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분 변화

Search Result 68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EASONAL CHANGES IN ABUNDANCE AND COMPOSITION OF DIATOMS IN THE SUYUNG BAY, PUSAN (수영만에 있어서의 규조류의 계절적인 양 및 조성변화)

  • CHOE Jung Shi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 no.1
    • /
    • pp.16-24
    • /
    • 1969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seasonal changes in abundance and composition of diatoms in the Suyung Bay, Pusa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966 through July 1967 As a result of the present study, 123 species of diatoms were Identified. While the highest number of diatoms (2,554,000 cells per liter) was recorded in April of 1967, the lowest number (20,400 cells per liter) appeared in December of 1966. In genera the standing stock of diatoms was high in spring and early fall and was low in late fall and winter. Two genera of the diatoms, Chaetoceros and Skeletonema, occupied a great portion of the diatom population throughout the cour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genera also appeared abundantly: Asterionella, Eucompia, Leptocylindrus and Nitzschia.

  • PDF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1.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Population, 1976-1978

  • Yoo, Kwang-Il;Lee, Jin Hwan
    • 한국해양학회지
    • /
    • v.14 no.1
    • /
    • pp.26-31
    • /
    • 1979
  • 1976년 7월부터 1978년 5월까지 2년동안 매 기수월에 진해만의 6개 정점에서 식물성플랑크톤군집의 년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수온은 2.28$^{\circ}C$~25.48$^{\circ}C$, 염분도는 27.42 ~33.90 , pH는 8.0~8.5, 투명도는 0.5m~0.8m, 용존산소량은 2.23ml/l~12.32ml/l의 분포를 보였다. 식물성플랑크톤의 출현종수는 30속, 79종, 2품종, 3변종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hyalina,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costatus, Nitzschia pungens, Nitzschia seriata였으며, Chaetoceros affinis, Chaetoceros curvisetus, Coscinodiscus centralis var. pacifica, Ditylum brightwellii, Navicula distans, Nitzschia pungens, Pleurosigma elongatum, Thalassiorira hyalina, Thalassiothrix frauenfeldii등은 출현빈도에 있어서 이 지역의 대표종이었다. 출현종의 생태적 구분은 연안종이 67.86%로서 내만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현존량의 계절적인 변화는 808~12,461,000 cell/l까지 심한 변화폭을 보이고 있으며, 1976년 7월, 11월, 1977년 5월, 9월, 1978년 5월에 $10^{6}$ cells/l대의 대발생이 있었다. 대발생때의 다양성지수는 1976년 7월에 0.5625~1.0345로 낮은 값을 보여 Skeletonema costatum에 의한 대발생이었으며, 11월의 3.0702~4.1019의 높은 값을 보인때는 18~33종의 다양한 출현종에 의한 것이었다.

  • PDF

Numerical Analysis on Effect of Semi-permeable Subsurface Barrier to Mitigate Seawater Intrusion (해수침입 저감을 위한 반투수성 지하 차단벽 효과의 수치적 분석)

  • Woo Chang Jeong;Hee Jae Yoon;Jae Hyun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9-509
    • /
    • 2023
  • 해수침입은 해안지역에서 각종 용수공급 특히 생활용수의 원활하고 지속적인 공급을 저해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수 침입의 정도를 저감하기 위해 수리학적 및 물리학적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 불투성의 지하 차단벽이 가장 효과적으로 해수침입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투수성 지하 차단벽의 경우 해수위 변동에 따른 해수와 담수의 원활한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차단벽 좌우 양측 하단부에 장시간에 걸쳐 오염물질 퇴적 및 염분의 축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된 해안대수층 양끝단에 설치된 담수 저류조와 염수 저류조 사이의 수심차 변화에 따른 염수침입의 거동에 대해 모의 및 분석을 수행한 후 불투수성 지하 차단벽의 높이를 변화시키면서 염수침입의 차단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불투수성 지하 차단벽에 대한 모의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반투수성 지하 차단벽의 유효폭 및 투수계수 변화에 따른 염수침입의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Channel Island in a Stream (하천 내 하중도 설치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변화 연구)

