since 1970s. Having proving the physiologic functions of green tea, high consumption of coffee is shifting to green tea. Because of the carcinogenic effect of the organic solvents, decaffeine processing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has industrialized and have an advantage in environment-friendly and minimized flavor loss. Decaffeined green te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s considered to be safe but there are not enough study, We investigated the chromosome aberration test with mammalian cell line, CHL.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5000, 2000, 1000 ${\mu}g/ml$ and compared with the negative controls, there were no significant (P>0.05) increased chromosome aberration. Same results was observed when adding S9 mixture or not. As a result, water extract of decaffeined green te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oes not induce chromosome aberration.

  • PDF

방사선취급 병원근무자들의 염색체이상 및 자매염색분체교환 빈도 (Chromosome Aberrations and Sister Chromatid Exchanges of Hospital Workers Exposed to Radiation)

  • 차애리;김미선;황인경;이수일;조병만;김돈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616-627
    • /
    • 1998
  • In order to evaluate the cytogenetic hazard among hospital workers potentially exposed to low dose of radiation, the analysis of chromosome aberrations(CA) and sister chromatid exchanges(SCE) in lymphocytes were performed in 79 hospital workers and 79 non-exposed workers. The mean frequency of chromosomal exchange and deletion(respectively, $0.20\times10^{-2}/cell\;and\;0.39\times10^{-2}/cell$) in the expos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0.07\times10^{-2}/cell\;and\;0.23\times10^{-2}/cell)$ in control group. The frequency of sister chromatid exchanges was 5.04/cell in the control vs. 6.57/cell in the exposed group.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frequencies of CA and SCE adjusted for age, sex, smoking, drinking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no evidence of significant increase of CA and SCE according to the department or duration of employment. But the frequency of cells having chromosome aber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ose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related to duration of employment. There was no do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doses and the frequency of CA and SCE. But in the case of last 1 yr cumulative dose, there were evidence of significant dose-dependant increase of chromosome type CA and percentage of cells with aberration. The result suggest that there is cytogenetic hazard in risk group like hospital workers handling low dose radiation. And the analysis CA and SCE are useful biological indicators for the exposure of low dose level of radiation.

  • PDF

배추의 자엽과 배축 절편체로부터의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Cotyledon and Hypocotyl Tissues of Chinese Cabbage)

  • 강병국;임채완;정규환;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15-319
    • /
    • 2001
  • 본 연구는 배추(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의 자엽 및 하배축 조직으로부터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다양한 조합의 식물생장조절제 NAA와 BA를 조사한 바 자엽은 NAA 2.0mg/L, BA 1.0mg/L와 $AgNO_3$ 16.7mg/L를 첨가한 배지에서 절편당 2.67개의 가장 좋은 신초발생을 보였다. 하배축 절편체로부터는 NAA 1.0mg/L, BA 5.0mg/L와 $AgNO_3$ 16.7mg/L를 첨가하였을 때 절편당 1.87개의 가장 좋은 신초발생을 보였다. 재분화된 신초는 발근배지에서 뿌리를 유기하였으며 식물체는 습도가 유지된 생장상에서 순화를 거처 온실에서 재배하였다. 재분화 개체는 표현형과 염색체수에서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방사선 세포 손상에 대한 인삼 Alkaloid 분획의 보호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Radioprotective Effect of Ginseng Alkaloid Fraction on Cellular Damage)

  • 류성렬;조철구;김미숙;유형준;김성호;김태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95-20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알카로이드 분획 (alkaloid fraction)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Adaptagen의 방사선 방어제로서의 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방사선조사에 의한 마우스 공장 소낭선 세포 손상 및 회복을 측정하고, 마우스 비장임파구 미세핵 측정법을 시험관 내 및 생체에서 실시함으로써 본 제재의 방사선 방어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실험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마우스 공장소낭선세포의 방사선 손상은 대조군에 비해 alkaloid 분획 투여시와 수용성 분획 투여시 공히 감소하였으나, alkaloid 분획 투여시 더욱 현저하였다. 2. 마우스 공장소낭선세포 손상의 회복 및 증식은 대조군에 비해 alkaloid 분획 투여시와 수용성 분획 투여시 공히 현저히 증가하였다. 3. 시험관내 시험에서 방사선에 의한 임파구 미세핵 형성도는 쌍핵세포의 형성율이 낮아 통계학적 의의는 없으나 약제 투여 군에서 빈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alkaloid 분획 투여시 더욱 현저하였다. 4. 생체내 시험에서 방사선에 의한 임파구 미세핵 형성빈도는 대조군에 비해 alkaloid 분획 주여시와 수용성 분획 투여시 공히 감소하였으나 alkaloid 분획 투여시 더욱 현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삼의 alkaloid 및 수용성 분획이 방사선에 의한 염색체 손상을 억제하고 손상된 세포의 회복 (repair) 및 증식 (regeneration)을 촉진하여 방사선 방어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독성이 비교적 없는 자연산생물 (natural products)로서 방사선방어제로 임상에 직접 사용 할 수 있다.

