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수교대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Ore Minerals and Genetic Environments of the Seungryung Zn Deposit, Muzu, Korea (무주 승륭 아연광상의 광석광물과 생성환경)

  • Yeom, Taesun;Shin, Dongbo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8 no.1
    • /
    • pp.1-13
    • /
    • 2015
  • The geology of the Seungryung Zn deposit, located in the Muzu basin, consists of Precambrian leucocratic granitic gneiss, Cretaceous clastic rocks, pyroclastic rocks, and intrusive rocks. The deposit shows a weakly skarnized hydrothermal replacement ore developed along limestone bed in the gneiss. The mineraliz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early skarnization producing garnet and pyroxene, the main mineralization in the middle stage precipitating most metallic minerals such as magnetite, sphalerite, chalcopyrite, pyrrhotite, Pb-Ag-Bi-S system minerals, and the late stage for altered or low temperature minerals such as chlorite and marcasite. Pb-Ag-Bi-S system minerals include heyrovskite-eskimoite solid solution, lillianite-gustavite solid solution, and vikingite. Chalcopyrite diseases are quite common in sphalerite showing bead chains and dusting textures. The ${\delta}^{34}S$ values of sulfides minerals are concentrated within the narrow range of 3.4~4.1‰ for pyrite, 3.3~4.3‰ for sphalerite, 4.0~4.3‰ for chalcopyrite, and 2.8‰ for galena, suggesting that most sulfur is of igneous origin. Sulfur isotope geothermometry is calculated to be $346{\sim}431^{\circ}C$, implying that the mineralization occurred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 FeS contents of sphalerite are relatively high in the range of 6.58~20.16 mole% (avg. 16.58 mole%) with the enrichment of Mn compared to Cd, similarly to representative skarn Pb-Zn deposits in South Korea. On the contrary, sphalerite from Au-Ag deposits in the Seolcheon mineralized zone around the Seungryung deposit is enriched in Cd, showing similar feature like representative epithermal Au-Ag deposits. This suggests that around the related igneous rocks, magnetite and sphalerite were produced at high temperature in the Seungryung deposit, an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and compositional change of mineralizing fluids, Au-Ag mineralization proceeded in the Seolcheon mineralized zone.

Chemistry of Chlorite and Its Genetic Significance in the Talc Deposits in the Yesan-Gongju-Cheongyang Area, Chungnam, Korea (충남 예산-공주-청양지역의 활석 광산에서 산출되는 녹니석의 화학적 특징과 광상 성인과의 관계)

  • 김건영;김수진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2
    • /
    • pp.91-107
    • /
    • 1995
  • 충남 예산-공주-청양지역의 대흥, 평안, 신양(청당)광산에서 산출되는 녹니석에 관하여 화학적 및 성인적 연구를 하였다. 이들 광상은 초염기성암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성되었다. 활석 광석의 주 구성 광물은 활석, 녹니석, 금운모, 각섬석류, 사문석, 탄산염광물 등이고 이밖에 감람석, 휘석류, 크롬철석, 스멕타이트, 녹니석/스멕타이트의 혼합층상광물들과 같은 팽윤성 광물들이 소량 산출된다. 이 중 감람석과 크롬철석은 광상의 초염기성암 기원을 지시하는 중요한 광물이다.녹니석은 활석 광석의 불순 광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광물이다. 이들 녹니석은 성인적으로 활석과 밀접하게 연관된 녹니석과 그렇지 않은 녹니석의 두 가지 뚜렷한 타입으로 나뉘어지며 이들은 화학적으로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전자의 녹니석은 Mg/(Mg+Fe)비가 높으며 매우 일정한 범위의 Mg/(Mg+Fe)qkl (0.784∼0.951/산소수 14 기준)를 보여주고, 높은 8면체 치환양 (0.892 (-0.200∼0.692)/산소수 14, 이상적인 클리노클로어/차모사이트 성분 기준)과 넓은 범위의 Al 함량 변화 (2.975 (1.085∼3.160)/산소수 14 기준), 높은 Cr, Ni 함량을 갖는다. 이들은 매우 제한되고 높은 Mg/(Mg+Fe)비를 갖는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따라서,활석과 밀접하게 연관된 녹니석은 생성시, 주변암에 둘러싸여 있는, 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에 의해 주로영향을 받았다. 후자의 녹니석은 전자의 녹니석에 비하여 Fe 함량이 더 놓으며 광범한 범위의 Mg/(Mg+Fe)비 (0.378∼0.852/산소수 14 기준)를 보여주고, 더 적은 범위의 8면체 치환양 (0.560 (-0.035∼0.525)/산소수 14, 이상적인 클리오클로어/차모사이트 성분 기준)과, 전반적으로는 더 높은 값을 가지면서 더 좁은 범위의 Al 함량 변화 (1.491 (1.468∼2.959)/산소수 14 기준)를 보여주며, 낮은 Cr, Ni 함량을 갖는다. 이들은 낮은 Mg/(Mg+Fe)비를 갖고 전자에 비해 Al이 풍부한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따라서 활석과 연관되지 않은 녹니석은 생성시 광체와 인접한 화강아질 편마암에 의해 주로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녹니석의 이러한 2가지 화학조성상의 경향은 녹니석과 공존하는 운모류나 각섬석류들의 화학분석결과와도 잘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 지역의 활석 광상이 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성되었음을 명확하게 지시하며, 따라서 활석 광석내에 존재하는 녹니석은 활석의 근원 광물로서 녹니석편암 및 녹니석 편마암 매의 녹니석이 활석화되고 남은 잔존광물이 아니라, 주변암에 의해 성분상의 영향을 받은 열수와 사문암과의 변질교대작용에 의한 활석화과정 중에 주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지역의 활석광상이 초염기성암의 사문암화 작용과 활석화 작용의 두 가지 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되어졌음을 알려준다.

