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적 성능

Search Result 52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alysis of Interrupting Performance for Puffer GCB during the Thermal Failure Period (파퍼식 가스 차단기의 열적 파괴 영역에서의 차단성능 해석)

  • Kim, H.K.;Lee, B.Y.;Park, K.Y.;Park, S.K.;Lee, B.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b
    • /
    • pp.691-69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전류 영점 직전까지의 대전류 구간에서의 열가스 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와 과도 회복 전압에 따른 아크 후 전류를 계산하여, 아크 후 전류의 0으로의 수렴 여부를 이용하여 열적 파괴 영역에서의 차단성능을 평가한다 아크 후 전류는 유동해석을 통해 구하여진 극간의 온도분포로부터 계산된 아크 저항과 과도인가회복 전압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 PDF

HeatSink의 구조적 설계에 의한 LED 조명의 광학적 열적 특성분석

  • Lee, Se-Il;Lee, Seung-Min;Yang, Jong-Gyeong;Park, Dae-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65-165
    • /
    • 2009
  • 긴 수명, 높은 효율, 색 재현성 및 친화경등의 많은 장점을 가진 발광다이오드는 높은 접합온도로 인하여 광 효율이 저하되고 이는 신뢰성 저하 및 방열부 장착으로 인한 비용 상승 등의 문제로 발전에 악영향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열부인 HeatSink의 구조적 변화가 방열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열화상 적외선 카메라와 적분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HeatSink를 가지고 각각의 열적 광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HeatSink의 Fin 길이를 길게 하여 방열면적을 상승시키는 것보다 Fin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Fin 개수를 늘리는 것이 방열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고 이는 광 출력으로 이어졌다.

  • PDF

Evaluation of Insulation properites of Nano-filler XLPE (나노 충전제를 첨가한 XLPE의 절연 특성 평가)

  • Cho, Sung-Hoon;Kim, Yu-Min;Lim, Kee-Jo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519-1520
    • /
    • 2011
  • XLPE는 절연성 및 기계적, 열적 특성이 양호하여 1980년대부터 지중배선용 전력케이블의 절연재료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원재료의 성능 개선과 제조기술의 향상에 힘입어 초고압 교류 송배전 케이블용 절연재료로 적용 되고 있다. 절연파괴 강도에 대한 검토는 송전용량의 증대 및 초고압화가 가속됨에 따라 고전계하에서의 장기적인 절연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절연 열화 현상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VDC용 나노복합 XLPE의 절연재료 평가기술 개발의 기초연구로써 최적의 나노 복합 재료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작된 시편들의 전기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CM mixed coating material constructed in and out of the wall (벽체 내·외부에 시공한 PCM혼입 도료의 열적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u, Dong-Uk;Shin, Sang-Heon;Lee, Ha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4.05a
    • /
    • pp.216-217
    • /
    • 2014
  • Optimum finishing position, thickness and phase change temperature of winter and summer season were selected and suitability of finishing materials was evaluated based on temperature measurement of specimens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mixed phase change materials(PCM). As a result, when finishing position was interior and finishing thickness of coating material mixed n-Octadecane(28℃ PCM) was 4mm, thermal performance was effective. n-Octadecane in summer season and n-Hexadecane(18℃ PCM) in winter season are indicated effective on energy savings, respectively.

  • PDF

The Effects of Heat Diffusion Fin on the Thermal Behavior and Performance of Radiant Heatomg Panel (방열핀이 난방용 패널의 열적거동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

  • 이태원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8 no.9
    • /
    • pp.2486-2493
    • /
    • 1994
  • Transient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th radiant heating panel with heat diffusion fin were predicted by numerical analysis. Thermal behaviors of panel, such as temperature distributions in panel and convective and radiative heat fluxes in panel surface with advance of time, were obtained for several important parameters. The performance and thermal comfort of heating panel were studied and compared for various design conditions, such as pipe pitch, area ratio and thermal conductivity of optimal design of the new heating panels with heat diffusion fin. It was concluded that the efficient area ratio of heat diffusion fin is about 0.5, and the greater the thermal conductivity of fin is, the better the performance of panel is.

