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충격 저항성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8초

플라즈마 용사법에 의해 다층코팅된 탄소탄소복합재료의 열충격 저항성 연구 (Study of the thermal shock resistance of multi-coating for C/C composite by plasma spray coating)

  • 이구현;정성일;변응선;남기석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6-106
    • /
    • 2013
  • C/C Composite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산화되어 고유의 특성을 쉽게 잃어버리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Plasma Spray 코팅방법을 사용하여 다층 코팅층을 형성 시킨 후 $1600^{\circ}C$의 온도에서 열충격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 PDF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복합재료 구조물의 저속충격특성 향상 (Improvement of Impact Resistance of Composite Structures using Shape Memory Alloys)

  • 김은호;임미선;이인;김형원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53-456
    • /
    • 2009
  • 복합재료 구조물의 충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상기억합금을 삽입한 복합재료 평판의 충격실험을 수행하였다. 형상기억합금은 일반 금속 재료에 비해 큰 극한 변형율과 강도를 가질 뿐 아니라 변형시에 상변화를 통해서 많은 변형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을 복합재료에 삽입하여 충격에 약한 복합재료의 충격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여러 온도에서 형상기억합금의 인장실험을 수행하여 형상기억합금의 열-기계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후 형상기억합금, 철, 알루미늄 선을 삽입한 복합재료 평판의 충격 실험을 통하여 보강재에 따른 충격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형상기억합금의 두께 방향으로의 삽입위치에 따른 충격 특성을 파악하였다.

  • PDF

닭의 열 스트레스와 열충격단백질 (Heat Shock Proteins in Heat Stressed Chickens)

  • 문양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19-227
    • /
    • 2020
  • 기후변화는 현대 축산업이 직면한 가장 큰 위협 중의 하나이고, 특히 열 스트레스는 가금의 생산성 저하뿐만 아니라, 가축의 불편함과 고통을 증가시켜 동물의 복지에도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열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요구되는데, 가축의 열 스트레스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생물학적 평가지표의 개발은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과 열 저항성 가금의 육종, 지속 가능한 가금 산업과 동물복지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스트레스호르몬, hetero- phils lymphocytes의 비율, 텔로미어 마모 정도 등 열 스트레스에 대한 다양한 바이오마커 중에 열충격단백질(HSPs)은 세포내 온도계로 여겨지며, HSPs 중에서도 HSP70은 가장 풍부한 단백질이면서 열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바이오 마커로 알려져 있다. HSP는 또한 열 충격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해주는 샤페론 활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HSP70 바이오마커는 가축의 열 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 평가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HSP70의 발현 변화의 이해는 기후변화에 대처하면서 지속가능한 가금 산업을 위해 매우 중요하고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닭의 열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HSP70을 중심으로 HSP의 작용기전과 역할, 열 스트레스와 HSP, 내열성 가축 선발을 위한 HSP70의 잠재성, 그리고 열 스트레스 바이오마커로서의 HSP70 등에 대한 최근까지의 연구들을 소개한다.

Aluminium Aluminium Titanate-Mullite 복합체: Part2. 열충격성 (Aluminium Aluminium Titanate-Mullite Composites: Part2. Thermal Shock Resistance)

  • 김익진;강원호;고영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6-212
    • /
    • 1994
  • 여러가지 화학 조성을 갖는 aluminium titanate mullite복합제는 $AI_2O_3$분말을 알콜 분산용액에서 $Si(OC_2H_5)_4$$Ti(OC_2H_5)_4$의 단계적인 가수 분해로 합성되었다. Mullite함량이 20-50vol%인 소결체($1600^{\circ}C$/2h)는 비교적 높은 강도와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aluminium titanate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mullite로 인한 aluminium titanate의 입자 크기의 억제와 미세균열에 의하여 얻어졌다. aluminium titanate의 함량이 70-80vol% 복합재료는 우수한 열충격 저항성을 지녔으며 상온 강도는 31-45MPa이었다. 열충격 저항성, 영률, sound velocity화 열팽창 계수가 연구되었다.

