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전달 감소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36초

열교환기 형상이 축소한 IRWST 내부의 풀핵비등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Combined Effects of Heat Exchanger Geometries on Nucleate Pool Boiling Heat Transfer in a Scaled IRWST)

  • Kang, Myeong-Gie;Chun, Moon-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16
    • /
    • 1996
  • 축소한 격납용기 내부 핵연료재장전수저장탱크의 안쪽에 설치한 열교환기 튜브의 주요 매개변수들이 풀핵비등 열전달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극명하기 위해 튜브 외경, 표면 거칠기, 그리고 튜브 설치 방향에 대한 다양한 조합들을 환용하여 열유속 q'quot;와 과열 온도 차이 $\Delta$T 간의 관계에 대한 총 1,966 개의 실험값을 취득하였다. 이 실험 결과들에 의하면, (1) 표면 거칠기 증가는 수평 및 수직 튜브 모두에 대해 열전달을 향상시키고, (2) 기포 생성에 따른 두가지 열전달 기구인 주변 액체 운동증가에 의한 열전달 향상과 기포층 및 기포 군집 형성에 의한 열전달 감소는 50㎾/$m^2$의 열유속을 경계로 낮은 열유속과 높은 열유속 영 역 에서 서로 다르게 관찰되는데, 이것은 튜브 설치 방향과 표면 거칠기의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3) 튜브 외경 증가는 수평 및 수직 튜브 모두에 대해 열전달을 감소시키는데, 그 영향정도는 수평보다 수직구조에서 더 크다. 수평 및 수직 튜브들에 대해 열유속 q'quot;와 표면 거칠기 ($\varepsilon$) 및 튜브 외경 (D)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두 가지 실험식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q'quot;만의 함수로된 풀핵비등 열전달계수( $h_{b}$ 에 대한 간단한 실험식도 부가적으로 개발하였다. 실험식도 부가적으로 개발하였다.'quot;만의 함수로된 풀핵비등 열전달계수($h_{b}$ 에 대한 간단한 실험식도 부가적으로 개발하였다.

  • PDF

유동형태 변화가 배관 곡관부 대류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hanges in Flow Pattern on Convective Heat Transfer in the Vicinity of Pipe Elbow)

  • 송승현;유호선
    • 플랜트 저널
    • /
    • 제15권1호
    • /
    • pp.25-3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배관 곡관부의 유동가속부식을 일으키는 인자 중 수력학적 인자인 유동형태 변경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 부식을 저감시키는 연구를 추진하였다. 열전달과 물질전달, 물질전달과 유동가속부식의 상사성에 대해 이론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상용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국소대류열전달계수를 해석함으로써 곡관부의 물질전달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곡관부 상류의 직관부 내표면 안쪽과 바깥쪽에 요철을 설치하였을 때 최대 국소열전달계수는 기본유동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여 요철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4.9%까지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곡관부 상류의 직관부에 가인드 베인을 삽입하면 가이드 베인에 의한 배관 내측면적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대 국소열전달계수가 기본유동에 비해 12.5%까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압축성 유동장에서의 원형 실린더 주위의 강제 및 혼합대류에 대한 수치 해석 (Numerical Analysis of Forced and Mixed Convection around the Circular Cylinder for Compressible Flow)

  • 최윤호;이현찬;유재석;김기현
    • 에너지공학
    • /
    • 제4권1호
    • /
    • pp.126-139
    • /
    • 1995
  • 저속의 압축성 유동장에서의 원형 실린더 주위의 유동 및 열전달특성을 해석하였다. 비압축성 유동장에서의 실린더 주위의 유동 및 열전달현상에 대하여는 실험과 수치해석을 포함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매우 잘 알려져 있다. 실린더 벽면과 주위 유동장의 온도차가 큰 경우, 밀도의 변화가 커지므로 유동장은 압축성 유체가 되나 지배 방정식의 복잡함과 적절한 수치해석 방법의 부족으로 실린더 주위의 유동장을 압축성유체로 해석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현재 압축성유동 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time marching algorithm은 저속의 유동장 해석시 지배방정식에 나타나는 eigenvalue들의 괴리에 의하여 수렴속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난점을 극복할 수 있는 time-derivative preconditioning 방법을 사용하여 온도차가 큰 유동장에서의 강제 및 혼합대류에 대한 계산을 수행하였고 이들의 열전달특성을 비교하였다. 강제대류의 경우 실린더 벽면 온도의 증가에 따른 밀도 감소의 영향은 유동장의 Re수를 감소시켜 확산의 영향을 증가시키면서, 혼합대류의 경우 부력의 영향은 가열되는 유동장의 범위와 재순환 영역을 강제대류에 비해 현저히 감소시킨다.

