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분 변화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26초

동해 순환의 수치모델 (A Numerical Modeling of the East sea circulation)

  • 승영호;김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2-304
    • /
    • 1993
  • 세밀한 격자망과 정교한 개방경계 조건을 적용하고 실측 수온 염분치를 직접표층 에 적용하여 동해순환을 수치 모델화 하였다. 동해의 특징적인 현상들이 성공적으로 재현되었으며 특히 북한 한류와 동한난류가 더욱 뚜렷하여 졌다. 특기할 만한 사실로 는 울릉난수괴와 중층 저염분수가 재현되었다는 것이다. 전자는 동한난류의 바깥쪽에 서 국지적으로 생성된 시계방향의 재순환류와 연관되어 있고 후자는 동해 북, 북서 연 안역에서 침강으로 형성되어 강한 중층해류에 의해 연안을 따라 남족으로 이동된다. 모델에서는 또한 일본 연안류가 강한 계절변화를 보여서 겨울에는 순압, 여름에는 경 압구조를 나타냄을 보였으며 이 때 여름에 나타나는 강한 중층 반류가 흥미롭다. 모델 에서는 또한 동해 순환의 거시적 특징을 지워 주는데 북쪽의 반시계 방향 순환역과 남 쪽의 시계방향 순환역이 그것이다. 이들은 동해에서 국지적인 순환역학의 중요성을 시 사한다. 그러나 본 모델에서는 동한난류의 이안점이 실제보다 북쪽에 치우쳐서 나타나 는 것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 PDF

외양대류에 의한 동해 심층수의 형성 가능성 (Preconditioning Phase for Open Ocean Form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Subpolar Front of the East Sea)

  • 이충일;조규대;김상우;윤종휘;박성은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17-122
    • /
    • 2004
  • 외양대류에 의한 심층수 형성과정의 초기단계 즉 침니 현상의 전 단계에 나타나는 현상을 포텐셜 와도, 지형류, 수온, 염분, 용존산소의 분포로부터 확인하였다. 포텐셜 와도의 분포에서 나타난 와동류는 Vladivostok 연안과 subpolar front 사이에 위치하며, 와동류의 분포 위치는 겨울철 심층수 형성 가능성이 높은 해역과 잘 일치한다. 대륙의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한 바람장의 변화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시계반대방향의 와동류가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그 결과로 나타나는 dome구조의 밀도 분포는 외양대류의 초기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잘 보여준다.

  • PDF

교잡어, 참돔 (Pagrus major, ♀) × 감성동 (Acanthopagrus schregeli, ♂)의 성장 및 수온변화와 저염분 환경에서의 내성 (Growth and Environmental Tolerances (Water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of Hybrid Female Red Sea Bream Pagrus major × Mal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regeli)

  • 김양수;지승철;;;정관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76-283
    • /
    • 2011
  • The growth and tolerance for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compared among red sea bream Pagrus major (RSB)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regeli (BSB) and their hybrid ($F_1$), female RSB ${\times}$ male BSB. The growth of the $F_1$ fish did not differ until 27 days after hatching (dAH), after which the most rapid growth was observed until approximately 300 dAH, followed by RSB and BSB. However, the RSB had out grown the $F_1$ fish by approximately 303 dAH. By 480 dAH, the RSB were largest, followed by the $F_1$ and BSB groups. The tolerances for high and low water temperat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ach species and growth stage. The largest tolerance spectrum was observed in the BSB group, and the tolerance spectrums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final body weight. During the salinity tolerance trials, all of the species started to die following transfer into freshwater (0 psu). BSB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when kept in fresh water for an average of 29.9 hours, while the $F_1$ fish were more tolerant than the RSB fish. The fish were increasingly tolerant to fresh water and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s they grew, while the size of the temperature spectrum remained unchanged but shifted to a lower temperature range with growth.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F_1$ performed well in terms of growth compared to parental fish, with higher temperature and salinity tolerances than RSB, and is thus suggested to be a suitable aquaculture species for Korea and northeast China.