  • Park, Sung-Chun;Roh, Kyong-Bum;Jin, Young-Hoon;Park, Han-Min;Kim, Ja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74-678
    • /
    • 2010
  • 하천 형상은 자연적인 흐름과 인간의 활동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며, 이러한 변화과정을 통해 안정된 형상을 갖추어간다. 이러한 변화는 흐름과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진전되며, 하천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흐름 또한 저수로 형태 및 수량적인 변화 등에 의해 다양한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의 형태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인공적으로 변화되었을 경우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미국 버지니아 해양연구소 개발) 모형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EFDC 모형은 크게 유동, 퇴적물 이송, 수질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동 모델은 수온과 염분이 고려된 3차원 천수방정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EFDC 모형의 적용을 위한 Case1은 일반적인 저수로 형태 갖는 하천이며, Case2에서는 하천 저수로 내 인공적으로 하중도가 설치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수리학적 특성을 모의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수위변화는 하중도 유무에 따라 상하류 부분에서 전혀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유속분포는 Case1에 비하여 Case2의 경우 하중도 설치에 의해 하천의 상류부에서는 흐름의 정체부분이 나타났으며, 하류부에서는 급확대에 의한 유속의 감소가 나타났다. 그리고 하중도에 의해 저수로가 분기됨에 따라 저수로의 급축소부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유속이 급속히 증가되었다. 본 연구의 Case2와 같이 하천에 하중도를 설치할 경우 만곡부 외측 부분에서는 유속의 현저한 증가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하중도의 설치 위치, 하중도의 규모 등에 따라 하중도 부분의 급격한 수위 및 유속 변화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만곡부에 이와 같은 것을 설치할 경우 보다 정밀한 수리계산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되는 하중도 설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ies on the Mechanism Variation of Bed Elevation for an estuary the Han. (한강하구지역에서의 하상변화 기작연구)

  • Byeon, Seong-Joon;Choi, Gye-Woon;Koo, Bon-Jin;Kim, W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70-774
    • /
    • 2009
  • 한강하구 일대는 세계최대 규모의 갯벌이 조성되어 해양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다. 육상기원의 퇴적물이 흐름이 완만한 하구 주변부에 퇴적되어 대규모의 갯벌을 생성하여 육상에서 유입되는 많은 유기물이 집중되고 탁도가 높아 대량의 플랑크톤과 같은 일차생산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대신에 담수 유입이 많아 하구와의 거리에 따른 일정한 염분 구배를 가지고 있어 더욱 다양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에도 1980년대 후반부터 각종 매립사업과 한강종합개발사업($1982{\sim}1986$)이 실시되어 한강하구의 습지가 줄어들고, 해안침식, 토사유입, 퇴적, 적조현상, 갯벌 및 해수오염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1990년대에는 한강하구지역에서 퇴적으로 인한 홍수 예방과 건설골재 확보를 위한 준설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이로 인한 습지생물 서식처 파괴와 같은 환경영향이 우려되어 현재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무차별적인 개발계획으로 매년 홍수 때마다 피해를 입는 김포일대, 한강과 임진강 지역의 수위 및 흐름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대책 수립을 검토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의 유사이송에 의한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류로부터 이송되어온 유사에 대하여 시간적 흐름특성을 통하여 조성된 한강하구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지형변화 분석을 위해 MIKE 21 프로그램의 이동상 해석모듈을 사용하여 지형변화에 따른 한강하구에서의 홍수기 하상변화와 유수 흐름 및 수위등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그 결과 예성강과 한강의 유수흐름은 청주초를 통하여 외해로 유출되고 이 흐름은 대부분 강화도와 교동도 사이의 교동수로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하수로 합류부 및 임진강 합류부에서는 침식 및 퇴적이 활발히 일어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향후 수리학적 특성변화에 따른 유사의 퇴적 및 세굴에 의한 한강하구 지역의 지형변화를 분석하여, 주변 환경영향에 대한 대책 수립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 PDF

Underdrainage Effects on Soil Salinity and Growth of Rice in Gyehwa Reclaimed Saline Land (계화도 간탁지에서 암거배수가 토양의 염분농도와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김상수;이선용;한규흥;어임수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2 no.1
    • /
    • pp.61-67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1979 till 1983 to elucidate the underdrainage effect on soil salinity and growth of rice plastic underdrainage was established 5m and 8m intervals in April of 1979 and Jinjubyeo the medium maturing rice variety was transplanted by hand at late of May.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desalination effect was higher in 5m interval underdrainage than 8m interval underdrainage and the salt content was lower than 0.3% at 1 year after in 5m interval, 2 years after in 8m interval underdrainage and 3 years after at control. Farther the distance from underdrainage position, less the desalinization rate that desalinization was least at center part of the underdrainage position. Desalinization effect was highest 30cm of soil depth and decreased deeper than it. Shorter the underdrainage interval, more the panicle number, heavier 1, 000 grain weight and higher the milled rice yield. But the milled rice yield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underdrainage interval from 3 years after underdrainage.

