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적 현상

Search Result 383,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The analytical research of thermal stratification phenomena in the LOX tank of launch vehicle (우주발사체 액체산소 탱크 내에서의 열적 성층화 현상에 대한 해석적 연구)

  • Chung Yong-Gahp;Kil Gyoung-Sub;Kwon Oh-Sung;Kim Young-Mog;Cho Nam-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0a
    • /
    • pp.178-183
    • /
    • 2004
  • Thermal stratification phenomena in the liquid oxygen tank of launch vehicle is caused by heat influx from ambient and non-equilibrium heat and mass transfer in the cryogenic tank. The thermal stratification study is needed for designing vent system, tank insulation, pump inlet. In this paper by investigating buoyancy driven boundary layer flow by side wall heating, one dimensional analysis of thermal stratification is peformed. thermal gradient is described with time.

  • PDF

The Correlation of Sweating of Oil/wax Structure and Thermal Property (오일/왁스 구조의 열적 특성과 Sweating과의 상관관계)

  • Yun, Seiyoung;Kim, Jungil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4 no.2
    • /
    • pp.144-147
    • /
    • 2013
  • Sweating, which is the excretion of oil on the surface of a solid product containing several kinds of pigments in oil and is also solidified with wax, is a unique phenomenon often observed on the surface of cover make-up or lipstick. The cause of sweating is an imbalanced formula.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crease the symptoms of sweating in the field of cosmetics.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is a thermo-analytical technique that measures the amount of heat requir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a sample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or time under certain conditions. DSC has been used to determine the thermal properties of oil/wax structur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thermal characteristics correlate with the sweating symptoms. An oil/wax formulation with an optimal melting point was studied in an attempt to make a stable product by considering the thermal properties that represent minimal structural changes with temperature variation. In addition, the sweating of the oil/wax formulation was observed over a various temperature ran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weating was minimized when the structure remained static or little bit changed over a variety of temperatures.

외뿔소자리 신성 1975의 다단계 분출 현상의 이론적 고찰

  • Kim, Sun-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17-117
    • /
    • 2010
  • 외뿔소자리 신성 1975는 발견 당시에는 백색왜성과 적색왜성의 근접쌍성계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엑스선 관측과 그에 따른 표준 정류 상태 원반 모형에 근거한 해석으로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의 가능성이 대두되었다. 곧이어, 광학관측에 의하여 블랙홀 이중성임이 간접적으로 동정되었다. 최근 들어 1975젼 당시의 많지 않은 전파 관측 자료들을 재해석하여 상대론적인 물질 분출 현상, 즉 마이크로퀘이사 현상이 있었을 가능성이 관측적으로 제시되었다. 우리는 시간 종속적 열적 불안정성 모형을 바탕으로 수치모형을 계산하여 관측적으로 제시된 물질분출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Thermal Phenomena of an N2O Catalyst Bed for Hybrid Rockets Using a Porous Medium Approach (다공성 매질 접근법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켓 N2O 촉매 점화기의 열적 현상)

  • 유우준;김수종;김진곤;장석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9
    • /
    • pp.89-96
    • /
    • 2006
  • In this study, fluid flow and thermal characteristics in a catalyst bed for nitrous oxide catalytic decomposition which is introduced as a hybrid rocket ignition system for small satellites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To analyze the thermal phenomena of the catalyst bed, a so-called porous medium approach has been opted for modeling the honeycomb geometry of the catalyst bed. Using a Brinkman-extended Darcy model for fluid flow and the one-equation model for heat transfer, the analytical solutions for both velocity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in the catalyst bed are obtain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to validate the porous medium approach. Based on the analytical solutions, parameters of engineering importance are identified to be the porosity of the catalyst bed, effective volumetric ratio, the ratio of the radius of the catalyst bed to the radius of a pore, heat flux generated by a heater, and pumping power. Their effects on thermal phenomena of the catalyst bed are studied.