  • PDF

Text integration processing based on connectives in Aphasics (실어증 환자의 접속사 정보처리에 관한 연구)

  • Kim, Soo-Jeong;Moon, Young-Sun;Kim, Mi-Ra;Kim, Yoo-Jeong;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41-446
    • /
    • 1999
  • 본 연구는 접속사를 통한 텍스트 통합 과정이 논리적 추론 종류에 따라 다른 정보처리 과정 혹은 다른 종류의 단원적 구조(modular structure in language processing)에 의해 처리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접속사를 통한 추론 과정이 실어증의 증상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언어정보처리 손상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에 참가한 환자는 이해성 실어증환자(Wernicke aphasic), 전반성 실어증 환자(Global aphasic), 표현성 실어증 환자(Broca aphasic) 등이었다. en 종류의 과제를 이용하였다. 한 과제는 앞 뒤 문장을 논리적 관계성을 표현하는 접속사를 채워 넣는 과제였고 다른 과제는 접속사가 포함된 텍스트가 옳은지를 판단하는 정오 판단 과제였다. 실험재료 문장에 사용된 접속사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그리고'와 대등 관계를 나타내는 '그러나' 및 인과 관계를 표현하는 '그래서' 였다. 이 세 종류의 접속사는 각기 다른 논리적 관계성을 나타낸다. 실험 결과는 실어증 환자가 전반적으로 채워 넣기 과제에서 보다는 정오 판단 과제에서 더 많은 실수를 보였으며, 표현성 실어증 환자보다는 이해성 실어증 환자가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또한, 세 종류의 접속사 중에 '그리고'가 표함된 텍스트에서 더 많은 실수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흥미 있는 결과는 표현성 실어증 환자는 '그러나' 접속사가 포함된 텍스트에서의 수행이 '그래서'가 포함된 경우에서보다 좋은 반면에 전반성 실어증 환자는 '그래서'를 포함하는 텍스트에서의 수행이 '그러나'를 포함하는 텍스트에서의 수행이 더 우수해서 이중해리(double dissociation)가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이 결과는 선후 문장이 어떤 종류의 논리적 관계성을 지니는가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정보처리가 진행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결과이다.>$\textrm{cm}^2$.。C로 비교적 양호한 초전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었다.(Mg+Fe)비를 갖고 전자에 비해 Al이 풍부한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따라서 활석과 연관되지 않은 녹니석은 생성시 광체와 인접한 화강아질 편마암에 의해 주로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녹니석의 이러한 2가지 화학조성상의 경향은 녹니석과 공존하는 운모류나 각섬석류들의 화학분석결과와도 잘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 지역의 활석 광상이 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성되었음을 명확하게 지시하며, 따라서 활석 광석내에 존재하는 녹니석은 활석의 근원 광물로서 녹니석편암 및 녹니석 편마암 매의 녹니석이 활석화되고 남은 잔존광물이 아니라, 주변암에 의해 성분상의 영향을 받은 열수와 사문암과의 변질교대작용에 의한 활석화과정 중에 주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지역의 활석광상이 초염기성암의 사문암화 작용과 활석화 작용의 두 가지 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되어졌음을 알려준다.농도 증가 없이 폐 조직에 약 50배 정도의 고농도 cisplatin을 투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분리 폐 관류 시 cisplatin에 의한 직접적 폐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10.0%(4/40) : 8.2%(20/244), p>0.05]. 결론: 비디오흉강경술에서 재발을 낮추기 위해 수술시 폐야 전체를 관찰하여 존재하는 폐기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폐기포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와 이차성 자연기흉에 대해서는 흉막유착술에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디오흉강경수술은 통증이 적고, 입원기간이 짧고, 사회로의 복귀가 빠르며, 고위험군에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미용상의 이점이 크다는 면에서 자연기흉에 대해 유용한 치료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개흉술에 비해 재발율이 높고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 PDF