  • PDF

일중 피복온실의 관류열전달계수 산정 (Estimation of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for Single Layer Covering in Greenhouse)

  • 황영윤;이종원;이현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8-11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중피복온실의 피복재에 대하여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찾아내고 검증하여 다양한 온실조건 및 환경조건에서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온실내부 및 외부온도와 피복재 표면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간 및 야간 온도를 모두 고려하였을 때보다 야간온도만을 고려하였을 경우가 상관성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재의 표면온도가 온실의 외부온도보다는 내부온도와 상관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는데 사용된 5가지 종류의 대류 및 복사열전달계수 산정식을 비교한 결과 Kittas가 제안한 대류 및 복사열전달계수 산정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재 표면온도의 측정값과 계산 값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직선의 기울기는 1.009이고 절편은 0.001이며 결정계수가 0.98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관류열전달계수 산정모델이 신뢰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실내부로부터 피복재 내부표면으로 전달되는 열흐름량의 경우 모든 풍속구간에 대해 대류열전달량이 복사열전달량보다 더 컸으며 풍속이 증가할수록 그 차이가 증가하였다. 외부표면에서 손실되는 열흐름량의 경우 풍속이 낮을 때에는 대류열전달량에 비해 복사열전달량이 더 컸으나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그 차이는 점점 줄어들어 풍속이 높을 때에는 대류열전달량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재 외부 표면의 대류열전달량은 내부표면의 대류열전달량에 직선적으로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관류열전달계수는 증가하고 피복재의 표면 온도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변화추세를 보면 관류열전달계수는 거듭제곱함수와 그리고 표면온도는 로그함수와 잘 일치하였다.

형상변수에 따른 나선형 원형핀-튜브 열교환기의 공기측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Air-Sid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Spirally-Coiled Circular Fin-Tub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Geometric Parameters)

  • 강태형;이무연;김용찬;윤성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5호
    • /
    • pp.515-52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착상 조건에서 나선형 원형핀-튜브 열교환기의 형상변수에 따른 열전달특성을 고찰하고 평판 사각핀-튜브 열교환기와 열전달성능을 비교하는 것이다. 나선형 원형핀-튜브 열교환기는 Lfoot 길이 2.7 mm 에서 열전달계수가 최대로 나타났으며, 공기측 열전달계수는 튜브열수가 2 열에서 5 열로 증가하면서 평균 10% 감소하였고 핀피치가 5 mm 에서 10 mm 로 증가하면서 평균 17.5% 증가하였다. 모든 풍량조건에서 나선형 원형핀-튜브 열교환기의 튜브피치 30 mm 가 35 mm 보다 열전달량이 평균 5.1% 높게 나타났고 튜브두께 0.5 mm 가 0.7 mm 보다 열전달량이 평균 4.1% 높게 나타났다. 나선형 원형핀-튜브 열교환기의 열전달계수가 평판 사각핀-튜브 열교환기에 비하여 평균 24.3% 정도 높게 나타났다.

우퍼 스피커 유닛의 열전달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woofer speaker unit)

  • 김형진;김대완;이무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623-262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우퍼 스피커 유닛의 열전달 특성 고찰하기 위하여 입력신호를 500Hz, 1000Hz, 2000Hz 그리고 3000Hz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퍼 스피커 유닛의 더스트 캡을 제거하고 보빈 내부에 열전대를 부착하여 보이스 코일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하였고 주변으로의 열전달 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입력신호가 감소할수록 보이스 코일 온도가 증가하였고, 입력신호가 증가할수록 스피커 유닛 각 부품의 온도편차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800sec및 입력신호 500Hz에서 보이스 코일 온도는 3000Hz에 비하여 48.4% 감소하였다.

