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분확산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Simulation of salt intrusion and mixing influence for Yongsan estuary regarding Seawater exchange (해수교환에 따른 영산강 하구역 염분 확산 영향 범위 수치 실험)

  • Park, Yong-Woo;Cho, Yang-Ki;Sin, Yong-Sik;Lee, Ch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57-561
    • /
    • 2006
  • 매년 영산강 본류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영산강 유역주변은 최근 전남도청 이전에 따른 남악 신도시개발, J-Project 및 환경 문화 복원사업의 추진, 기업도시개발등과 관련하여 수질관리개선 및 주요환경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영산강 하구역 관리방안 중 담수호 수질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수문개방을 통한 해수 유입에 의한 수질 개선을 효과를 도모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하구호 방조제의 수문 개통 및 완전 개방에 따른 수질개선 문제에 앞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중 영산강 및 연안역 염분의 확산범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모형 실험이 실시되었다. 담수 유입에 따른 염분 확산 범위 및 해수 유입에 따른 염분의 역상 범위를 평가 하기위해 수치 모델로는 EFDC를 적용하였고, 하천형상과 연안역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수평좌표계는 직교곡선좌표로 격자 크기는 $120{\sim}1000m$, 연직방향으로 시그마좌표를 사용하였다. 담수 방류 및 염분역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997년부터 2005년까지의 하구 수문 방류량 및 하천 유입량으로부터 홍수기와 갈수기를 선택하여 현재 상황 및 수문의 부분 개통 하구둑 완전 개방에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수문의 부분개통과 하구둑 완전 개방에 따른 염분 확산 범위는 영산강 하구둑을 기준으로 홍수기에는 $13{\sim}17km$, 갈수기에는 36km 이상의 상류지역에서 해수와 담수의 분리 기준인 0.3 psu 범위가 계산됨을 알 수 있다.

  • PDF

The Solution of Upward Salt Diffusion in Floodeol Soil using Laplace Transformation (침수상태(湛水狀態)에서 토양(土壤) 염분(鹽分) 확산(擴散) 상승(上昇) 해석(解析)에 Laplace변환 이용)

  • Oh, Yong-Taeg;van der Molen, W.H.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8 no.3
    • /
    • pp.233-240
    • /
    • 1995
  • Fick's diffusion equation was transformed into algebraic subsidiary equation with its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through Laplace transformation, and the subsidiary equation was transformed back on the basis of Burington's table of inverse transformations so that it became the solution of Fick's equation. The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 was for upward diffusion of salts into flooding water of constant depth from uniform polder soil of infinite depth containing constant concentration of salt. The derived solution was tested through comparison for its conformability with other solutions of simpler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The importance of shallow transplanting of rice seedlings and salt removing by growing rice was mentioned on the basis of very slow desalting rate by diffusion calculated from the derived solutions.

  • PDF

염/담수 분포특성을 이용한 해수침투보호구역 설정

  • 황세호;신제현;박권규;박윤성;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151-15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서-남해 연안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해수침투의 확산방지를 위하여 해수침투보호구역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해수침투보호구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 해수침투대의 고분해능 염분농도분포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염분농도분포도는 물리탐사 기술로 작성이 가능하다. 전남 영광지역에서 물리탐사 기술로 작성한 해수침투대의 고분해능 염분농도 분포도는 시험시추 결과, 매우 신뢰성이 높았으며 염분농도의 공간적인 분포도에서 해수침투로 인한 지하수 개발 제한지역, 보호구역 등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였다. 향후, 해수침투의 확산방지와 지속적인 지하수의 개발이 가능한 해수침투보호구역설정에 대한 후속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ollutant Dispersion Mechanism near Mokpo Harbor Due to the Discharges from Youngsan River Seadike (영산강 하구언 방류에 의한 목포항 주변해역의 오염확산양상)

  • An, Soon-Sub;Kang, Ju-Whan;Park, Se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25-212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하구언 배수갑문의 개방으로 대량의 담수가 방류될 경우 목포항 인근해역의 해수유동 변화와 이에 수반되는 부유물질/염분 농도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방류조건과 확산성분별로 12가지의 계산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MIKE21의 해수유동(HD)모듈과 오염 확산(AD)모듈을 이용하여 하구언 방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해수유동 모의결과, 배수갑문과의 거리에 따라 방류조건별로 수위와 유속이 최대 144.5cm, 175.6cm/sec까지 상승하였다. 특히 청계만 수역에서는 방류시기에 낙조시 유속이 최대 68.8cm/sec까지 감소해 방류에 따른 수위상승으로 낙조시 해수유출이 지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유물질 확산모의 결과, 목포 기준검조소를 기준으로 목포항 내부수역은 원활한 해수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각종 오염원 유입시 외해로 쉽게 확산되거나 희석되지 못하고 계속 정체되는 것으로 나타나 항내 오염이 심각하게 우려되며, 특히 연속적인 담수 방류와 방류량의 크기가 내부수역의 부유물질 농도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방류량이 작고 연속 방류가 행해지지 않는 비우기시의 오염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방류조건별 염분농도 역시 방류량이 크고, 연속적인 담수 방류가 행해질 경우 농도가도 크게 감소하며 확산면적도 증가하였다.

