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환경 예측 모델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대공간 건축물의 온도 및 기류분포 예측 기술

  • 손장열;안병욱;박종수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4
    • /
    • pp.12-19
    • /
    • 2001
  • 대공간의 건축물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온도 및 기류분포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예측 방법으로 정밀해석 모델(CFD)만을 최선의 방법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지만, 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별로 보다 적합한 예측 방법을 적용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다양한 예측 모델들의 장·단점 및 실용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전제될 때 가능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열환경·설비 설계시, 설계 단계에 따른 적합한 예측 모델들을 소개한다. 더불어, 적절하고 타당한 예측 기술이 설계에 반영되어 대공간 건축물의 실내 열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약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Thermal Environment Prediction Model for Energy Saving of Data Center Cooling Systems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인공신경망 기반 열환경 예측 모델)

  • Chae-Young Lim;Chae-Eun Yeo;Seong-Yool Ahn;Sang-Hyun L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883-888
    • /
    • 2023
  • Since data centers are places that provide IT services 24 hours a day, 365 days a year, data center power consump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o approximately 10% by 2030, and the introduction of high-density IT equipment will gradually increase. In order to ensure the stable operation of IT equipment, various types of research are required to conserve energy in cooling and improve energy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rocess for energy saving in data centers. We conducted CFD modeling of the data center, propose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hermal environment prediction model, compared actual measured data, the predicted model, and the CFD results, and finally evaluated the data center's thermal management performance. It can be seen that the predicted values of RCI, RTI, and PUE are also similar according to the normalization used in the normalization metho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and provided as a thermal environment prediction model applied to data centers.

Development of a solar flux model for thermal load prediction of a launch vehicle (발사체 열부하 예측을 위한 태양열 모델 개발)

  • Kim, Seong-Lyong;Kim, In-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9
    • /
    • pp.826-835
    • /
    • 2007
  • Solar heat flux data is needed for thermal load prediction of launch vehicle. In order to predict the solar flux, several solar flux models have been compared and a new model is developed. Most of the models can predict well the direct solar flux, but show some errors in the scattered solar flux. The newly developed model considered isotropic and anisotropic scattered solar fluxes, and the predicted solar flux agreed well with the measured. Because the present model can be used at any longitude, latitude, day and altitude, the model would be an useful tool to predict the thermal load of the launch vehicle and the vehicles which have to consider the solar heat.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DS Heat Release Rate Predictions for Fire involving Solid Combustible Materials in a Closed Compartment (밀폐된 구획 내 복합소재 고체 가연물의 연소시 열방출률의 FDS 예측 특성)

  • Hong, Ter-Ki;Roh, Beom-Seok;Park, Seul-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349-356
    • /
    • 2020
  • The heat release rate (HRR) and fire growth rate of fire for the solid combustibles consisting of multi-materials was measured through the ISO 9705 room corner test, and the computational analysis in a closed compartment was performed to simulate a fire using the heat release rate prediction model provided by a Fire Dynamics Simulator (FDS).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heat release rate provided by the FDS was divided into a simple model and a pyrolysis model. Each model was applied and computa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solid combustible consisting of multi-materials, a cinema chair composed mostly of PU foam, PP, and steel was selected. The simple model was over-predicted compared to the predicted heat release rate and fire growth rate using the pyrolysis model in a closed compartment.