램 가속기 성능 향상을 위한 예 혼합기 조성비 최적화에 관한 연구

  • 전용희;이재우;변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5-15
    • /
    • 1999
  • 램 가속기에 대한 연구는 램 가속기의 작동 조건이 고온, 고압, 초고속이라는 점과 가속기 내부에서 급격한 화학반응이 수반된다는 특성으로 인하여 실험과 해석상의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한다. 램 가속기는 작동 모드에 따라 탄체 후방의 열적 질식 조건을 이용한 열적 질식 모드(Thermally Choked Mode)와 탄체 표면에 형성되는 데토네이션파를 이용한 초폭굉모드(Superdetonative Mode)로 나뉘어진다. 본 연구는 초폭굉 모드로 작동하는 램 가속기의 작동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수치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램 가속기 내부 예 혼합기의 조성비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설계 변수로는 수소와 질소의 조성비를 선정하였으며, 최적 설계 목표는 일정한 질량과 형상을 갖는 탄체를 초기속도 2500m/s에서 3000m/s로 가속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램 가속관의 길이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베법에 기반한 Simplex 방법 및 SLP(Sequential Linear Programming)등의 수치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였고, 가속기 내부의 유동장은 해석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이차원 비점성 유동으로 가정하였고, 비평형 화학반응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thermal stability of Wood flour-Polypropylene Composites with flame retardants (난연제를 첨가한 목분-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연소 및 열적특성)

  • Song, Young-Ho;Shin, Baeg-Woo;Bang, Dae-Suk;Chung, Kook-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26-2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목분-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연소성 및 열적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계산소지수 실험 및 열중량 분석실험을 실시하였다. 목분-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제조를 위하여 이축압출기를 활용한 압출공정과 사출성형기를 활용한 사출공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복합재의 난연성능 향상을 위하여 난연제(4종류)를 첨가한 복합체의 화재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Embossing Surface Sandwich Panel During the Summer (여름철 엠보싱 샌드위치 패널의 열적 성능에 관한 연구 -평판 샌드위치 패널과 비교를 중심으로-)

  • 손철수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2 no.10
    • /
    • pp.917-92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thermal performance of embossing surface sandwich panel and flat surface sandwich panel during the summer. To do this research, thermal performances in summer season at the six points of embossing surface sandwich panel and flat surface sandwich panel a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temperature. Three kinds of embossing surface sandwich panel and one kind of flat surface sandwich panel are used for this research. At the same size of sandwich panel,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s of flat surface sandwich panel between average temperature at the 0.5 mm below copper plate and averag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surface temperature are higher than those of embossing surface sandwich panel. The average heat transfer rate of flat surface sandwich panel is higher than that of embossing surface sandwich panel. More study will be needed about the size of diameter and height of embossing, and materials of embossing surface sandwich panel.

  • PDF

Numerical Evaluation of Cooling Performance of 1st Stage Liquid Rocket Engine Plume by Water Injection Types (1단용 액체로켓엔진 후류의 물분사 방식에 따른 수치적 냉각 성능 평가)

  • Moon, Yoon-Wan;Kim, Seung-Han;Seol, Wo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739-740
    • /
    • 2010
  • Numerical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an effective water cooling type for reducing the thermal load of deflector in test facility with two cooling types and various mass flow rate conditions. According to analyses a core water injection type was superior to a side water injection fro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thermal load of deflector.

  • PDF

A Study on the Precise Measurement of the Performance in the Heating System (발열시스템 열적 성능의 정밀측정에 관한 연구)

  • 최창용;김홍건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 /
    • v.11 no.6
    • /
    • pp.60-67
    • /
    • 2002
  • A precise measurement of field test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forced convection electric air heater by experiment. Air temperature, flow rate and electrical power input were measured with the related measurement sensors, and acquisition methods for the measured data were studied to estimat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tested air heater effectively. To determine the mean air temperature at the flow cross-section, measuring positions were chosen by considering the flow velocity profile and the equally divided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rmal efficiency was obtained accurately as an indication of the tested heating system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