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유출량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the Annual Runoff Estimation Model (연유출량 추정모형 개발)

  • 김양수;정상만;서병하
    • Water for future
    • /
    • v.24 no.3
    • /
    • pp.95-104
    • /
    • 1991
  • The study was focused on developing a new model to estimate annual runoff. This model can be used to estimate the available water resources for ungaged catchments for long-term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lanning. Data used in the model development were daily rainfall and daily runoff of the sample basin with record length from 1945 to 1988 years in Korea. The sample basin selected by consideration whether the flow is virgin and quality of discharge data is good. As a result, 46 stage gaging station were selected. Annual runoff was determined by sum of daily runoff calculated by daily stage data of the sample basin. Also, the annual mean precipitation by using daily rainfall data was estimated and the annual runoff ratio for each sample basin was calculated, and the annual mean runoff ratio was estimated. Th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proposed and calibrated using auunal mean precipitation values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sins. To verify reasonableness of this model, the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the gaging stations which have historical data.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nnual Runoff Estimation Model (연유출량 추정모형의 개선방안)

  • 이상훈
    • Water for future
    • /
    • v.26 no.1
    • /
    • pp.51-62
    • /
    • 1993
  •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estimating annual runoff must be the precipitation. But in the previous study, the watershed area instead of precitation was includ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regression model in the process of checking accurate data. The criterion of accurate data was the runoff ratio in the range of 20% to 100%. In this study the valid range of evapotranspiration was adopted as a criterion of accurate data and the same data were reexamined. It came up with following model which has a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conforms to hydrologic theory. R=-518.25+0.8834P where, R: runoff depth(mm) P: precipitation(mm) This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stable by cross-validation and is proposed as annual runoff estimation model applicable to ungaged small and medium watersheds in Korea.

  • PDF

The Annual Runoff Estimation of Namchun Using SWMM (SWMM을 이용한 남천의 연유출량 추정)

  • Kim, Nam-Uk;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09-1113
    • /
    • 2010
  • 창원시는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경작지나 녹지와 같은 투수지표면이 대단위 주택단지나 도로, 상업지구, 공장시설과 같은 불투수지표면으로 변화되어 전형적인 도시 유역특성을 띠고 있어 SWMM 모형의 적용에 적합하다. 적용대상인 남천은 창원시를 관류하는 유로연장 14.7 km의 하천으로 지류인 창원천을 포함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환경부 지원 시범사업으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계획되어 실시설계 완료 후 공사가 진행 중이나, 복원 후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 등의 타당성과 관련한 문제가 지역사회에서의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천 유역의 특성을 적절히 고려한 유지유량 산정을 통해 향후 복원된 남천의 하천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실측된 남천과 창원천의 유량자료와 SWMM 유출량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남천의 유량자료는 2008년 5월 6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측하였으며, 남천의 지류인 창원천은 유량자료 취득구간이었던 창원천교 지점에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유량자료를 취득할 수 없었으므로 남천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비유량법으로 추정하였다. 유출량 산정을 위한 강우자료는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마산과 창원의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강우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마산기상대의 자료 대신, 창원시에서 제공한 5년간 (2005년~2009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SWAT을 이용하여 남천 유역을 39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Arc View를 이용하여 지형인자들을 추출하여 SWMM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입력자료 중 유출량 추정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매개변수들은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매개변수들을 결정하고 연유출량 추정을 위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남천의 연유출량을 추정함으로써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었다.

  • PDF

Climate Elasticity of Korean Streamflows (기후변동에 대한 한국 하천유량의 탄력성)

  • Jung, Il-Won;Chang, Hee-Jun;Bae, Deg-H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0
    • /
    • pp.851-864
    • /
    • 2010
  • We investigated the sensitivity of Korean streamflows to climate variation. Historical dam inflows and climate data for eight multi-purpose dam site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to determine key factors affecting streamflow change. The results show that annual streamflow primarily responds to change in precipitation rather than temperature. However, the combination of less precipitation and high temperature induces a more serious decrease in streamflow than does similar precipitation and with low temperatu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Korean water resources could be more vulnerable to drought due to increasing temperature caused by global warming. To estimate spatial differences in climate sensitivity, we also calculated climate elasticity for 109 mid-size watersheds using streamflow simulated by the Precipitation Runoff Modeling System (PRMS). Climate elasticity ranges over 1.5~1.9, indicating that a +20% increase in annual precipitation leads to a +30~+38% increase in annual streamflow.