  • PDF

태양전지 두께에 Ribbon 따른 장기 신뢰성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Long-term Reliability Characteristics by Solar Cell Ribbon Thickness)

  • 강민수;전유재;신영의
    • 에너지공학
    • /
    • 제22권4호
    • /
    • pp.333-33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태양전지의 Ribbon 두께(A-type:0.2mm, B-type:0.25mm)에 따라 3가지 온도조건 ($-40{\sim}65^{\circ}C$, $-40{\sim}85^{\circ}C$, $-40{\sim}105^{\circ}C$)으로 열충격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A, B type 별 초기 평균효율은 15.2%로 같았다. 하지만, 열충격 시험(600 Cycle) 후 Condition 1에서 A-type 7.5%, B-type 7.7%, Condition 2에서는 8.6%, 13.2%를 나타내었다. Condition 3에서는 각각 11.6%, 19.9%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열충격 시험 후 A-type보다 Ribbon두께가 두꺼운 B-type의 효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A, B type 모두 이종재료 접합부의 금속간화합물(IMC)층이 형성되어 전기적 저항이 증대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B-type의 I-V 특성 곡선 및 EL을 분석한 결과, p-n층이 파괴되고, 병렬저항이 감소하여, 장기적 신뢰성에서 A-type 보다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태양전지 Ribbon 형상에 따른 장기 신뢰성 특성에 대해 수치해석 및 시뮬레이션 분석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PDP 제조 공정시 유리의 열충격 파손 예측 (Prediction of thermal shock failure of glass during PDP manufacturing process)

  • 김재현;최병익;이학주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2-129
    • /
    • 2004
  •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large flat panel display devices. PDP (Plasma Display Panel)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for this need. Thermal shock failure of PDP glas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is a critical issue in PDP industry sinc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 yield and the production speed. In this study, thermal shock resistance of PDP glass is measured by water quenching test and an analysis scheme is described for estimating transient temperature and stress distributions during thermal shock.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analysis results, a simple procedure for predicting the thermal shock failure of PDP glass is proposed. The fast cooling process for heated glass plates can accelerate the speed of PDP production, but often leads to thermal shock failure of the glass plates. Therefore, a design guideline for preventing the failure is presented from a viewpoint of high speed PDP manufacturing process. This design guideline can be used for PDP process design and thermal -shock failure prevention.

$Fe_2O_3$ 함유 MgO C1'를 적용한 시멘트 Kiln용 염기성 벽돌의 고온 특성

  • 김동한;엄창중;이승제;김상재
    • 시멘트 심포지엄
    • /
    • 30호
    • /
    • pp.132-138
    • /
    • 2003
  • 시멘트 kiln용 염기성 벽돌의 시멘트 coating 부착성과 고온 강도 특성 향상을 위하여 $Fe_2O_3$함유 magnesia clinker을 적용하였다. $Fe_2O_3$ 함유 magnesia clinker가 사용된 Magnesia-Chromite질 벽돌은 통기율이 크게 저하되었고 상온 및 고온 꺽임강도가 증가되었다. 특히, $Fe_2O_3$ 함유 magnesia clinker를 적용하여 약 1$\%$$Fe_2O_3$ 함량을 가지는 Magnesia-Spinel질 벽돌은 고온에서 높은 꺽임 강도, 열충격 저항성, 향상된 시멘트 coating 부착성을 나타내었다.

  • PDF

800MPa급 무예열 GMA 용접재료 개발 (Development of Preheat-free 800 MPa GMA Welding Consumable)