충돌 분류의 열전달 특성향상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Heat Transfer Augmentation of an Impinging Jet)

  • 정기호;김예용;김귀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6-7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송풍기의 출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열전달 계수의 증가를 가져오기 위한 방법으로 다공판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다공판에 의한 운동량 감소 등의 몇 가지 단점이 있지만 특정한 조건에서 사용될 때, 정체 유동 영역에서 다공판이 없는 경우보다 최고 2배 이상 열전달 계수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하고 간편한 실험을 위하여 액정을 온도 지시계로 사용하였으며, 액정을 이용하면 열전대 등을 온도 지시계로 이용하는 실험보다 훨씬 간단하고 정확한 실험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 증발기의 전열 특성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the Evaporator of a Soft Ice Cream Maker)

  • 변호원;이진욱;김내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466-1473
    • /
    • 2012
  • 소프트 아이스크림은 환형 증발부의 외측에서 증발하는 R-404A에 의해 형성된 얼음을 스크레이퍼로 깍아내어 제조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 아이스크림 증발기의 냉매 측 및 아이스크림 측 열전달계수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환형부 내 냉매 유동은 격막에 의해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열전달계수도 위치에 따라 현저히 달랐다. 즉, 유입위치의 열전달 계수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냉매측 평균 열전달계수는 열유속의 증가에 따라 또한 포화온도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였다. 열유속과 포화온도를 변수로 하여 평균 열전달계수를 예측하는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아이스크림 측 열전달계수는 연속적으로 진동하였다. 이는 스크레이퍼에 의해 관벽의 얼음이 주기적으로 탈착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아이스크림 원액의 단상 열전달계수는 냉각 기간 중 150 W/$m^2K$에서 250 W/$m^2K$로 증가하였다. 아이스크림 제조 시 열전달계수는 대략 280 W/$m^2K$로 나타났다.

로켓 모터의 작동시간이 노즐 열전달 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Operating Time of a Rocket Motor on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Nozzle)

  • 김진수;김경식;조승환;권영두;권순범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4-30
    • /
    • 2013
  • 미사일 탄두의 정확한 제어를 위하여, 로켓 모터의 구조 및 유체/열역학적 안정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유도탄의 초기 선회형 로켓 모터는 작동 시간이 짧음에도 불구하고, 고온 고압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노즐 목 부근에서는 삭마(削磨, Ablation)가 일어나 유동자체의 불안정이 발생하고, 열 및 기계적 응력 때문에 시스템 자체가 파국에 이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관련, 본 연구에서는 열응력(Thermal stress) 및 삭마는 유동 연소 가스로부터 노즐 재료로의 전열량과 재료 내부의 온도 차이에 기인된다는 판단에 따라 로켓 모터의 작동시간이 노즐 벽면 열전달 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노즐 벽면 열전달 계수는 노즐 목 바로 직전에서 가장 크게 되고, 로켓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길어질수록 열전달 계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노즐 목의 곡률반경이 작을수록, 최대 열전달 계수가 크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사기가 주기적으로 배열된 가열면의 3차원 열전달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3-dimensional Heat transfer of Heating Surface with Periodically Arrayed Injectors)

  • 조원국;김영목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12-119
    • /
    • 2002
  • 주기적으로 배열된 액체 로켓엔진의 연료 분사기 배열에 대한 3차원 열전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는 SIMPLE 알고리즘을 사용한 유한체적법이 적용되었으며 2차원 후향 계단에 대해서 기존의 문헌과 일치하는 열전달 결과를 주었다. 분사기 요소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누셀 수와 압력강하가 증가하였다. 레이놀즈 수가 증가할 경우, 누셀 수는 증가 하였으며 무차원 압력강하는 약간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