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수추출

검색결과 1,494건 처리시간 0.031초

통계학적 최적화를 이용한 아마란스 잎으로부터 폴리페놀 열수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Amaranth Leaf using Statistically-based Optimization)

  • 조재민;최강훈;신슬기;이지현;김진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315-319
    • /
    • 2016
  • 아마란스 종실 생산의 부산물인 아마란스 잎으로부터 폴리페놀 추출 증대를 위해 열수추출의 주요 공정조건인 추출시간, 추출온도와 에탄올 농도 중심합성법을 이용해 최적화하였다. 폴리페놀의 추출은 추출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추출에 에탄올 농도와 추출시간이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5). 열수추출의 에탄올 농도는 61.6 (v/v%)에서 최대 폴리페놀 추출성능을 보이며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심합성법에 의해 제시 된 2차 회귀방정식의 예측값과 실험값을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합치도($R^2=0.9566$)를 보였으며 추출온도 $90.1^{\circ}C$, 추출시간 50 min과 에탄올 61.6 (v/v%) 공정조건에서 최대 농도인 12.6 mg GAE/g DM 폴리페놀을 얻을 수 있었다.

표고버섯 균사체로부터 항암 단백다당체의 추출 및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Antitumor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from Mycelia of Lentinus edodes)

  • 박기문;이병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236-1242
    • /
    • 1998
  • 한국산 표고버섯 산련 1호를 C/N비가 13.1인 버섯 완전액체배지에서 배양하여 균사체를 증식시킨 후 생리활성을 보이는 단백다당체를 추출하였다. 표고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시 생성되는 단백다당체는 균사체 세포벽에 약 80%가 존재하고, 약 20%정도는 세포밖으로 분비하는 것으로 나타나 단백다당체의 추출은 균사체가 함유된 배양액 전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균사체로부터 단백다당체의 추출방법으로 열수추출 및 glass bead mill로 세포벽을 파쇄한 후 열수추출, cellulase 처리 후 열수추출을 비교한 결과 물리적으로 세포벽을 파쇄한 후 60분간 열수추출하는 것이 배양액 100 mL당 약 930 mg의 조단백다당체가 추출되어 수율이 가장 높았다. 추출한 조단백다당체를 사용하여 protease 처리, 그리고 DEAE-cellulose 및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단백다당체를 정제한 후 단계별 시료에 대한 mouse leukemic cell인 $P_{388}$의 증식억제는 53.7, 62.2, 93.7, 97.4%로 정제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phadex G-100 column으로 처리한 정제 단백다당체를 TLC/FID로 분석한 결과 단일 peak로 나타나 순수물질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단백다당체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다당함량은 46.1%로 구성단당류는 glucose 및 galactose, xylose, mannose로 구성되어 있었고, 단백질은 약 7.3%로 주로 proline 및 glycine의 함량이 높았으며 methionine 및 leucine은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외에 무기질로서 Na, K, Zn, Ca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버들송이(Agrocybe aegerita)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biological activity of Agrocybe aegerita)

  • 서상영;안민실;최소라;송은주;최민경;김영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6-122
    • /
    • 2011
  • 식용버섯으로서 버들송이버섯의 우수성을 검증하고 재배면적과 소비의 확대보급을 위하여 일반성분, 무기성분, 총 폴리페놀 함량 그리고 전자공여능 등 몇가지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은 조단백질이 38.3%로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은 K, P, Mg, Mn 및 Na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추출물은 $65.2{\mu}g/m{\ell}$, 에탄올 추출물은 $46.0{\mu}g/m{\ell}$ 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12.5{\mu}g/m{\ell}$, 에탄올 추출물에서 $7.1{\mu}g/m{\ell}$ 이었다. DPPH radical 제거 활성은 열수추출물에서 58.2%, 에탄올 추출물에서 79.2%의 free radical 제거활성을 보여 열수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버들송이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DPPH radical 제거 활성은 큰느타리버섯 또는 느타리버섯보다 함량이 많고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물은 63.2%,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6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추출용매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AC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물은 78.7%, 에탄올 추출물은 7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열수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버들송이 버섯은 큰느타리버섯이나 느타리버섯 보다 폴리페놀 물질과 같은 항산화성분이 많고, 생리활성이 우수하여 식용버섯으로의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조건에 따른 캠벨얼리와 Muscat Bailey A 포도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Campbell Early and Muscat Bailey A Grapevine Leaves)

  • 최수경;여계명;임은지;서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8-1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포도잎을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캠벨얼리와 MBA 포도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추출 시간에 따른 생리활성의 변화를 확인하여 포도잎의 최적 추출조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BA 포도잎이 캠벨얼리 포도잎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캠벨얼리 열수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모든 추출물에서 2시간 이상 추출 시 이전 추출에 비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폴리페놀 5종(gallic acid, epicatechin, caffeic acid, naringin, resveratrol)을 분석한 결과, MBA 포도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esveratrol 함량은 MBA의 경우 에탄올과 열수 추출물 모두 2시간 이상 추출 시 이전 추출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전자공여능은 MBA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 항산화능도 MBA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MBA 포도잎 추출물이 캠벨얼리 포도잎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열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시간을 2시간 이상으로 하였을 때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포도잎의 생리활성 연구에서 캠벨얼리보다는 MBA 품종의 생리활성이 대체로 우수하였고 열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할 경우 생리활성 성분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로 포도잎 가공품 개발 시에는 관능 특성 등 다양한 가공 조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백개자의 즉시형 과민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Semen Sinapis Albae on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