Evaluation of multi-basin integrated learning method of LSTM for hydrological time series prediction (수문 시계열 예측을 위한 LSTM의 다지점 통합 학습 방안 평가)

  • Choi, Jeonghyeon;Won, Jeongeun;Jung, Haeun;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6-366
    • /
    • 2022
  • 유역의 하천유량과 같은 수문 시계열을 모의 또는 예측하기 위한 수문 모델링에서 최근 기계 학습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데이터 기반 모델링 접근법은 입출력 자료에서 관찰된 패턴을 학습하며, 특히, 장단기기억(Long Short-Term Memory, LSTM) 네트워크는 많은 연구에서 수문 시계열 예측에 대한 적용성이 검증되었으나, 장기간의 고품질 관측자료를 활용할 때 더 나은 예측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장기간 관측된 고품질의 하천유량 자료를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STM 네트워크의 학습 시 가용한 모든 유역의 자료를 통합하여 학습시켰을 때 하천유량 예측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지 판단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13개 댐 유역을 대상으로 대상 유역의 자료만을 학습한 모델의 예측성능과 모든 유역의 자료를 학습한 모델의 예측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학습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기상자료(강우, 최저·최고·평균기온, 상대습도, 이슬점, 풍속, 잠재증발산)를 이용하였으며, 2011년부터 2020년에 대해 테스트 되었다. 다지점 통합학습을 통해 테스트 기간에 대해 예측된 각 유역의 일 하천유량의 KGE 중앙값이 0.74로 단일지점 학습을 통해 예측된 KGE(0.72)보다 다소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지점 통합학습이 하천유량 예측에 큰 개선을 달성하지는 못하였으며, 추가적인 가용 자료 확보와 LSTM 구성의 개선을 통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발사시 열환경 조건에 따른 해석해를 이용한 인공위성에 대한 열해석

  • 최준민;김희경;현범석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73-73
    • /
    • 2003
  • 인공위성은 발사체에 실려 임무궤도에 도달하는 동안 여러 과정을 겪고 이에 따른 우주 열환경에 노출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발사체의 페어링(Fairing)이 열리고 이후 인공위성이 임무궤도에 도달하는 동안까지 인공위성에 대한 열해석을 수치적인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해석해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발사시 인공위성에 대한 열해석은 수치모델을 개발하여야 하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그러나 수치 모델이 완성되기 전에 주요 부품에 대한 극한 환경에서의 온도 예측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주요 부품의 온도를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열관련 지배방정식에 여러 가정을 적용하여 지배방정식을 최대한 단순화시켰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1차 미분 방정식 형태의 단순화된 지배방정식을 얻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조건에 대한 연구가 시도하였다. 즉 고려하는 대상의 질량이 일정하게 유지 되는 경우와 일정한 비율로 질량이 감소하는 경우, 인공위성이 최악의 고온환경과 최악의 저온환경에 처한 경우, 그리고 시간에 대한 변수항 때문에 약간의 수치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해 기법은 적절한 우주 열환경 조건과 결합하게 되면 발사과정에 대한 완전한 수치모델이 완성되기전에 위성체 부품에 대한 열적 안정성을 검토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User Modeling based Time-Series Analysis for Context Prediction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컨텍스트 예측을 위한 시계열 분석 기반 사용자 모델링)

  • Choi, Young-Hwan;Lee, S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5
    • /
    • pp.655-660
    • /
    • 2009
  • The context prediction algorithms are not suitable to provide real-time personalized service for users in context-awareness environment. The algorithms have problems like time delay in training data processing and the difficulties of implementation in real-tim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ediction algorithm with user modeling to shorten of processing time and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in the context prediction algorithm. The algorithm uses moving path of user contexts for context prediction and generates user model by time-series analysis of user's moving path. And that predicts the user context with the user model by sequence matching method. We compared our algorithms with the prediction algorithms by processing time and prediction accuracy. As the result, the prediction accuracy of our algorithm is similar to the prediction algorithms, and processing time is reduced by 40% in real time service environment.