A study on the stochastic generation of annual runoff (연유출량의 추계학적 모의발생에 관한 연구)

  • 이순혁;박명근;맹승진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7 no.2
    • /
    • pp.31-40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est fitting frequency distribution for the annual run- off and to simulate long series of annual flows by single-season first order Markov Model with comparison of statistical parameters which were derived from observed and synthetic flows at four watersheds in Seom Jin and Yeong San river systems. The results summariz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ydrologic persistence of observed flows was acknowledged by the correlogram analysis. 2. A normal distribution of the annual runoff for the applied watersheds was confirmed as the best one among others by Kolmogorov-Smirnov test. 3. Statistical parameters were calculated from synthetic flows simulated by normal dis- tribution. In was confirmed tha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imulated flows are much closer to those of observed data than except coefficient of skewness. 4. Hydrologic persistence between observed flows and synthetic flows simulated was also confirmed by the correlogram analysis. 5. It is to be desired that generation technique of synthetic flow in this study would be compared with other simulation techniques for the objective time series.

  • PDF

Analysis of Annual Hydrologic Series by Runs (Runs에 의한 연수문계열의 해석)

  • Kang, Kwan-Won;Ahn, Kyung-Soo;Kim, Ju-Hwan
    • Water for future
    • /
    • v.21 no.1
    • /
    • pp.77-86
    • /
    • 198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pplication of runs to the analysis of hydrologic data. The stochastic structure of annual hydrologic data is investigated using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run-length for various truncation levels. Observed relative frequencies of run-length at each station are copared with the calculated and approched to the calculated. Also, it can be shown to estimate the durations of wet and dry years by the probabilities of run-length for a given truncation level. Annual precipitation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tations where have relatively long records, and stream flow data were generated by Markov model.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 with run-lengths show independence of annual hydrologic series and Markov model can be applied to generate annual stream flow at Hyunpung, Waekwan and Gyuam.

  • PDF

Application of SWAT Model for Estimating Daily Inflow of Jinyang Reservoir (진양호 일유입량 추정을 위한 SWAT모형의 적용)

  • Lee, Youngjun;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25-327
    • /
    • 2010
  • 장기강우유출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수자원의 질과 양적 관리를 위한 필수적 사항으로 수자원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특히 수자원의 보존 및 관리측면에서 장기강우에 의한 정확한 유출량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 SWAT 모형은 토양과 토지이용 및 관리상태에 따라 복잡하게 반응하는 유역의 유출거동 모의를 위해 개발된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복잡한 유역에 대한 지형인자정보를 효과적으로 구축하여 SWAT 모형을 사용함으로써 진양호의 일유입량을 추정하였다. GIS와 연계된 SWAT 모형을 통해 남강댐으로 유입되는 일유입량을 예측하고자 관련매개변수들을 최적화하였으며, 검증기간에 대한 모의를 통하여 본 모델이 장기 일유출량 뿐만 아니라 유역의 연유출량 추정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the Estimation of Monthly Runoff from Ungaged Watersheds (미계측 중소유역의 월유출량 산정을 위한 다중회귀모형 연구)

  • Yun, Yong-Nam;Won, Seok-Yeon;Kim, W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1.07a
    • /
    • pp.119-132
    • /
    • 1991
  • 장기 수자원 개발계획의 수립에 필요한 월유출량의 추정을 위해, 수위계획지점의 유출자료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회귀모형을 수립함으로써 미계측지점의 월유출량 추정을 가능토록 하였다. 사용한 자료는 총 48개 수위관측소의 월유출량 및 기상·지상인자이며 이중 43개지점은 모형의 개발에 나머지 5개 지점은 모형의 검증에 이용하였다. 또한 모형을 유역별모형과 전체모형, 평균치모형과 개별자료모형으로 구분하여 모형-1, 모형-2, 모형-3 그리고 모형-4의 4개 모형을 수립하였으며, 검증결과 모형-2가 가장 적절한 모형으로 판단 되었다. 선정된 회기모형과 기존의 가지야마공식의 적용성을 통계적 방법에 의해 비교한 결과, 본 다중회기모형의 연유출량 뿐아니라 월별유출량의 변화성향을 매우 잘 나타내고 있으며, 적용 또한 용이함이 입증되었다.

  • PDF

Correlations between runoff ratio, annual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유출률, 연강수량, 증발산량 사이의 상관관계)

  • Yoo, Sanghyu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5-165
    • /
    • 2017
  • 유역의 장기유출해석에서 일반적으로 여겨지는 개념은 연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률도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 개념은 습윤한 환경이 직접유출을 유도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으로 흔히 이해되었다. 본 연구는 연강수량과 유출률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가설을 제시한다. 유역의 연강수량과 연유출량의 차이를 '기저손실량'으로 정의하고, 이를 제외한 연간 순강수량은 연간유출량과 1:1의 관계를 가진다고 보았을 때, 연강수량과 유출률의 상관관계를 해석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렇게 유도한 식은 연강수량과 유출률이 비례하기는 하지만, 선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은 아님을 제시한다. 제시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6개 댐유역에 대해 장기유출 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상한대로 유출량(댐유입량)과 강수량은 강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추정된 기저손실량은 유역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이를 유역의 토지피복현황과 관련있다고 보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토지피복유형 8가지에 대해 유역의 기저손실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산림면적과 기저손실량이 가장 큰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