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 전도율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1초

폴리비닐알코올과 폴리에틸렌이민과의 혼합을 통한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Anion Exchange Membrane through Blending of the Poly(ethylenimine) and the Poly(vinyl alcohol))

  • 김성표;김백균;이학민;임지원;정성일
    • 멤브레인
    • /
    • 제20권4호
    • /
    • pp.335-34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교환막 개발에 관한 것으로 poly(ethylenimine) (PEI) / poly(vinyl alcohol) (PVA)의 혼합비율에 따라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의 특성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함수율, 접촉각, FT-IR, 이온교환용량, 이온전도도, 열 중량분석, 탄성계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온전도도 측정 결과 PVA/PEI의 함량이 90 : 10으로 제조된 막의 경우 $5.16{\times}10^{-2}S/cm$의 값을 나타내어 우수한 음이온전도도를 나타내었으며 접촉각 측정 결과 PEI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막표면의 소수성이 $78.3^{\circ}$까지 함께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열에 대한 안정성은 PVA의 우수한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았으며 탄성계수 측정을 통해 고강도 기계적 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설비용 $Sb_{2}O_{3}$충전 에폭시 경화제의 열팽창 및 전기적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 expansion and electrity on the epoxy hardening of $Sb_{2}O_{3}$ filler to use for electric lastallation)

  • 이보호;박동화;송경화;황명환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5권2호
    • /
    • pp.58-66
    • /
    • 1991
  • 본 논문은 내열성 에폭시수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에폭시수지에 $Sb_2O_3$를 첨가한 시편의 열팽창, 유전 및 도전특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155^{\circ}C$]이하에서의 온도증가에 따른 열팽창 계수는 순수 에폭시수지가 $8.19{\times}10^{-5}$ 인데 비해 7[%] 혼합한 경우에는$4.5{\times}10^{-5}$ 이었다. 2)$Sb_2O_3$의 혼합율에 따른 $\varepsilon\iota, \varepsilon\rho$의 온도의존성은 1[kHz]에서 순수에폭시수지는 [$155^{\circ}C$]근방에서 피크점을 보이고 있으나 $Sb_2O_3$의 혼합율이 증가함에 따라 피크점은 고온으로 옮아간다. 3) 전기전도로는 유리전이온도근방에서 변곡되는 두 개의 직선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1[%] 혼합한 경우에는 순수에폭시 수지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낸다.

  • PDF

MWCNT가 첨가된 시멘트복합체의 수화 및 전기저항 특성 (Hydration and Electrical Resistance of Cement Composites Containing MWCNTs)

  • 이건철;김영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8
    • /
    • 2020
  •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역학성, 전기전도성 등으로 다양한 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건설산업에서는 구조체에 자기센싱 기능을 부여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연구자들마다 실험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이에 대한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WCNT가 첨가된 시멘트페이스트의 수화열, 공극률, 리트벨트 정량분석법, 압축강도, 거리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측정하여 수화와 강도특성 및 전기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수화열은 MWCNT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XRD 리트벨트 정량분석법 결과 MWCNT 첨가율 증가에 따른 수화생성물의 양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압축강도 저하의 원은은 공극률 분석결과 MWCNT가 시멘트페이스트내에서 공극의 양을 증가시겼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SEM분석결과 MWCNT가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뭉쳐져 있어서 이 부위가 공극 및 취약부로 발생것으로 판단된다. 전기저항값은 첨가율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여 추후 자기센싱에 대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ulfonated Ether Sulfone을 포함한 Crosslinkable m-Aramid계 Ionomer의 합성과 연료전지 막으로의 이용 (Synthesis of Crosslinkable m-Aramid Ionomer Containing Sulfonated Ether Sulfone and Their Characterization for PEMFC Membrane)