  • PDF

Formation and Variation of Turbidity Maximum in the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U.S.A. (Neuse강 하구의 최대혼탁수 형성과 변동)

  • KIM Seok-Yu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7 no.6
    • /
    • pp.754-770
    • /
    • 1994
  • Suspended sediment distribution and water column processes in the upper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were monitored monthly from February 1988 through February 1989, in order to identify the turbidity maximum, to determine its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under changing conditions(freshwater runoff, wind, and tide). During most of the observation periods a weak turbidity maximum, associated with the estuarine circulation processes, developed at a flow convergence zone, near the upstream limit of salt intrusion. No turbidity maximum was found when the water column was vertically homogeneous with respect to salinity and when there was no consistent upstream bottom flow. Annual migration of the turbidity maximum, accompanied by migration of salt intrusion, was over 20 km of the upper estuary. Due to the coincidence of dominant wind direction(NE-SW) with the main orientation of the Pamlico-Neuse system, wind played the dominant role in dynamics of the turbidity maximum by influencing the degree of salinity stratification and the extent and strength of estuarine circulation. Tidal effects on the sediment dynamics were negligible.

  • PDF

Properties of Semen and Sperm Motility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i Acclimated in Freshwater (담수순화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의 정액특성 및 정자운동성)

  • Jeong, Min- Hwan;Chang, Young-Jin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5 no.2
    • /
    • pp.151-158
    • /
    • 2011
  • The comparison of the chemical properties of semen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i long-term acclimated reared in freshwater (BFW) and seawater (BSW) with sperm activity of salinity and ion compositi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eminal plasma on BFW of the factors that mos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SW. However, osmolality in seminal plasma of BFW and BSW was $307.0{\pm}4.6$ and $337.3{\pm}10.1$ mOsm/kg, respectively, where BFW showed significant lower concentration in contrast to BSW. Salinity effect on sperm motility of BFW and BSW in 0 psu solution, no sperm motility was observed, whereas in 10 psu solution, both BFW and BSW sperms showed low motility and short time post sperm activation. However, diluted in 20 and 32 psu solutions, highest motility and long time post sperm activation were observed in BFW and BSW sperm. SAI of BFW and BSW varied in depend on the osmolality regardless of ion kind and it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similar osmolality of artificial seawater (956 mOsm/kg). Accordingly, even in sperm released from BFW, factors initiating sperm motility are determined by osmolality.

Numerical Experiment of Low Salinity Due to the Variation of Yangtze River Discharge in East China Sea (동중국해역에서 양자강 유출량 변화에 따른 저염확산 수치실험)

  • 황재동;조규대;정희동;박성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9 no.2
    • /
    • pp.53-57
    • /
    • 2003
  • Low salinity water appears by outflow of fresh water from the Yangtze River in southwestern s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 water volume discharged form the Yangtze River is not constant with year,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data recorded in the past, the maximum value of the discharged volume is two times as high asr minimum value. Therefore, the distribution of low salinity water over study area with different discharged fresh water volume is studied using numerical model, Princeton Ocean Model (POM). POM is three dimensional circulation model selecting a $\sigma$­coordina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numerical simulation by the Model, current velocity on the continental slope is faster than those in other regions, current which flows toward the central part of the Yellow Sea through western part of Jeju exists, and also, southward flow along the coastal region exists. the greater discharged volume from the Yangrze River is. the lower salinity water appears closer to Jeju.

  • PDF

Long-term Change of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Environmental Factors and Freshwater Discharge in Youngsan Estuary (하구언 담수방류와 영산강 하구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환경인자의 장기변동)

  • Yoon, Bo-Bae;Lee, Eo-Jin;Kang, Tae-Ahn;Shin, Yong-Si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6 no.2
    • /
    • pp.205-214
    • /
    • 2013
  • In Yeongsan River estuary, located in the southern West Coast, a dike was constructed in December 1981. After the construction of a dike, discharge mechanism of fresh water has been changed, the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a are expected to be influenced by fresh water discharge. We investigated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and long-term trend of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 and chlorophyll-a were generally high in summer and the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toward downstream. Surface/bottom salinity differ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linity in surface water but positively with nutrient and chlorophyll-a. TN, TP and DIN concentrations were generally increased over 10 years. This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for better management of water quality for Youngsan River estu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