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역적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수학적 추론 능력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 Jeon, Pyeong-Guk;Kim, Eun-Hui;Kim, Won-G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425-455
    • /
    • 2002
  •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수학적 힘의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수학적 추론 능력에 대한 교사들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추론 능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문헌 연구 및 학생반응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귀납적, 유비적, 연역적 추론능력에 대한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평가기준을 구체적인 문제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문제점을 수정 ${\cdot}$ 보완한 후,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과 동일한 학생반응에 대한 채점결과의 일치도를 알아봄으로써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

Awareness and Steps of the Mathematical Justifi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인식과 단계에 관한 실태 연구)

  • Kim, Jeong-Ha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5 no.2
    • /
    • pp.417-435
    • /
    • 2011
  • Mathematical justification is essential to assert with reason and to communicate. Students learn mathematical justification in 8th grade in Korea. Recently, However, many researchers point out that justification be taught from young age. Lots of studies say that students can deduct and justify mathematically from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 conduct questionnaire to know awareness and ste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ase of 9th grades, the rate of students to deduct is highest compared with the other grades. The rease is why 9th grades are taught how to deductive justification. In spite of, however, the other grades are also high of rate to do simple deductive justification. I want to focus on the 6th and 5th grades. They are also high of rate to deduct. It means we don't need to just focus on inducing in elementary school. Most of student needs lots of various experience to mathematical justification.

  • PDF

Ordinal Depth Based Deductive Weakly Supervised Learning for Monocular 3D Human Pose Estimation (단안 이미지로부터 3D 사람 자세 추정을 위한 순서 깊이 기반 연역적 약지도 학습 기법)

  • Youngchan Lee;Gyubin Lee;Wonsang Yo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826-829
    • /
    • 2024
  • 3D 사람 자세 추정 기술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높은 활용성으로 인해 대량의 학습 데이터가 수집되어 딥러닝 모델 연구가 진행되어 온 반면, 동물 자세 추정의 경우 3D 동물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관련 연구는 극히 미진하다. 본 연구는 동물 자세 추정을 위한 예비연구로서, 3D 학습 데이터가 없는 상황에서 단일 이미지로부터 3D 사람 자세를 추정하는 딥러닝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사전 훈련된 다중 시점 학습모델을 사용하여 2D 자세 데이터로부터 가상의 다중 시점 데이터를 생성하여 훈련하는 연역적 학습 기반 교사-학생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키포인트 깊이 정보 대신 2D 이미지로부터 레이블링 된 순서 깊이 정보에 기반한 손실함수를 적용하였다. 제안된 모델이 동물데이터에서 적용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해 실험은 사람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기존 단안 이미지 기반 모델보다 3D 자세 추정의 성능을 개선함을 보여준다.

한국기업의 지식경영 준비도(Readiness)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지식 고도화 모형을 기반으로

  • 김효근;김형란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07a
    • /
    • pp.63-9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을 실시하기 전에 자사의 현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조직의 지식경영 준비도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조직 내 지식활동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지식고도화 모형'을 기반으로 해서, 각 영역에 사회적 요인과 기술적 요인으로 구분된 틀을 적용하여 연역하였다. 연역한 결과, 사람, 문화, 제도, 프로세스, 기술의 5차원에서 총 22개의 측정항목이 도출되었고, 도출된 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5차원에서 총 21 개의 측정항목이 도출되었다.(중략)

  • PDF

컴퓨터를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의 가능성 모색

  • Jo, Han-Hyeok;An, Jun-Hwa;U, Hye-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97-215
    • /
    • 2001
  • 최근 수학적 사고력 연구가 구체적 수학내용에 기반한 활동과 조작에 대한 연구보다는 활동이나 조작을 통한 결과로 수학적 사고력에 접근하는 일회성 연구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교육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학교수학에서 아동들이 어떤 수학적 사고를 하는데 장애을 겪는지에 주목하여,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는 것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수에서는 문자도입에 따른 추상적 상징의 수용과 이용부분에서, 기하에서는 논증기하의 증명도입과정에서 형식적, 연역적 사고 시작으로 아동이 수학적 사고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살에 주목하였다. 특히 논증 기하의 연역적, 형식적 증명은 논리와 추론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논리와 추론은 고등학교 1학년과정 집합과 명제부분에 들어있어 아동은 논리와 추론에 대한 어떤 경험도, 교육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증명을 하게 된다. 이에 교육 내용으로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을 위해 가장 필요한 내용이 논증 기하가 도입되기 이전에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한 논리와 추론교육이라고 본다. 또한 교육 방법으로는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공학적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교육공학적 접근이 적극 권장되는 교육적 현실과 정규교육과정에서 이를 받아들일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음을 감안하여, 교과 내용과 연계된 컴퓨터 교육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에 논리 및 추론 교육은 컴퓨터 교육으로 초등학교의 특기적성 시간이나 정규수업 시간에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논리와 추론교육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답으로 논리와 추론교육에 적합한 수학적 내용으로 크게 이산수학과 중등 기하의 초등화하여 탐구하도록 하는 내용을,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논리와 추론 교육을 위한 LOGO 기반 마이크로월드를 설계, 이용하여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여기까지가 수학적 사고력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라면 후속연구로 이러한 가능성을 실험연구로 검증하고자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the Analytic Coding Frames on the Abductive Reasoning in Scientific Inquiry (과학자의 과학적 탐구과정에서 나타나는 귀추적 추론 분석틀 개발)