  • 정현진;김정민;조창기
    • 폴리머
    • /
    • 제34권3호
    • /
    • pp.202-209
    • /
    • 2010
  • 열적 안정성과 기계적 강도에서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 메타계 aramid segment와 제막 특성이 우수하고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sulfone segment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연료 전지용 막으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아라미드 고분자의 solubility와 processability를 향상시키기 위해 아민기를 갖는 sulfonated ether sulfone단량체와 m-phenylene diamine 그리고 isophthaloyl chloride를 반응시켜 아민으로 말단화된 랜덤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것을 acryloyl chloride와 반응시켜 양 말단에 2중 결합이 도입된 고분자전구체를 합성하였다. 얻어진 고분자전구체는 열 가교를 통해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 제조되었으며, 전구체의 합성을 비롯한 각 단계의 반응은 $^1H$ NMR, FTIR, 및 적정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얻어진 전해질막은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 수소이온전도도, 열적 특성 등이 측정되었으며, sulfonated ether sulfone 단량체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이온교환용량, 함수율, 수소이온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Sulfonic acid sulfone segment를 30 몰%로 갖는 고분자 전해질 막의 경우 이온교환용량이 1.57 meq/g, 함수율은 44 wt% 이하의 수치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수소이온전도도의 값은 상대습도 100%, $25^{\circ}C$에서 $3.93{\times}10^{-2}S/cm$이었다.

Sulfonated Poly(ether sulfone)과 p-Phenylene Terephthalamide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가교 공중합체 멤브레인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Copolymer Membrane Containing Sulfonated Poly(ether sulfone) and p-Phenylene Terephthalamide Segments)

  • 김정민;황승식;조창기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06-112
    • /
    • 2011
  • 열적 안정성과 기계적 강도에서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 파라계 aramid 세그먼트와 제막 특성이 우수하고 내 가수분해성이 우수한 sulfone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연료 전지용 막으로써의 응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아라미드 고분자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아민기를 갖는 sulfonated ether sulfone 단량체와 p-phenylene diamine 그리고 terephthaloyl chloride를 일정한 순서로 반응시켜 아민으로 말단화된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것을 epoxy group을 함유하고 있는 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TMPTGE)와 열 가교를 통해 고분자 전해절막으로 제조되었으며, 전구체의 합성을 비롯한 각 단계의 반응은 $^lH$ NMR, FTIR, 및 적정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얻어진 전해질막은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 수소이온전도도 등이 측정되었으며 sulfonated ether sulfone 단량체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이온교환용량, 함수율, 수소이온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Sulfonic acid sulfone 세그먼트를 60 몰%로 갖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경우 이온교환용량이 1.88 meq/g, 함수율은 110wt% 이하의 수치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수소이온전도도의 값은 상대습도 100%, $25^{\circ}C$에서 $7.4{\times}10^{-2}$ S/cm이었다.

저진공 내 시료가열판과 시료의 열전달 (Heat Transfer between Substrate and Substrate-heater in Low Vacuum)

  • 박현재;오수기;신용현;정광화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2-310
    • /
    • 2008
  • 진공 챔버 내부에서 열접촉된 시료가열장치와 시료 사이의 열전달 현상을 고찰하였다. 열전달은 가스 유량과 기체 압력에 따른 대류현상, 시료와 접촉하는 기판가열장치의 표면 거칠기 및 접촉압력에 따른 전도현상, 기판가열장치의 표면 방사율에 따른 복사현상으로 나누어 푸리에 식과 슈테판-볼츠만 식을 이용하여 열흐름 값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시료가열장치의 온도를 $100\;-\;500^{\circ}C$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300 mTorr - 1 Torr 사이의 압력에 따른 시료의 온도를 측정하고, 푸리에 식과 슈테판-볼츠만 식을 이용하여 열흐름 값을 계산하였다. 열흐름 값의 산출에 사용된 푸리에 계수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역으로 열흐름 값으로부터 온도차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0.33 % 오차 내에서 재현됨을 확인하였다.

SWAT-MODFLOW 모형의 수리지질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geologic parameters in SWAT-MODFLOW model)