  • 이규영;홍철희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77-188
    • /
    • 2014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백개자 열수추출물이 활성화된 대식세포 및 사람 비만세포주, HMC-1에서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식세포에 여러 농도의 백개자 열수추출물을 가한 뒤 LPS로 염증을 유도하여 NO 생산,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을 관찰하였으며 HMC-1에도 여러 농도의 백개자 열수추출물을 가한 후 PMACI로 염증을 유도하여 histamine 분비와 NF-${\kappa}B$ 활성 및 $I{\kappa}B$-${\alpha}$의 인산화, MAPKs pathway에 대한 저해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 백개자 열수추출물은 대식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 생성 및 INOS, COX-2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HMC-1에서 PMACI로 유도된 histamine의 분비와 p38 MAPK, ERK, JNK의 인산화 반응 및 $I{\kappa}B$-${\alpha}$의 인산화와 NF-${\kappa}B$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결론 : 백개자 열수추출물은 대식세포 및 비만세포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잠재성이 크다고 사료된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의 영양성분 변화 (Changes in Nutritional Composition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Ethanol Extracts)

  • 원범영;신기영;하현지;윤여상;김예리;이형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82-887
    • /
    • 2015
  • 본 연구는 미나리의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에탄올추출 농도가 미나리의 영양학적 성분 변화에 미치는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진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열수추출물, 에탄올추출물(50%, 80%, 95%)로 추출 농도를 다르게 하여 미나리를 추출하였다. 수율을 측정한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4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50% 에탄올추출물에서 단백질 함량이 6.76%, 탄수화물 함량이 19.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 함량은 열수추출물과 비교하여 에탄올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에탄올추출 농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식이섬유를 측정한 결과, 50% 에탄올추출물을 제외한 에탄올추출물(80%, 95%)에서 열수추출물과 유의차가 나타났으며(P<0.05), 두 실험군 간에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총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에 대해 에탄올추출물은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고(P<0.05), 에탄올 농도에 따라서도 유의차를 나타냈으며(P<0.05), 95% 에탄올추출 시 5.35%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비타민 A 함량은 열수추출물에 대해 에탄올추출물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에탄올추출 농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P<0.05). 무기성분 측정 결과, 나트륨, 칼슘, 철의 경우 열수추출물에 대해 에탄올추출물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에탄올추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에탄올추출 방법을 사용 목적에 따라 적용함으로써 미나리를 이용한 우수한 가공식품 개발 가능성과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부평초 추출물의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활성 (Total Phenol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irodela polyrhiza Extracts)

  • 송원영;최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0-18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부평초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간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100{\sim}2,500{\mu}g/ml$의 부평초의 농도를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으로 관찰하였다. 먼저 부평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에서 52.75~293.4 mg/g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에서 60.12~398.4 mg/g의 함량이 관찰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열수추출물(38.25~67.75 mg/g)에 비해 에탄올추출물(38.25~159.4 mg/g)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물(2.87~59.5%)과 에탄올추출물(4.12~81.52%)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추출물은 열수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소거능이 관찰되어졌다. ABTS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는 열수추출물에서 8.30~83.16%, 에탄올추출물에서 13.11~80.34%로 농도 의존적인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부평초 추출물의 $IC_{50}$값을 비교한 결과 DPPH, ABTS radical에서 각각 열수추출물의 경우, $2,100{\mu}g/ml$, $798.7{\mu}g/ml$으로 나타났고, 에탄올추출물의 경우에는 $1,034{\mu}g/ml$, $457.1{\mu}g/ml$으로 나타났다. 환원력은 $500{\sim}4,000{\mu}g/ml$의 농도에서 관찰되어 졌는데, 열수추출물에서 0.055~1.122, 에탄올 추출물에서 0.140~1.428로 농도가 증가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염증 효능을 관찰하기 위한 SLO를 측정한 결과는 열수추출물에서 157.7~168.0%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에서 148.0~169.4%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부평초의 용매에 따른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뛰어난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염증에도 관여할 수 있음이 사료되어지며, 항산화 효능에 대한 천연식물소재로서의 이용가치가 기대되어진다.