  • Cho, Hyun-Jun;Jeong, Sun-Hee;Yang, Il-H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7
    • /
    • pp.586-60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cientists' abductive reasoning in three stages of hypothetical-deductive inquiry process; generating hypothesis, designing, and interpreting data and to suggest new analytic coding frames on abductive reasoning in each of the stages. For this purpose, the interview protocol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scientists were analyzed by the early frame with sub-element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reviews. The need of a new frame of analysis beyond the previously established elements arose from the result of this analysis because the processes of abductive reasoning were found in all three stages. Based on scientists' interview data, this study then designed a new frame of analytic coding frames on the abductive reasoning in each of the stages. The content validity index from four experts was 0.90, and these frames showed a good fit to analyze the scientists' real process of abduction in three stages of hypothetical-deductive inquiry process.

고대 인도와 그리스의 기하학

  • Kim, Jong-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10.04a
    • /
    • pp.221-221
    • /
    • 2010
  • 고대의 인도수학은 산스크리트어로 쓰여 있고, 최초의 기하학은 베다문헌으로 경전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성스런 제단이나 사원을 설계하기위해서 발전하였다. 고대 인도의 많은 수학자들은 힌두교의 성직자들로 일찍이 십진법, 계산법, 방정식, 대수학, 기하학, 삼각법 등의 연구에 공헌하였다. 인도 기하학은 양적이며 계산적이지만 원리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 기하학은 공리적이고 연역적으로 전개되는 완전한 학문으로 발전하였다. 고대 인도와 타 문명권의 기하학을 비교하는 것은 오늘날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현대과학의 시대에 가치와 의미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지갈등을 통한 수학과 학습모형( II )

  • Choe, Eun-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141-153
    • /
    • 2001
  • 지금의 수학교육현장은 결과적인 완성된 지식을 교사 주도하에 연역적으로 지도하는 것에 대해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그에 대한 대안으로 본 논문은 인지갈등을 통한 수학과 학습 모형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지 갈등을 유발하여 학습동기를 부여한 후 학생과 교사가 함께 그 갈등을 풀어 나감으로서 동기유발과 수학적 능력을 길러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보편화된 컴퓨터 환경은 이러한 수업을 더욱 용이하게 함에 주목하고 또 문제 설정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한 수업 모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주제에 따라서는 수학사적 내용을 첨가하여 흥미 있는 수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업방법은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게 되어 효과적일 것이다.

  • PDF

Ontology-aware Deduct ive Inference System (온톨로지 연계 연역 추론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 장민수;손주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3-135
    • /
    • 2003
  • 시맨틱 웹은 지식을 구조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수단과, 논리를 기반으로 지식을 처리하는 기술을 주요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후자에 대한 유력한 기술로 기호 논리를 기반으로 한 연역 추론 기법이 폭넓게 응용되고 있으나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시맨틱 웹 환경에서 효과적인 추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역 추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내용을 담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추론 시스템은 표준 기술 논리(Description Logic)의 상당 부분과 혼 논리(Horn Logic) 기반의 논리 프로그래밍을 아우르는 확장된 표현력을 제공하여, RETE 알고리즘 기반의 생성 시스템을 활용하여 추론한다. 또한, 규칙베이스를 구성하는 단위 지식들을 웹 자원화함으로써 온톨로지로 대표되는 시맨틱 웹의 지식 표현력을 확장하였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추론 시스템을 이용하면 웹 온톨로지 위에 규칙 및 논리 계층[1]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Rhetoric Expression in Domestic and Foreign 4 Panel Comic Strips (국내외 네칸만화 수사적 표현 연구)

  • Lee, Won-Seok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9
    • /
    • pp.18-32
    • /
    • 2005
  • Comic has a story. Comic exits as a some kind of media to convey the story the writer wants to say and it not only is a message described by sign, content, and complexity but also works in more vast communication condition. This Study treats that the rhetoric expression of 4 panels comicstrip in internal and external weigh with the narration of story. If the rhetoric is the sort out of the words, in the rhetoric of 4 panels comicstrip, the target is how easy to read, how interesting to read. Here are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in daily life and current affair 4 Panel Comic Strips. To analyze and compar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wo above strips proposes actual model of basic skill making 4 Panel and further will be applied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long comics. The study of explaining the feature of 4 Panel Comic Strips is proposed, based on the basic act in all comic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4 Panel Comic strips Comic Strips has the basic structure of long serialized comics and story tel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