  • 김남원;정일문;이정우;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24-828
    • /
    • 2006
  • SWAT-MODFLOW 모형은 물리적 기반의 준 분포형 모형인 SWAT모형의 지하수 모듈을 분포형 모형인 MODFLOW로 대체하여 하천과 대수층간의 수위차이에 따른 물교환량으로 지하수 유출량을 결정하는 완전 연동형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이다. 이 모형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유역자료, 기상자료, 하천특성자료, 토지 이용자료, 토양자료, 작물자료, 지하수자료 등 다양한 입력 자료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입력 자료의 변동양상에 따라 모형의 결과가 크게 다르게 나타나므로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모형의 반응을 분석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유출해석을 담당하는 MODFLOW 모형의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모형의 반응을 검토하였다. SWAT-MODFLOW 모형을 경안천 유역에 적용하여 투수계수, 저류계수, 하상수리전도도 등의 주요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가 지하수 유출현상에 미치는 증감과 변화율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역출구점에서의 연평균 지하수유출량의 변화,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작용에 따른 지하수 유출량 시계열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플립칩 본더용 가열기의 열특성 해석을 위한 수치모델 (A Numerical Model to Analyze Thermal Behavior of a Radiative Heater Disigned for Flip-Chip Bonders)

  • 이상현;곽호상;한창수;류도현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1-49
    • /
    • 2003
  • This study presents a numerical model to analyze dynamic thermal behavior of a hot chuck designed for flip-chip bonders. The hot chuck of concern is a heater which has been specifically developed for accomplishing high-speed and ultra-precision solder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re radiative heat source and the heating tool made of a material of high thermal diffusivity. A physical modeling has been conducted for the network of heat transport. A simplified finite volume model is deviced to simulate time-dependent thermal behavior of the heating tool on which soldering is achieved.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numerical model is verified experimentally. A series of numerical tests illustrate the usefulness of the numerical model in design analysis.

저신장율 대향류확산화염에서 에지화염 불안정성에 관한 열손실 효과 (Effects of Heat Losses on Edge-flame Instabilities in Low Strain Rate Counterflow Diffusion Flames)

  • 박준성;황동진;김정수;길상인;김태권;박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0권10호
    • /
    • pp.996-1002
    • /
    • 2006
  • Experiments in methane-air low strain rate counterflow diffusion flames diluted with nitrogen have been conducted to study the behavior of flame extinction and edge flame oscillation in which flame length is less than the burner diameter and thus lateral conduction heat loss in addition to radiative heat loss could be remarkable at low global strain rates. Critical mole fraction at flame extinction is examined with velocity ratio and global strain rate. Onset conditions of edge flame oscillation and flame oscillation modes are also provided with global strain rate and added nitrogen mole fraction to fuel stream (fuel Lewis number). It is seen that flame length is closely relevant to lateral heat loss, and this affects flame extinction and edge flame oscillation considerably. Edge flame oscillations in low strain rate flames are experimentally described well and are categorized into three: a growing oscillation mode, a decaying oscillation mode, and a harmonic oscillation mode. The regime of flame oscillation is also provided at low strain rate flames. Important contribution of lateral heat loss even to edge flame oscillation is clarified

실리카 화합물을 함유한 PVA/PAM 전해질 막의 제조 및 특성과 직접메탄올 연료전지로의 응용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A/PAM Electrolyte Membranes Containing Silica Compound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

  • 윤석원;김대훈;이병성;이보성;문고영;변홍식;임지원
    • 폴리머
    • /
    • 제34권1호
    • /
    • pp.45-51
    • /
    • 2010
  • 본 연구는 직접메탄을 연료전지에 적용하기 위하여 poly(vinyl alcohol)를 주쇄부로 하여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PAM)와 [3-(trihydroxysilyl)-1-propanesulfonic acid](THS-PSA)를 도입하여 열 가교된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의 특성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FT-IR, 열 중량분석, 함수율, 이온교환용량, 이온전도도, 메탄올 투과도 등의 측정을 실시하여 Nafion 115와 비교하였다. 제조된 막의 이온교환용량은 Nafion 115의 0.91 meq./g membrane보다 향상된 1.6~1.8 meq./g membrane을 얻었다. 또한, 이온전도도의 경우 THS-PSA을 도입하여 Nafion 115($0.024\;S{\cdot}cm^{-1}$)보다 우수한 $0.042{\sim}0.056\;S{\cdot}cm^{-1}$을 얻을 수 있었으며, 가교온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탄올투과도의 경우 PAM과 THS-PSA의 도입으로 인하여 이온교환용량 및 이온전도도가 증가한 반면에 메탄올투과도는 모든 막의 경우 Nafion 115의 경우보다 높은 메탄올투과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