  • PDF

3가 크롬의 보조제로서의 역할 (The Role of Trivalent Chromium as a Supplement)

  • 박형숙;강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62-768
    • /
    • 2004
  • 인슐린 작용을 강화시키는 LMWCr의 발견과 크롬 결핍과 관련 있는 포도당 불내성(glucose intolerance)이 크롬 투여 시 반응을 보여준 임상적 증명 이후, 크롬은 확실한 필수 영양소로 인식되고 보조제로 사용되고 있다. 시험관 실험에서 고농도의 3가 크롬을 배양 세포에 노출 시, 일부 연구 결과에서 염색체이상 유발과 변이원성 효과가 발견되긴 하였으나 이는 비타민 A, D, 니코틴산, 셀레늄 등과 같은 많은 다른 영양소의 과잉 섭취 시 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정도로 해석되며, 시험관 실험 결과들이 발암성의 증거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3가 크롬을 경구 보조제로 투여된 임상 치료에서 환자들은 독성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혈장 내 크롬 수치가 비 투여된 사람들에 비하여 조금 높았다. 크롬을 TPN 형태로 투여받은 환자들에게서도 우려했던 신체ㆍ정신적 효과와의 상관 관계가 없었으며 신기능부전을 나타낸 경우는 신장 독성을 주는 약들을 함께 복용한 경우로서, 우려되는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인정된다. 임상학적, 실험적으로 사용된 3가 크롬의 용량은 ESADDI 규정된 범위 50∼200 $\mu$g/day에서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일반적인 사용에 기준이 될 것이다. EPA는 모든 관련 자료들을 검토한 후에 크롬의 참고용량 (RfD) 수치를 70 mg/day로 결론지었으며, 다른 영양소들의 용량과 비교했을 때 대단히 넓은 수치이다. 3가 크롬은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인슐린 내성, 비정상적 지방대사를 개선시키기 위한 영양소로서 가능성을 가진다. 또한 크롬의 보충은 제II형 당뇨병과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가장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는 크롬 보조제 사용 시, 일부 연구자들이 3가 크롬 1000 $\mu$g/day의 안전성을 입증한 것과 같이 용량을 늘려 임상실험을 시도한 후 안전과 효능을 증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전환 및 염색체 공학 기법을 이용한 초수컷(YY) 및 초암컷(${\Delta}$YY)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생산 -IV. 초암컷을 이용한 수컷 자손 집단의 대량 생산 (Production of Supermale(YY) and Superfemale(${\Delta}$YY)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Sex Reversal and Chromosome Set Manipulation -IV. Large Scale Production of Male Seeds with Superfemale)