  • PDF

Chloride Penetration of Concrete Mixed with High Volume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FA 및 BFS를 다량 혼입한 콘크리트의 염분침투성)

  • Park, Ki-Cheul;Lim, Nam-G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9 no.1
    • /
    • pp.90-99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dynamic and characteristics and chloride penetration of concrete mixed with large amount of FA and BFS, which are considered for positive application to construction fields with purpose of long-tern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As a result of strength test on FA and BFS, FA concrete showed higher increase of strength compared to OPC, when FA4000 and FA5000 were mixed 30%, respectively. For BFS concrete, those mixed with 30% and 50% of BFS8000, respectively, showed higher or equivalent strength compare to OPC. As a result of test of chloride penetration on FA and BFS, diffusion coefficients of concrete mixed with 30% FA4000 and FA5000, respectively, showed to restrain average 6.5% of diffusion coefficient compared to OPC. And in case of BFS concrete, those mixed with BFS6000 and BFS8000, restrained diffusion of chloride ions 253% and 336%, respectively, compared to OPC. Therefore, Mixing 50% of BFS was most efficient in order to maximize restraint of chloride penetration according to metathesis of large amount. For relation between compression strength and diffusion coefficient of FA and BFS concrete, as strength increased, diffusion coefficient decreased. In this study, when mixing FA and BFS to concrete for long-run durability and restraint against chloride penetration, for FA, mixing it to concrete with less or equivalent 30% of replacement rate was most efficient. And for BFS, as fineness was higher and mixing it to concrete with less or equivalent 50% of replacement rate, there were results of higher strength compared to OPC and more efficient restraint of chloride ions.

비래염분 추정기법에 대한 해석적 연구

  • Park, Dong-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16-118
    • /
    • 2011
  • 해안가에 건설되는 구조물 표면은 해풍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해풍에 섞여 날아오는 염분이 건축물 외부에 흡착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로 확산 이동하게 되어,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이 부식하게 된다. 따라서, 해안가 구조물의 비래염분에 대한 열화 예측을 보다 정확하게 조사하기 위해서는 실환경하에 작용하는 기상요인, 지형, 구조물의 형태 등 대상지역의 다양한 조건을 정밀하게 반영하여 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풍향, 풍속, 온도, 습도등의 다양하게 변화하는 기상요인에서 각 요인에 따라 발생되는 비래염분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실험인자에 따른 지속적인 실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래염분 포집기 개발 및 인공비래염분 발생장치(이하, 인공장치) 개발과 장치 성능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기초 실험 실시에 목표를 하였고, 또한 개발된 비래염분 포집기를 실 환경에 설치하여 각 실험인자에 따른 실환경에서의 비래염분 포집량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Compressive Loading on the Chloride Penetration of Concrete Mixed with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고로슬래그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염분침투성에 미치는 압축하중의 영향)

  • Kim, Dong-Hun;Lim, Nam-Gi;Horiguchi, Takash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9 no.6
    • /
    • pp.71-78
    • /
    • 2009
  •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loading on chloride penetration into concrete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hloride penetration rates for plain and BFS concrete were increased by 47% and 89% under compressive stress, respectively.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BFS concrete was lower than for conventional concrete with no BFS, no loads, and under stressed states. Therefore, BFS substitu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pression of chloride penetration even under compressive stress. Under compressive stress,the diffusion coefficient for BFS concrete was higher with increasing stress, and this was also the case for plain concrete. However, BFS concrete was strongly influenced by compressive stress in comparison to plain concret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of specific surfaces on the diffusion coefficient. As a result, the larger specific surface of BFS exhibited a lower diffusion coefficient. This tendency was most pronounced under the high stress conditions.

A Study on Salt Diffusion Coefficient and Deviation by Strength of High-Strength Concrete (고강도 콘크리트 강도별 염분확산계수 및 편차에 관한 연구)

  • Park, Dong-Cheon;Seok, Won-Kyun;Jeon, Hy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2.11a
    • /
    • pp.117-118
    • /
    • 2022
  • High-strength concrete is used for building durability on the coast. It is common to order and produce the concrete from several ready mixed concrete companies. The concrete in Busan was also commissioned by 12 ready mixed concrete companies.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alt diffusion coefficient were measured. The average value and deviation were analyzed.

  • PDF

Development of 3-D Hydrodynamical Model for Understanding Numerical Analysis of Density Current due to Salinity and Temperature and its Verification (염분과 온도차에 의한 밀도류 해석을 위한 3차원 동수역학적 수치모델의 개발 및 검증)

  • Lee, Woo-Dong;Hur, Do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3
    • /
    • pp.859-871
    • /
    • 2014
  • In order to analyze the density current due to salt and temperature difference, this study develops new numerical model (LES-WASS-3D ver. 2.0) by introducing state equation for salt and temperature and 3D advection-diffusion equation to existing 3D numerical wave tank (LES-WASS-3D ver. 1.0). To verify the applicability, the newly-developed numerical model is analyzed compar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 of existing numerical model. In the result, it well implement the behavior and vertical salt concentration of advected and diffused seawater as well as flow velocity and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warm water. This confirms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numerical model.

A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s of the Antibiotic Concrete (항균제 첨가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및 염분침투평가에 관한 연구)

  • Heo, Gweon;Choi, Hong-Shik;Lee, Si-Woo;An, Ji-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5a
    • /
    • pp.433-434
    • /
    • 2009
  • We evaluated the durabillity of the antibiotic concrete b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chloride ion diffusion coefficients. It would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the antibiotics has an influence upon the concrete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decrese the rates of the chloride ion mov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