BIM Based Time-series Cost Model for Building Projects: Focusing on Construction Material Prices (BIM 기반의 설계단계 원가예측 시계열모델 -자재가격을 중심으로-)

  • Hwang, Sung-Joo;Park, Moon-Seo;Lee, Hyun-Soo;Kim, Hyun-S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2
    • /
    • pp.111-120
    • /
    • 2011
  • High-rise buildings have recently increased over the residential, commercial and office facilities, thus an understanding of construction cost for high-rise building projects has been a fundamental issue due to enormous construction cost as well as unpredictable market conditions and fluctuations in the rate of inflation by long-term construction periods of high-rise projects. Especially, recent violent fluctuations of construction material prices add to problems in construction cost forecasting. This research, therefore, develops a time-series model with the Box-Jenkins methodologies and material prices time-series data in Korea in order to forecast future trends of unit prices of required materials.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pproaches are also used to analyze injection time of construction resources and to conduct quantity takeoff so that total material price can be forecasted. Comparative analysis of Predictability of tentative ARIMA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s was conducted to determine optimal time-series model for forecasting future price trends. Proposed BIM based time series forecasting model can help to deal with sudden changes in economic conditions by estimating future material prices.

Accurate dam inflow predictions using SWLSTM (정확한 댐유입량 예측을 위한 SWLSTM 개발)

  • Kim, Jongho;Tran, Trung Duc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92-292
    • /
    • 2021
  • 최근 데이터 과학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중 하나인 LSTM(Long-Short Term Memory)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정확한 댐유입량 예측을 수행하는 SWLSTM 모델을 제안하였다. SWLSM은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세 가지 주요 아이디어를 채택하였다. (1) 통계적 속성 (PACF) 및 교차 상관 함수(CCF)를 사용하여 적절한 입력 변수와 시퀀스 길이를 결정하였다. (2) 선택된 입력 예측 변수 시계열을 웨이블릿 변환(WT)을 사용하여 하위 시계열로 분해한다. (3) k-folds cross validation 및 random search 기법을 사용하여 LSTM의 하이퍼 매개변수들을 효율적으로 최적화하고 검증한다. 제안된 SWLSTM의 효과는 한강 유역 5개 댐의 시단위/일단위/월단위 유입량을 예측하고 과거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검증하였다. 모델의 정확도는 다양한 평가 메트릭(R2, NSE, MAE, PE)이 사용하였으며, SWLSTM은 모든 경우에서 LSTM 모델을 능가하였다. (평가 지표는 약 30 ~ 80 %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줌).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올바른 입력 변수와 시퀀스 길이의 선택이 모델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노이즈를 줄이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WT는 홍수 첨두와 같은 극단적인 값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k-folds cross validation 및 random search 기법을 사용하면 모델의 하이퍼 매개변수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로부터 댐 유입량을 정확하게 예측한다면 정책 입안자와 운영자가 저수지 운영, 계획 및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Developing radar-based rainfall prediction model with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강우예측모델 개발)

  • Choi, Suyeon;Sohn, Soyoung;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85-185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돌발 강우 등 이상 기후 현상이 증가함에 따라 정확한 강우예측의 중요성은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통적인 강우예측의 경우 기상수치모델 또는 외삽법을 이용한 레이더 기반 강우예측 기법을 이용하며, 최근 머신러닝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를 활용한 레이더 자료기반 강우예측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 머신러닝을 이용한 강우예측 모델의 경우 주로 시계열 이미지 예측에 적합한 2차원 순환 신경망 기반 기법(Convolutional Long Short-Term Memory, ConvLSTM) 또는 합성곱 신경망 기반 기법(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Encoder-Decoder) 등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 기반 기법(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이용해 미래 강우예측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GAN 방법론은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자와 이를 실제 이미지와 구분하는 구별자가 경쟁하며 학습되어 현재 이미지 생성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AN 기반 모델은 기상청에서 제공된 2016년~2019년까지의 레이더 이미지 자료를 이용하여 초단기, 단기 강우예측을 수행하도록 학습시키고, 2020년 레이더 이미지 자료를 이용해 단기강우예측을 모의하였다. 또한, 기존 머신러닝 기법을 기반으로 한 모델들의 강우예측결과와 GAN 기반 모델의 강우예측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강우예측모델이 단기강우예측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