  • 노충환;남윤권;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1-338
    • /
    • 2000
  • 본 연구는 초암컷을 이용한 나일틸라피아의 전수컷 자손 집단 생산 기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초암컷과 성전환 수컷(실험구) 그리고 정상 암컷과 정상 수컷(대조구)을 자연 교배시킨 후 실험구와 대조구의 종묘생산량과 생산된 종묘 성비를 조사하였고, 초암컷과 정상 암컷의 산란 주기 및 산란 회수를 비교하였다. 대조구에서 생산된 자손의 수컷률은 53.2${\pm}$10.2%였음을 비해 실험구에서는 93.5${\pm}$6.4%의 수컷 자손 집단이 생산되었다. 60일 동안 초암컷은 총 산란 회수는 19회로서 정상 암컷의 24회에 비해 적었으나, 산란한 개체의 평균 산란 주기는 초암컷과 정상 암컷이 각각 21.4${\pm}$10.4일 및 21.1${\pm}$9.2일로서 차이가 없었다. 종묘 생산량에 있어서 실험구는 3,085${\pm}$562.9 마리로서 대조구의 3,797${\pm}$636.4 마리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용한 암컷 마리당 일간 종묘 생산량과 암컷 어체중당 일간 생산량에 있어서도 실험구와 대조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초암컷은 성전환 수컷과의 교배에서 높은 수컷률을 보이는 자손 집단을 생산하였고, 정상적인 산란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초암컷을 이용한 수컷 자손 집단의 대량 생산은 양식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유용한 방법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성전환 및 염색체 공학 기법을 이용한 초수컷(YY) 및 초암컷(${\Delta}$YY)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생산 -III. 초수컷 및 초암컷의 수컷 자손 생산능력 비교 (Production of Supermale (YY) and Superfemals (${\Delta}$YY)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Sex Reversal and Chromosome Set Manipulation -III. Comparative Study on Male Seed Production Traits of Supermale and Superfemale)

  • 노충환;남윤권;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25-330
    • /
    • 2000
  • 본 연구는 유전학적 성전환 기법을 이용한 나일틸라피아(O. niloticus)의 전수컷 자손 집단 생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되었으며, 초수컷(인자형 YY-♂)과 초암컷(인자형 YY-${\Delta}$♀의 수컷 자손 생산 능력을 비교하였다. 초수컷은 정상 암컷(XX-♀)과 그리고 초암컷은 정상 수컷(XX-♂) 및 성전환 수컷(XX-${\Delta}$♂)과 인공 교배시킨 후 발생 단계별 초기 생존율과 생산된 자손의 성비를 구하였다. 초수컷과 정상 암컷의 교배에서 생산된 수정란은 정상 수컷과 정상 암컷의 교배에서 생산된 수정란에 비해 부화율 및 부상 시기 자어의 생존율이 현저하게 낮았으며, 생산된 자손의 수컷율은 95.8~98.8%였다. 초암컷은 성전환 수컷과의 교배에서 생산된 수정란의 부화율 및 부화 시기 자어의 생존률이 정상 수컷과의 교배에서 보다 높았으나, 생산된 자손의 수컷율은 97.5~98.8%로서 정상수컷과의 교배(94.2~98.8%)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전학적 성전환에 의한 수컷 자손 집단의 생산을 위해서는 정상 암컷과 동일한 자손 생산력을 가지고 높은 수컷 자손을 생산하는 초암컷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박 엘리트 계통의 GBS를 통한 마커이용 육종용 SNP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an SNP set for marker-assisted breeding based on the genotyping-by-sequencing of elite inbred lines in watermelon)

  • 이준우;손병구;최영환;강점순;이용재;제병일;박영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42-249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육종 회사에서 개발된 수박(Citrullus lanatus L.) 우량 육성계통 20종을 대상으로 Genotyping-by-sequencing(GBS) 분석을 통해 품종식별, 순도검정, 그리고 마커이용여교잡(Marker-assisted backcross, MABC)용 SNP 세트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GBS 분석 결과 총 1,100,000천개 raw read 중 77%가 수박 유전체에 mapping되었으며 평균 mapping region은 약 4,000 Kb로 2.3%의 genome coverage를 보였다. Filtering을 통해 평균 depth 31.57의 SNP 총 2,670개를 얻었으며, 20개 계통에 대한 이들의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PIC) 값의 범위는 0.1 ~ 0.38 였다. 이 중 PIC 값이0.3이상이며 각 염색체 별로 5개씩 균등히 분포된 SNP 총 55개를 최종 선발하였다. 사용된 20개 계통의 유연관계분석을 위해 선발된 55개 SNP를 기반으로 한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결과 주성분 1 (52%)과 주성분 2 (11%)를 기준으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 되었으며 각 계통 간 유전자형에 따른 뚜렷한 식별이 가능하였다. 계층적 군집화(Hierarchical clustering) 분석에서도PCA에서와 유사한 분류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SNP 세트는 적용 가능성이 검증된 20개 계통뿐 만 아니라 향후 다양한 수박 육종소재 및 품종에 대한 품종식별, F1 순도검정 및 MABC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