Talc Mineralization in the Middle Ogcheon Metamorphic Belt (I): with Emphasis of the Stable Isotope Studies of the Dongyang Talc Deposit (중부 옥천변성대내의 활석광화작용 (I): 동양활석광상의 안정동위원소연구를 중심으로)

  • Park, Hee-In;Lee, Insung;Hur, Soond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8 no.6
    • /
    • pp.635-646
    • /
    • 1995
  • Mineralized zone in the Dongyang talc deposits occurs on the lowest dolomite member of the Hyangsanri Dolomite belonging to the Ogcheon Supergroup. Ore bodies are emplaced as pipe-like body along the axis of minor folds plunging $40^{\circ}$ to the west developed in these dolomite layers. Amphibolite and chlorite schist are found along the upper or lower contact of all ore bodies (Kim et al., 1963; Park and Kim, 1966). Following the recrystallization and silicification of dolomite, tremolite and tabular and leafy talc(I) of the earlier stage formed, and microcrystalline talc(II) formed in the later stage. Talc(l) and tremolite formed by the reaction between dolomite and the fluid. Whereas talc (II) formed by the reaction between dolomite and fluid, or by the reaction between early formed tremolite and fluid. During the early stage of mineralization, the fluid was the $H_2O-CO_2$ system dominant in $CO_2$, In the later stage, the composition of the fluid changed to $H_2O-NaCl-CO_2$system, and finally to the $H_2O-NaCl$ system.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formation of tremolite associated with talc(I) were 1,640~2,530 bar, and $440{\sim}480^{\circ}C$, respectively.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 of talc(II) ore formation was 1,400~2,200 bar, and $360{\sim}390^{\circ}C$, respectively. These conditions are much lower than the metamorphic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rocks from the Munjuri Formation located about 5 km to the noJ:th of Dongyang talc deposit ${\delta}^{13}C$ and ${\delta}^{18}O$ values of dolomite which is the host rock of the talc ore deposit are 2.9~5.7‰ (PDB), and -7.4~l6.8‰ (PDB),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little higher than those from the Cambro-Ordovician limestones of the Taebaeksan region, but belong to the range of the unaltered sedimentary dolomite. ${\delta}^{18}O$and ${\delta}D$ values of the talc from Dongyang deposit are 8.6~15.8‰ (vs SMOW), and -65~-90‰ (vs SMOW), respectively, belonging to the range of magmatic origin. These value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measured in the metamorphic rocks of Munjuri and Kyemyungsan Formation. ${\delta}^{34}S$ value of anhydrite is 22.4‰ (CDT), which is much lower than ${\delta}^{34}S$ (30‰ vs COT) of sulfate of early Paleozoic period, and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the addition of magmatic sulfur to the system. Talc ores show the textures of weak foliation and well developed crenulation cleavages. Talc ore deposit in the area is concluded as hydrothermal replacement deposit formed before the latest phase of the deformations that Ogcheon Belt has undergone.

  • PDF

The Changes i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extrm{BaTiO}_3$-based PTCR Materials due to the addition of (Ca, Sr)$\textrm{TiO}_3$ ($\textrm{TiO}_3$첨가에 의한 $\textrm{BaTiO}_3$계 PTCR 물질의 전기적 특성변화에 대한 연구)