  • 김희진;서준석;박형근;박철규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39
    • /
    • 2009
  • 고강도강의 용접성은 저온균열 저항성으로 대변되는데, TMCP강과 HSLA강 등이 개발되면서 고강도강의 저온균열저항성이 크게 향상되어 무예열 용접성이 확보되었다. 그러나 용접재료 측면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재료의 개발이 지연되어 용착금속부에서의 저온균열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800 MPa급인 HY-100강재를 HSLA-100강으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현실적인 문제로 제기 되었다. 즉 HSLA강은 용접 예열이 필요치 않았으나 기존의 용접재료, 즉 HY-100 강재에 사용하던 용접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용착금속부에서 저온균열이 발생하여 용접예열을 생략할 수 없다는 판단에 이르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HSLA-100강을 무예열 용접할 수 있는 GMA 용접와이어 개발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개발 목표는 무예열 용접조건에서 800 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며 $-50^{\circ}C$에서의 충격인성이 50 J 이상인 GMA 용접와이어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접재료를 합금설계함에 있어 무예열 용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용접재료의 탄소함량을 0.01% 수준으로 하고, 용착금속의 인장강도와 저온 충격치에 미치는 Mn과 Mo 함량의 영향을 검토하고 각각의 조성을 실험계획법으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확산성수소량에 따른 저온균열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무예열용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확산성수소량이 3ml/100g 이하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자재인 와이어로드의 표면 품질이 중요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실험계획법에 의거하여 선정된 합금조성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800kg 중량의 시제품을 생산하였으며, 생산된 시제품에 대해서는 실험계획법에서 사용한 Ar+5%CO2외에도 Ar+20%CO2를 적용하여 보호가스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검토 과정에서 Ar+20%CO2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접재료의 Si 및 Mn 함량이 상향조정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탄소함량을 0.05% 수준으로 증가시키면 Mo 함량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GMA 용접재료는 무예열 용접조건에서 저온균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인장강도는 830 MPa이었으며 $-50^{\circ}C$에서의 충격치는 90 J 이상이었다.

  • PDF

추진기관 노즐용 Needle Punch 탄소/탄소 복합재료 제조

  • 조대현;조채욱;이종문;구형회;이재열;윤남균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1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67-470
    • /
    • 2008
  • 추진기관용 노즐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소재로는 흑연소재와 탄소/탄소 복합재료를 들 수 있다. 흑연 소재는 열충격 저항성이 취약하여 사용 중 파손의 발생가능성이 높아 현재는 열축격 저항성이 우수한 탄소/탄소 복합재료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입에 의존하였던 Quasi-3D 구조의 니들펀치(Needle Punch) 프리폼을 국산화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니들펀치 프리폼의 제조 공정 및 밀도화 공정을 다루고자 한다.

  • PDF

열충격 Salmonella Typhimurium의 산과 산화제에서 생존력 증가 (Increased Viability of Sub-lethal Heat Shocked Salmonella Typhimurium on Acids and Oxidants)

  • 문보연;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12-716
    • /
    • 2008
  • Salmonella로부터 식품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보존법의 병용처리에 의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S. Typhimurium을 열과 산, 산화제 등으로 연속 처리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열충격에 의하여 S. Typhimurium 내에 발현되거나 억제되는 단백질을 이차원 전기영동과 MALDI-TOF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열처리된 S. Typhimurium은 초산과 염산의 pH 4에서의 생균수가 1.3-1.8 log CFU/mL가 줄었고 비열처리 S. Typhimurium은 생균수가 약 5 log CFU/mL가 감소하였다. 열처리 S. Typhimurium은 butyl hydrogen peroxide와 과산화수소에서 생균수가 1.1-1.7 log CFU/mL가 줄었으나 비열처리 S. Typhimurium은 5.4-5.6 log CFU/mL 감소하였다. 충분하지 않은 사멸 열처리는 S. Typhimurium의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산과 산화제 등의 보존제에서 저항성이 커지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차원 전기영동과 MALDI-TOF 질량분석에 의한 발현 단백질 분석 결과 비열처리 S. Typhimurium은 17개의 단백질이 검출되었고 열처리 S. Typhimurium에는 13개의 단백질만 검출되었다. 이들 중에 열충격 단백질로 알려진 DnaK, small heat shock protein 등이 검출되었고 이들이 산과 산화제에서의 생존 저항성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열처리를 포함하는 hurdle technology를 적용하여 식품을 보존처리할 때 다른 보존제에 대한 교차보호성이 증가되는 사실을 고려하여 적절한 열처리가 고려되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