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료재사용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일시적 수용성기를 갖는 reactive disperse dye의 응용 - 균염제를 사용하지 않는 양로의 반응염색 -

  • 최원희;이원재;김재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18-121
    • /
    • 1998
  • 양모는 풍후와 광에 의해 모단(tip)의 소수성 부분이 많이 상해되는 반면 모근(root)은 상대적으로 안정하다. 이로 인하여 모단에 비하여 모근에서 염료의 확산이 더 빠르기 때문에, 양모염색에 있어서 tipping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반응성염료로 양모를 염색하는 경우 전형적인 tippy-dyeing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두 개 이상의 수용성기를 가지므로 친수성이 강하여, 모근보다 모단에 더 많이 흡진된다. (중략)

  • PDF

Comparison of Efficiency between Dye-sensitized solar cells with Pt Counter Electrodes Manufactured by Different Methode (백금상대전극의 제조법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비교)

  • Koo, Bo-Kun;Lee, Dong-Yun;Kim, Hyun-Ju;Lee, Won-Jae;Song, J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a
    • /
    • pp.385-388
    • /
    • 2004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다공질 $TiO_2$ 전극막, 광감응형 염료, 전해질, 상대전극으로 구성된, 전기화학적 원리를 응용한 신형태양전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백금 상대전극의 제조 방법에 따른 태양전지의 효율 및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백금 상대전극막의 제조 방법은 스퍼터링(sputtering)법 과 전기도금(electroplating)법이다. 두 상대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cyclic voltammetry와 Imepedance spectroscopy 측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두 전극이 태양전지의 효율 및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단위 셀 태양전지를 제조하여 단파장 하에서 $350nm{\sim}700nm$의 파장별 효율을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다.

  • PDF

층류 박리된 관유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상준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4
    • /
    • pp.937-944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파이프내에 부분 오리피스판을 장착하여 이 장애벽 전후에서 발생하는 유동현상을 박리 전단층의 유동구조와 재부착 경계층을 중심으로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측정방법으로 유동의 속도장변화를 구하기 위하여 NMR 위상 영상법을 사용하였고, 과망간산칼륨을 염료로 가시화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 다.

Photo-Electric Characterization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with Carbon Nano Tube Counter Electrode (카본나노튜브 상대전극을 가지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특성)

  • Koo, Bo-Kun;Lee, Dong-Yoon;Kim, Hyun-Ju;Lee, Won-Jae;Song, Jae-Sung;Ramasamy, Easwaramoorthi;Seo, Seon-Hee;Kim, Sun-J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31-334
    • /
    • 2007
  • 탄소나노튜브는 화학적 안정성과 고전도성을 갖는 동시에 높은 비표면적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특정으로 염료감응형태양전지의 상대전극으로 사용 가능이 기대되어 지고 있으나, 아직 성공적인 연구가 발표되고 있지 않다. 많은 연구자들이 CNT 자체만으로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CNT 조작(가공)을 통해 CNT 특성을 올리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가공하지 않은 CNT powder를 이용하여 paste를 제조하고 doctro-blade법으로 코팅하여 CNT counter electrode를 제조하여 DSSC의 상대전극으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 해 보았다. 제조된 CNT counter electrode에 대한 CNT 자체만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DSSC 에 직접 적용하여 전지의 광전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탄소나노튜브의 고전도성 특성과 넓은 비표면적 특성에 의해 상대전극의 전해질/전극계변에서의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에 대한 촉매 작용을 향상시키고, 상대전극 표변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를 높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 PDF

Study on Initial Stabilit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with Carbon Nanotube Counter Electrode (탄소나노튜브 상대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초기안정성 연구)

  • Koo, Bo-Kun;Lee, Dong-Yoon;Kim, Hyun-Ju;Lee, Won-Jae;Song, Jae-S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c
    • /
    • pp.2007-2009
    • /
    • 2005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 분야에서 다공질 산화물 전극이나 염료 및 전해질 연구에 비해, 상대전극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가의 백금 상대전극을 대체하면서도 촉매 특성이 우수한 새로운 상대전극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신소재로서 높은 전기전도도 및 전자방출 특성 그리고 높은 표면적을 지니고 있어 전자기기 분야의 다방면에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대량생산 기술의 개발에 따라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을 이용하여 상대전극을 제조하였다. 이 탄소나노튜브 상대전극을 이용하여 단위 셀을 만들고, 유사 태양광 하에서의 전지의 광전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탄소나노튜브 상대전극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특성 및 수명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백금 상대전극의 광전 특성과 비교하여 탄소나노튜브의 상대전극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Comparison of Painting Characteristics on Portraits by Nondestructive Analysis of Joseon Dynasty in 18th Century - Focusing on Yu Eon-ho's Portrait - (비파괴 성분 분석을 통한 18세기 초상화의 채색 특성 비교 고찰 - 유언호 초상화를 중심으로 -)