염분변화에 따른 붉바리(Epinephelus akaara)와 대왕붉바리 (E. bruneus ♀×E. lanceolatus ♂)의 성장, 생존 및 스트레스 반응 (Effects of Salinity on the Growth, Survival and Stress Responses of Red Spotted Grouper Epinesphelus akaara and Hybrid Grouper E. akaara ♀ × E. lanceolatus ♂)

  • 임상구;한상범;임한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12-619
    • /
    • 2016
  • In this study, we crossbred Epinephelus akaara and E. lanceolatus to produce a hybrid grouper with faster growth and adaptation to domestic aquaculture environments. The plasma cortisol and glucose levels and osmoregulation (stress response indicators) of the hybrid grouper, E. akaara ♀ × E. lanceolatus ♂, were investigated under several salinity levels (32, 24, 16, and 8 psu). The body lengths and weights of E. akaara (8.2 ± 0.1 cm, 8.3 ± 0.4 g) and the hybrid (8.6 ± 0.1 cm, 10.0 ± 0.4 g) were similar at the start of the experiment, bu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Juveniles of both E. akaara and the hybrid showed greater weight gain, specific growth, and feed conversion rate (FCR) under low salinity of 16 psu. Under the 8 psu treatment, the juvenile E. akaara all died, while the hybrid juveniles survived. Plasma cortisol levels were not affected by lower salinity in both specie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hybrid is more tolerant of low salinity than is E. akaara, although both species exhibited higher growth and FCR at 16 psu, lower than the salinity of natural seawater. Thus, juveniles of both E. akaara and the hybrid can be more effectively cultured in brackish areas or waters with salinity lower than that of seawater.

염분 변화에 따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산소 소비율과 혈액 성상 (Oxygen Consumption and Blood Physiolog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Subjected to Salinity Changes)

  • 오승용;정유경;이근수;강필준;박혜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620-627
    • /
    • 2020
  • Oxygen consumption and blood physiolog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mean body weight 106.6±6.8 g, mean±SD) was investigated at salinities of 34.0 (control), 33.7, 33.3, 32.6, 31.3, 28.6, 23.1, 12.2 and 0.0 psu at 20.0℃, respectively. Stepwise salinity changes (34.0→33.7→33.3→32.6→31.3→28.6→23.1→12.2→0.0 psu) with an interval of 24 h for each salinity induced a significant (P<0.05) increase of oxygen consumption rate (OCR) in fish exposed from 31.3 to 0.0 psu compared to that of control fish. The maximum OCR was found in fish exposed to 23.1 psu, which was accompanied by 36.2% higher energy consumption than the control fish. Fish exposed to each salinity for 24 h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of blood plasma Na+ in 0.0 psu and Cl- in 12.2 and 0.0 psu (P<0.05), and increase of plasma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in 0.0 psu compared to the control fish (P<0.05).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P. olivaceus exposed to concentrations below 31.3 psu requires more energy costs to adapt to salinity changes than 34.0 psu under our experimental conditions.

경인운하 수로에서 해수유입에 의한 염분농도의 변화 (Variation of Salt Concentration for the Intrust Sea Water in the Kyongin Navigation Channel)

  • 이길성;오성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209-219
    • /
    • 1998
  • 갑문을 통하여 유입되는 해수의 양을 산정하고, 1차원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운하 속으로 해수의 확산 범위를 파악하였다.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해수와 담수의 교환과정에서 조위, 갑식의 크기, 운하의 규모, 운영시간만을 고려한 개념적인 모형으로 표현하여 유입되는 해수의 양을 터미널로 배가 들오올 때와 나갈 때, 조위가 운하의 수위보다 높을 때와 낮을 때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수치모형은 갑문을 통하여 유입되는 해수는 완전히 혼합된다고 가정하였으며, 또한 갑문을 열 때 갑실 속의 해수와 운하의 담수도 완전히 교환된다고 가정하였다. 서해 쪽 갑문을 통한 손실되는 물의 양을 한강 쪽의 갑문을 통하여 보충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고려하였다.