Low-k plasma polymerized cyclohexan: single layrer and double layer

  • 최자영;권영춘;여상학;정동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74-74
    • /
    • 2000
  • 낮은 유전상수(k$\leq$3)와 높은 열적안정성(>4$25^{\circ}C$)은 초고집적회로(ULSI)기술에서 RC 지연을 해결하기 위한 금속배선의 중간 절연층으로서의 2개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cyclohezane을 precursor로 사용하여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PECVD)방법으로 유기박막을 성장시켰으며 낮은 유전상수와 높은 열적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하여 열적안정성은 좋지 않지만 유전상수가 낮은 박막(soft layer)위에 유전상수는 다소 높지만 열적안정성이 좋은 박막(hard layer)을 얇게 증착하여 hard layer/soft layer의 2층 구조를 형성하여서 구조적,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기박막은 5$0^{\circ}C$로 유지된 reactor 내부에서 argon(Ar) plasma에 의해 증착되었으며 platinum(Pt)기판과 silicon 기판위에 동시에 증착하였다. Pt 기판위에 증착한 시편으로 유전상수, I-V 등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고, silicon 기판위에 증착한 시편으로 열적안정성과 구조적 특성등을 분석하였다. 증착압력 0.2Torr에서 plasma power를 5W에서90W로 증가할 때 유전상수는 2.36에서 3.39로 증가하였으며 열적안정성은 90W에서 180W로 증가하였을 때 유전상수는 2.42에서 2.79로 증가하엿고 열적안정성은 모두30$0^{\circ}C$이하였다. 단일층 구조에서는 유전상수가 낮은 박막은 열적으로 불안정하고 열적 안정성이 좋은 박막은 유전상수가 다소 높은 문제가 나타났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 Torr, 120W에서 증착한 유전상수가 2.55이고 열적으로 불안정한 박막을 soft layer로 5150 증착하고 그 위에 0.2Torr, 90W에서 증착한 유전상수가 3.39이고 열적으로 45$0^{\circ}C$까지 안정한 박막을 hard layer로 360 , 720 , 1440 증착하였다. 증착된 2층구조 박막의 유전상수는 각각 2.62, 2.68, 2.79이었으며 열적안정성 측정에서는 40$0^{\circ}C$까지 두께 감소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SEM 측정에서 열처리 후 표면이 거칠어지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 PDF

Cyclic Carbonates via Thermal Degradation of Poly(alkylene carbonate)s (Poly(alkylene carbonate)의 열분해에 의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합성)

  • 이윤배;김원길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11a
    • /
    • pp.235-237
    • /
    • 2002
  •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많은 환경문제 중 지구의 온난화 현상은 지구의 존폐를 가름할 정도로 중요한 문제이다. 이 온난화현상을 일으키는 주범이 바로 이산화탄이다. 이와 같은 해결책의 일환으로 CO₂를 이용하여 epoxide를 가지고, 여러 가지 고분자를 고압의 조건에서 합성해 보고, 또한 합성된 고분자의 열적분해로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을 규명해 보았다.

Analyzing the urban surface temperature characteristic before Cheong-Gye stream restoration using thermal infrared of ASTER image (ASTER 열적외 영상을 이용한 청계천 복원 전의 도시 지표 열 환경 특성 분석)

  • Jo Myung-Hee;Kim Hyung-Sub;Yu Seong-Ok;Kim Sung-Jae;Kim Yeon-He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40-245
    • /
    • 2006
  • 오늘날 도시인구집중화 현상에 따른 대규모 도시개발과 도시역의 확대로 지표면의 피복 변화가 극심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한편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도시의 내 외적 경관변화 뿐만 아니라 지형 및 기온상승, 바람장의 변화 등 복합적인 국지기후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의 기후 변화에 따라 청계천 복원 전의 도시 지표 열 환경 특성을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도시지역의 열환경 분석을 위하여 기존에는 주로 Landsat TM/ETM+ 위성영상 자료를 사용하였으나 2003년 5월 위성 센서의 고장으로 위성영상 자료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에 대체 방안으로 ASTER 영상 열적외 센서에서 취득한 지표온도 값과 현장에서 취득한 AWS자료와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청계천 주변의 근접성 분석 및 토지이용별 지표온도 분포 패턴 등 도시 열 환경 변화 탐지 및 분석을 위하여 GIS 및 RS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최적 노심입구온도 분포모형을 이용한 고리 1호기 주증기관 파단사고 분석

  • 엄길섭;이병일;김정진;김희철;박군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556-561
    • /
    • 1996
  • 주증기관 파단사고가 발생하여 서로 다른 온도 및 유속을 갖는 냉각재가 원자로 용기에 유입 될 때 downcomer 및 lower plenum 에서의 혼합현상을 3차원 열수력 분석코드 COMMIX-lB[1]로 모사하여 노심입구에서의 온도분포를 결정하고, 결정된 온도분포를 이용하여 주증기관 파단사고에 대한 열적여유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주증기관 파단사고시 노심입구온도의 비대칭성이 가장 큰 고리 1호기를 선택하여 수행되었으며, 15주기 교체노심 설계 결과와 비교하여 열적 여유도가 다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hermal and Dynamic Behavior of the Single Combustion Chamber Pulse Burner (맥동 연소식 열교환기의 열적 및 동적 특성에 관한 해석)

  • ;Robert J. Schoenhals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9 no.6
    • /
    • pp.810-820
    • /
    • 1985
  • 배기 decoupling chamber룰 갖고 있는 맥동 연소 급수가열기에 대한 수학적인 모델링과 관련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이 때 계에 대한 맥동 현상과 관련된 열적 및 동적 특성을 고려 였다. 시뮬레이션결과 시동기간에 대한 계의 각 부분에서 일어나는 열전달, 압력 및 온도를 구 였고 또한 해석의 제한성과 개선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도관에서 맥동에 의한 대류열전달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