  • Song, You Na;Lee, Han Hyeong;Chung, Yong Jae;Lee, Hye Yoo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2 no.1
    • /
    • pp.89-100
    • /
    • 2016
  • We estimated pigments and painting techniques with nondestructive analysis for Yu Eonho's portrait made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n compared with 11 portraits and painting characteristics at that time. The pigments used to Yu Eon-ho's portrait include lead white, yellow dye, cinnabar, minium, and pink dye, malachite, azurite, iron oxide red and brown dye, blue and pink dye for purple. In the result compared with painted pigments of 11 portraits, iron oxide red without cinnabar was used on the face part and organic green dye only was used instead of inorganic pigments on the other side of clothing after Yu Eonho's portraits portrait. This study is show the painting techniques on the portraits in the late $18^{th}$ century. We expect to use as useful referencing data for the study on the coloring technique of a portrait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eparation of PVA/Graphene Oxide/Fe3O4 Magnetic Microgels as an Effective Adsorbent for Dye Removal (폴리바이닐알코올/그래핀 옥사이드/산화철 자성 마이크로겔을 이용한 염료 제거)

  • Go, Seongmoon;Kim, Keunseong;Wi, Eunsol;Park, Rae-Su;Jung, Hong-Ryun;Yun, Changhun;Chang, Mincheol
    • Composites Research
    • /
    • v.35 no.2
    • /
    • pp.98-105
    • /
    • 2022
  • In this study, polyvinyl alcohol (PVA)/graphene oxide (GO)/iron oxide (Fe3O4) magnetic microgels were prepared using a microfluidic approach and the dye adsorption capacity of the microgels was confirmed. The adsorption capacity (qe) of the gels was evaluated by varying the dye concentration, pH, and contact time with the microgels. The dyes used in this work were methylene blue (MB), crystal violet (CV), and malachite green (MG), and microgels showed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191.1 mg/g) in methylene blue. The microgels exhibited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in the dye aqueous solution at pH 10 due to the presence of atomic nitrogen ions (N+) on the dye molecules. The adsorption isotherm studies revealed that the Langmuir isotherm is the best fit isotherm model for the dye adsorption on the microgels, indicative of monolayer adsorption. The kinetic analysis exhibited that the pseudo-second order model fits better than the pseudo-first order model, confirming that the adsorption process is chemisorption. In addition, the magnetic microgels showed good reusability and recovery effici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gels maintains more than 70% of the initial capacity after 5 times of cycle experiments.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ZnO nano-powder (ZnO 나노분말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Kim, Hyun-Ju;Lee, Dong-Yun;Song, Jae-Sung;Koo, Bo-K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a
    • /
    • pp.336-339
    • /
    • 2004
  • 근래에 $TiO_2$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이미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TiO_2$를 이용한 태양전지 효율이 한계에 이르러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넓은 밴드갭 직접형 반도체재료로서, 전기적, 열적, 광학적, 촉매 특성이 우수하고, 압전성이 크고 광투과성 및 형광성이 매우 우수하여, 현재 여러 전자사업 분야에서 사용될 뿐아니라, 태양전지분야에서도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ZnO를 이용하여 $TiO_2$ 대체 전극재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ZnO 슬러리는 유계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막은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법에 의해 TCO 위에 형성되었다. 원료 분말 및 막의 형상은 FE-SEM에 의해 확인되었다. 형성된 막은 다양한 조건에서 소결하여, 최종적으로 샌드위치형 염료감응형 셀을 제조한 후 효율을 측정 비교하여 태양전지의 활성 전극 재료로서 적정한 ZnO 조건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Decolorization of dye solution using membrane bioreactor (MBR) by Trametes versicolor (막생물반응기(MBR)에 의한 염료용액의 처리연구)

  • Lee, Yuri;Kim, Hyun-Gi;Park, Chulhwan;Lee, Byunghwan;Kim, Sangyong
    • Clean Technology
    • /
    • v.10 no.3
    • /
    • pp.131-137
    • /
    • 2004
  • Due to the low biodegradability of dyes, conventional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re inefficient in treating textile wastewater. In this study, white rot fungus, Trametes versicolor KCTC 16781, were investigated for the decolorization of Reactive black 5 solutions. This fungus was able to degrade the dye solutions by the ligninolytic enzymes (laccase and MnP) produced. The enzyme activity remained constant until the end of reaction. The combined process of biological treatment and ceramic membrane showed better efficiency for decolorization and TOC removal than each single process.

  • PDF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aldehydes in various indoor microenvironments (다양한 실내 구역에서의 알데히드류의 농도 분포)

  • 이지호;박성은;신동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439-440
    • /
    • 2000
  • 알데히드류는 실내의 다양한 오염원에서 발생되어 하루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건강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특히, 포름알데히드는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대표적인 실내 환경 오염 물질이기도 하다(Zhang junfeng et al., 1999). 포름알데히드는 urea 또는 phenol-formaldehyde 수지를 합성하는 주요 물질이며, 건축물 단열재, 가구의 염료 및 광택제, 접착제, 합판, particle board, 악취 제거제, 제지, 가스 스토브, 담배연기, 화장용품, 세제등 생활 용품에서 공업용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그 사용량도 증가되고 있다(Thomas J. Kelly et al., 1999).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