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대류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7초

한국 거제도 해초류의 분류 (Taxonomy of Ascidians from Geojedo Island in Korea)

  • Boon Jo Rho;Kyung-Sook Par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3호
    • /
    • pp.173-192
    • /
    • 1998
  • 본 연구는 1995년 2월부터 1998년 1월까지 거제도의 12개 지역과 비진도에서 채집된 재료들을 동정.분류하였고, 이미 채집지가 밝혀진 4개 지역을 포함하여 모두 17개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2목 10과 22속 38종이 밝혀졌고, 이 중 13종은 거제도 기지종이고, 3종, Didenum(D.) Pardum, Symplegma oceania와 Styela coriacea는 한국 미기록종이었으며, 그 외 22종은 거제도에서는 처음으로 밝혀지는 종들이다. 거제도 해초류의 생물지리학적 분포를 보며, 28종 모두는 우리나라 천해종이며,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 해초류의 반에 ㅐ당하는 종이다. 이들 중 18종 (47.4%)은 열대 열대수성종, 11종(26.3%)은 오대수성종, 8종(21.1%)은 내수성종, 1종(2.7%)은 광포종이었다. 이들은 오수지역인 춘도(온산만)의 해초류상과 비교하면 15종의 해초류중 7종(47%)은 열대수성종, 4종(26%)은 온대수성종, 3종(20%)은 내수성종, 1종(7%)은 광포종이었다 (see Rhoet al., 1996). 두 지역에 나타난 해초류의 구성을 보면 각 지역에서 전체 종 수의 반에 해당하는 종이 열대수성종이었고 극히 적은 수의 종이 냉수성종이었으며, 1/3 이상의 종이 온대수성종이었고, 그리고 각각 1종이 광포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두 지역 모두가 우리나라 남단에 위치하여 북한 한류의 영향보다 흑조난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사실과 부합한다. 거제도는 종수에 있어서나 개체(군체) 수에 있어 춘도와 비교하여 2배가 넘게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거제도에서 채집 지역 수가 많았고 또한 이 지역은 청정해역으로서 아직은 보존이 잘 되고 있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 PDF

열대류 경계층에서 비평형 2.5 난류모델을 기초로 한 라그란지안 입자 확산 모델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Based on Non-equilibrium Level 2.5 Closure Model in the Convective Boundary Layer)

  • 구윤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68
    • /
    • 2000
  • 복잡한 구조를 갖고 시간에 따라서 변하는 바람장내에서 공장굴뚝과 같은 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확산을 계산하기 위해서 라그란지안 입자확산모텔(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LPDM)을 사용하는 것이 최근의 연구 동향이다. 구윤서(1999a, 1999b)는 중립 및 안정한 대기조건에서 바람장 계산시 비평형 2.5 난류모델을 이용한 LPDM을 개발하여 복잡한 대기흐름내 확산현상을 보다 정확히 모사할 수 있는 LPDM을 제시하였다. (중략)

  • PDF

농산물 저장 시설에서의 열대류 현상의 해석 (An Analysis of Thermal Convection in Agricultural-Products Storge System)

  • 김민찬;현명택;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32
    • /
    • 1997
  • Natural convection in agricultural-products storage system was analysed theoretically, The storage system was modelled by Internally heated fluid saturated porous layer. Darcy's law was used to explain characteristics of fluid motion. Stability equations were obtained under the linear stability theory and transfer characteristics were modelled by the shape assumption. Based on the modelling of transfer characteristics, heat trasnfer correlations were derived theoretically.

  • PDF

열대 태평양 황다랑어.눈다랑어의 풍도와 수온과의 관계

  • 양원석;조규대;박영철;문대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09-410
    • /
    • 2001
  • 태평양 해 역은 1985∼1997년간 우리나라 연승어업에 의한 다랑어류 평균 어획량의 55%를 차지하는 중요한 해역으로 눈다랑어와 황다랑어가 전체 어획량의 82.2% 차지 하고 있다. 따라서 다랑어 연승어업의 중요 어장인 태평양 해역에 대하여 서부∼동부 해역의 적도 주변에서 한국 다랑어 연승어업에 의해 주로 어획되는 황다랑어와 눈다랑어를 대상으로 풍도 변동, 연직분포, 어획 적수온, 수온 변동에 따른 분포 특성 등을 밝혀 동 해역에서 조업하는 다랑어 연승어업의 과학적인 어장 정보 제공과 다랑어류 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수평 환형 공간에서의 중간 Prandtl 수 유체의 혼돈 열대류: Pr=0.2 (Chaotic Thermal Convection of a Intermediate Prandtl-Number Fluid in a Horizontal Annulus: Pr=0.2)