  • Joo, Ji-Won;Kim, Jong-Hwan;Kim, Hwan;Park, Soon-Ja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4
    • /
    • pp.347-353
    • /
    • 1997
  • BaTiO$_{3}$물질은 뛰어난 유전체로 널리 알려져 왔으며 특히 Heywang등이 제안한 PTCR특성은 이 물질의 응용범위를 세라믹 필터, 회로보호소자, 온도감지소자 및 저항가열장치 등으로 확대시켰다. 이러한 특성의 발현기구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지만 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왔다. 특히 개발목적에 맞게 온도에 따른 정저항 특성(PTCR; Positive temperature constnat of resistivity phenomena)을 설계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페로브스카아트계의 2가와 4가의 양이온 자리를 등가나 원자가가 다른 양이온으로 치환하여 특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다. 특히 $Ca^{2+}$나 Sr$^{2+}$$Ba^{2+}$자리를 치환할 수 있는 물질로 개별적인 첨가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된 상태이지만 최종적인 영향이나 해석에 대해서는 연구자들간에 이견이 많은 상태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BaTiO$_{3}$계에 합성한 (Ca, Sr)TiO$_{3}$를 Ca와 Sr의 상대적인 비를 변화시키면서 전체적인 첨가량을 변화시켜 그에 따른 전기적 특성 및 미세구조를 살펴보았다. (Ca, Sr)TiO$_{3}$의 첨가로 상온저항 및 PTCR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PTCR물질의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계기가 되었다. 특히 기존의 연구가 주로 개별적인 Ca나 Sr의 첨가에 의한 미세구조와 전기적 특성변화의 연구에 치중해 있었던 것과는 달리 Sr과 Ca을 함께 치환하여 상대적인 비가 특성에 더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적절한 합성비를 선택하면 퀴리온도에서의 저항변화폭을 유지하면서 상온저항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문했던 연구소인 Shanghai Research Center of Biotechnology, Shanghai Institute of Industrial Microbiology 및 Scientific Research Institute of Food and Fermentation Industry을 소개하고저 한다. 짧은 기간의 방문이라 주로 해당연구소의 자체소개 자료를 중심으로 방문하면서 느낀점을 기술하고저 한다.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성되었음을 명확하게 지시하며, 따라서 활석 광석내에 존재하는 녹니석은 활석의 근원 광물로서 녹니석편암 및 녹니석 편마암 매의 녹니석이 활석화되고 남은 잔존광물이 아니라, 주변암에 의해 성분상의 영향을 받은 열수와 사문암과의 변질교대작용에 의한 활석화과정 중에 주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지역의 활석광상이 초염기성암의 사문암화 작용과 활석화 작용의 두 가지 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되어졌음을 알려준다.농도 증가 없이 폐 조직에 약 50배 정도의 고농도 cisplatin을 투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분리 폐 관류 시 cisplatin에 의한 직접적 폐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10.0%(4/40) : 8.2%(20/244), p>0.05]. 결론: 비디오흉강경술에서 재발을 낮추기 위해 수술시 폐야 전체를 관찰하여 존재하는 폐기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폐기포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와 이차성 자연기흉에 대해서는 흉막유착술에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디오흉강경수술은 통증이 적고, 입원기간이 짧고, 사회로의 복귀가 빠르며, 고위험군에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미용상의 이점이 크다는 면에서 자연기흉에 대해 유용한 치료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개흉술에 비해 재발율이 높고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더 세심한 주의와 장기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Mineralogy and Genetic Environments of the Seongdo Pb-Zn deposit, Goesan (괴산 성도 연-아연 광상의 산출광물과 생성환경)

  • Ahn, Seongyeol;Shin, Dongbo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0 no.5
    • /
    • pp.325-340
    • /
    • 2017
  • The Seongdo Pb-Zn deposit,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consists of skarn ore replacing limestone within the Hwajeonri Formation of Ogcheon Group and hydrothermal vein ore filling the fracture of host rock. Skarn minerals comprise mostly hedenbergitic pyroxene, garnet displaying oscillatory zonal texture composed of grossular and andradite, and a small amount of wollastonite, tremolite, and epidote, indicating reducing condition of formation. Ore minerals of skarn ore include sphalerite and galena with a small amount of pyrite, pyrrhotite, and chalcopyrite. In hydrothermal vein ore, arsenopyrite, sphalerite, chalcopyrite, and pyrite occur with a small amount of galena, native Bi, and stannite. Chemical compositions of sphalerite vary from 17.4 mole% FeS in average for dark grey sphalerite, 3.6 mole% for reddish brown sphalerite in skarn ore, and to 10.3 mole% FeS in hydrothermal vein ore. In comparison with representative metallic deposits in South Korea on the FeS-MnS-CdS diagram, skarn and hydrothermal vein ore plot close to the field of Pb-Zn deposits and Au-Ag deposits, respectively. Arsenic contents of arsenopyrite in hydrothermal vein ore decrease from 31.93~33.00 at.% in early stage to 29.58~30.21 at.% in middle stage, and their corresponding mineralizing temperature and sulfur fugacity are $441{\sim}490^{\circ}C$, $10^{-6}{\sim}10^{-4.5}atm$. and $330{\sim}364^{\circ}C$, <$10^{-8}atm$. respectively. Phase equilibrium temperatures calculated from Fe and Zn contents for coexisting sphalerite and stannite in hydrothermal vein are $236{\sim}254^{\circ}C$. Sulfur isotope compositions are 5.4~7.2‰ for skarn ore and 5.4~8.4‰ for hydrothermal vein ore, being similar or slightly higher to magmatic sulfur, suggesting that ore sulfur was mostly of magmatic origin with partial derivation from host rocks. However, much higher sulfur isotope equilibrium temperatures of $549^{\circ}C$$487^{\circ}C$, respectively for skarn ore and hydrothermal ore, than those estimated from phase equilibria imply that isotopic equilibrium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