  • PDF

해양 에너지 활용을 위한 IPMC의 전기적 특성 변화 연구 (Study on the IPMC electrical characteristic change For the utilization of Ocean Current Energy)

  • 손경민;김민;김관형;김현조;변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1-533
    • /
    • 2013
  • 본 논문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IPMC(Ionic exchange Polymer Metal Composite)는 술폰산 이온기와 플루오르화 탄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Nafion 필름을 사용한 소재로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특성과 물의 유무 및 양이온에 크게 영향을 받는 특성을 지닌다. 즉,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활용 하거나, 기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활용 할 수 있으며, 물과 물속의 양이온에 따라 그 특성도 크게 달라진다. 이러한 IPMC의 전기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모의실험 장치를 구성하였다. 이 모의 실험 장치에는 MCU 와 Stepper Motor를 사용 하여 해류의 기계적 움직임을 구현 하도록 하여 움직임에 따른 전기적 특성 분석을 하도록 설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PMC와 모의실험 장치를 구성 하여 해류 에너지의 효율 적인 사용을 위하여 IPMC의 면적, 주파수, 염분의 농도, Bending 각도에 따른 전기적 분석 연구 방법을 통해 IPMC의 효율적인 사용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남해 연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문성용;오현주;서호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411-426
    • /
    • 2010
  •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와 주요 분류군의 변동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5월부터 2006월 2월까지 사계절 동안 실시하였다. 사계절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전체 74개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평균 출현 개체수는 2,426~23,793 indiv./$m^3$ 범위였으며, 이 중 N. scintillans가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N. scintillans, A. omorii, A. erythraea, P. parvus s. l, 십각류 유생, Aidanosagitta crassa, 따개비 유생으로 나타났다. 여름철의 동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 지수는 내만 해역에서 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철에 외만에 위치하는 조사해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해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 변동이 계절에 따른 수온, 염분과 엽록소-a 농도, N. scintillans의 대량 증식에 따라서 변동할 수 있으며, 또한 계절에 따른 대마난류의 세력확장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산강 하구둑 배수갑문 확장 후 시간 변화에 따른 저염수 거동 예측 (The Prediction Of Low Salinity Water Behavior Caused By Tidal Gate Extension In Yeongsan-River Estuary)

  • 권철휘;권민선;강훈;장규상;서정빈;조광우;맹준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4호
    • /
    • pp.553-565
    • /
    • 2012
  • 영산강 하구에서 담수유입에 따른 저염수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EFDC 모델을 수행하였다. 모델의 수행은 홍수기 배수갑문 확장 전 후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모델의 마지막 담수유입시점으로부터 16일 후 해역이 준 정상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저염수의 확산양상을 시간 경과순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담수유입이 멈춘 후에 저염수는 방류시점으로부터 약 6시간 경과 후에 배수갑문 전면 해역으로부터 해측으로 최대의 확산을 보였으며, 약 2~7일 후 염분의 분포 양상은 담수가 유입되기 전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배수갑문을 확장하기 전보다 배수갑문을 확장한 후에 담수유입 후 해역이 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욱 짧았는데, 이는 시간당 방류량의 증가가 난류혼합을 강하게 하고, 해측으로 더 멀리 확산된 저염수는 외해수에 의해 보다 쉽게 혼합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해역에서 일정한 양의 담수가 유입되는 경우, 저염수의 확산은 시간당 방류량이 크고 방류지속시간이 짧을수록 해역이 준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욱 짧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문창호;최혜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4-154
    • /
    • 1991
  • 낙동강 하구독 건설 후 하구역의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하여 19894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다. 하구독 건설 후 장림천의 영향을 직접받는 하구둑 바로 아래지역은 둑 건설전에 비하여 용존산소가 낮아지고 암모니아 및 인산염의 농도 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독 건설 후 낙동강의 유입이 일시적으로 차단되어 물의 정체현 상이 일어나고 이곳에 장님천을 통하여 많은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가 유입 되었기 때 문으로 사료된다. 질산염과 규산염 농도는 염분과 높은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어 이들 의 주요 공급원은 낙동강 유입으로 판단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춘계에는 하 구둑 상류지역에서 Asterionella sp.가, 하계에는 하구에서 Skeletomema costatum의 bloom이 있었으며 둑 건설 전에 비하여 녹조류 및 남조류가 증가하였다. 특히 하구둑 상부지역의 높은 엽록소 b의 농도는 이곳의 담수 녹조류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중 요종의 상당한 부분이 오염지표종이었다. 하구독 건설 후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