  • 유주식;김용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3호
    • /
    • pp.433-441
    • /
    • 2001
  • Natural convection of a fluid with intermediate Prand시 number of Pr=0.2 in a horizontal annulus is considered, and the bifurcation phenomena and chaotic flows are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unsteady two-dimensional streamfunction-vorticity equation is solved with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steady downward flow with two counter-rotating eddies bifurcates to a simple periodic flow with a fundamental frequency. And afterwards, second Hopf bifurcation occurs, and a quasi-periodic flow with two incommensurable frequencies appears. However, a new time-periodic flow is established after experiencing quasi-periodic states. As Rayleigh number is increased further, the chaotic flow regime is reached after a sequence of successive Hopf bifurcation to quasi-periodic and chaotic flow regimes. A scenario similar to the Ruelle-Takens-Newhouse scenario of the onset of chaos is observed.

전기열풍기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가열양생공법 적용 및 적정성 효과 검증 (Confirmation of Applicability of Heating and Curing Method of Concrete in Winter Using Electric Heating System)

  • 김세종;박종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1-132
    • /
    • 2022
  • Looking at recent construction cases at winter construction sites, there is a risk that heat sources such as kerosene fans and fossil fuels (brown coal, molded carbon) used in concrete will cure rapidly, so in situations where further curing is impossible after formwork removal, the outer wall and the entire slab are exposed to rapid external deterioration, resulting in delays in concrete strength expression and until collapse accidents. In this study, we applied kerosene fans and tropical circulating electric heat fans mainly used as curing heat sources at construction sites, comparative analysis. also verified the performance of structures during concrete curing due to thermal convention / circulation performance, concrete demand strength expression, and implementation of electric heat fans by heavy disaster methods.

  • PDF

에너지 절감형 전기히터를 활용한 동절기 양생품질 관리방안 (A Study on Cold-Weather Curing Quality Management Based on Using Energy Saving Electronic Heater)

  • 조만기;홍성민;박종훈;김진식;이동현;조성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9-110
    • /
    • 2020
  • In This study, we tried to review an efficient cur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constructability among the problems of winter construction.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the mock-up test, the measured value of carbon monoxide was 0 ppm in the case of an electric hot air fan. Since there is no carbon monoxide, problems such as suffocation are expected to be solved. In terms of temperature characteristics, electric hot air fans exhibited high thermal efficiency performance with a slight difference in upper/lower temperatures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In the future, we plan to conduct thermal efficiency evaluation through actual site performance verification. We will propose an efficient curing method through applicability evaluation.

  • PDF

탄소중립 확보를 위한 친환경 동절기 대체 열원 성능 검증 (Performance Verification of Curing Method in Cold-Weather with Using Energy Saving Electronic Heater for achieving Korean Carbon Neutra)

  • 조만기;김상균;홍성민;박종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2-193
    • /
    • 2021
  • Recently, the need to strengthen the Ai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secure alternative heat sources during the winter by carbon neutrality policies has been raised. Accordingly, winter construction, which has safety and quality measures, is emerging as an essential factor. It is believed that eco-friendly tropical type electric hot air heaters will be able to solve most of the problems of winter construction at construction sites, especially prevention of suffocation and fire accid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on-site performance verification, it has secured more than the same performance as the existing curing method, and the curing technology can create an eco-friendly and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while considering safety and construction.

  • PDF

서부 열대 태평양의 눈다랑어와 황다랑어의 먹이에 관한 연구 (Diets of Bigeye and Yellowfin Tunas in the Western Tropical Pacific)

  • 김종빈;문대연;권정노;김태익;조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19-729
    • /
    • 1997
  • 눈다랑어와 황다랑어의 먹이의 종류와 섭이 습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서부 열대 태평양에서 연승어업으로 어획된 이들 다랑어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눈다랑어와 황다랑어의 먹이는 주로 어류, 두족류, 갑각류이었다. 이들 두 종의 다랑어에서 동정된 먹이생물의 총 종수는 어류가 15종, 갑각류 6종 그리고 두족류가 1종이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먹이는 샛비늘치류인 Myctophum sp였다. 황다랑어와 눈다랑어의 먹이를 분석해본 결과 먹이의 종류에 있어서는 두 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것으로 보아 같은 해역에 서식하는 다랑어류는 먹이 습성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먹이 가운데 몇몇 종 (Myctophidae, Alepisauridae, Oplophoridae, Gammaridae, and Onychoteuthidae)의 경우 그 중요도에 있어서 두 다랑어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