식물체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 김수민;조영석;성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26-632
    • /
    • 2001
  • 식물체(팽이버섯, 마늘, 녹차, allspice, 하수오, 오미자, 행인, 솔잎)가 free radical 반응 및 지방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nitrosamine 생성의 직접적인 영향인자인 아질산염에 대한 천연물의 분해효과를 검토한 결과 각 추출물의 pH는 열수추출물보다 ethanol추출물이 높은 pH를 나타내었으며, 그중에서 오미자 열수추출물이 3.0으로 가장 낮았다. 지방산화의 촉진인자인 $Fe^{2+}$ 이온과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각 추출물들의 영향은 추출물 모두 $Fe^{2+}$ 이온 binding 능력은 탁월하였으며, deoxyribose상에서 OH 포집능 측정에서도 팽이버섯, 솔잎ethanol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Iron의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는 2.0 mg/100 g 미만이었으나, 오미자 추출물의 total iron 함량이 6.8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용매별 iron함량 측정에서는 ethanol 추출물의 iron함량이 전반적으로 열수추출물보다 낮은 iron함량을 나타내었다. Ascorbic acid 함량은 녹차추출물이 열수 및 ethanol 추출에서 각각 14.3 mg/100 g, 16.7 mg/100 g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팽이버섯, 마늘 추출물을 제외하고 5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열수추출보다는 ethanol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우수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전반적으로 8%이상의 활성능을 보였으나, 솔잎 ethanol추출물은 활성능이 미미하였으며. 녹차 열수와 ethanol추출물이 각각 85.3%, 63.5%로 가장 높은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열수추출물이 전반적으로 ethanol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녹차추출물의 열수와 ethanol 추출물은 아질산염 소거능이 매우 우수하였다.

  • PDF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추출물은행 데이터 구축을 위한 난대수종의 추출물 분석 연구 (Warm Temperate species extract Analysis for Jeollanamdo Forest Resources Institute extracts Bank Data building)

  • 김현우;조건웅;여혜정;김현석;어지현;백효은;박종석;오찬진;오득실;박화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1-101
    • /
    • 2019
  • 나고야 의정서가 국내에 본격 시행됨에 따라 전남산림자원연구소는 도내 유용 산림 자원의 주권 확립 및 자원 정보의 DB 구축을 위하여 산림생명자원 추출물은행을 운영 중에 있다. 그 일환으로 1차년 난대 수종 4종(동백, 비자, 편백, 황칠)의 부위(잎, 가지) 시기(1차:4월, 2차:7월, 3차:9월, 4차:11월) 용매별(열수, 에탄올) 추출물을 제작하여, 유효성분 및 생리활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함량을 150 ug/g 이상을 기준으로 분석 분류한 결과, 동백 잎(4차) 열수, 가지(1, 3차), 잎(4차) 에탄올, 비자 잎(3, 4차) 열수, 가지(2, 3차), 잎(1, 3, 4차) 에탄올, 편백 가지(3차) 열수, 잎(3차), 가지(2, 3차) 에탄올, 황칠 잎(2, 3, 4차)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의 총 폴리페놀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프리라디칼(DPPH) 소거능을 측정하여 50 %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동백(1~4차), 가지(1~3차) 열수, 잎(1~4차), 가지(1, 3, 4차) 에탄올, 비자 잎(3차) 열수, 잎(2, 4차) 에탄올, 편백 잎(3, 4차), 가지(1차) 열수, 잎(1~3차), 가지(1, 3, 4차) 에탄올, 황칠 잎(2~4차)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프리라디칼(DPPH) 소거능을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이, 수종별로 부위 시기 용매별 추출물에 따른 유효성분과 생리활성에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화 활용 시 채취 시기 및 부위를 특정 하는 자료로 도움 될 것으로 생각되며, 지속적으로 연계 추출 및 분석을 통해 보다 유의성 있는 자료 수집을 계속 진행 중 입니다. 이러한 산림생명자원 추출물은행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게 반복적인 데이터를 수집 구축하고, 연구개발에 활용한다면, 고부가가치 임산 자원을 개발 및 산업화에 큰 도움이 되고 임업임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이다.

  • PDF

양파 수확 후 잔재물을 이용한 발효 및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세포독성 분석 (Analysis of Physiological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mented and Hot Water Extracts Using Residues after Onion Harvest)

  • 김태원;이건희;전병균;이성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63-116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양파 수확 후 버려지는 잔재물의 활용가치를 위해 이들로부터 추출한 발효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세포독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pH는 모두 산성을 나타내었고, 유기물 함량은 발효 추출물에서 0.75%로 열수 추출물의 0.19% 보다 4배 많이 함유되었다. 다량원소 중 칼륨성분을 제외한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성분의 함량은 발효 추출물에서 열수 추출물 보다 높게 나타내었고, 미량원소 중 철과 규소성분의 함량도 발효 추출물에서 열수 추출물 보다 높았으며, 반면에 붕소성분의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발효 추출물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추출물에서 $16.2{\pm}3.3mg{\cdot}g^{-1}$로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인 $14.6{\pm}1.4mg{\cdot}g^{-1}$ 보다 $1.6mg{\cdot}g^{-1}$ 높게 나타내었다. 반면에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4.8{\pm}0.7mg{\cdot}g^{-1}$로서 발효 추출물의 함량인 $0.1{\pm}0.1mg{\cdot}g^{-1}$ 보다 $4.7mg{\cdot}g^{-1}$ 높게 나타내었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력은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발효 추출물 보다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발효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101.6%와 97.9%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어 두 추출물 모두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