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안습지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valuating Coastal Wetland Using Environmental Indicators (환경지표를 이용한 연안습지의 평가)

  • 이동근;방광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4 no.2
    • /
    • pp.70-78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nforce systematic evaluation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ecosystem of coastal wetland to use frame of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this, the indicators for evaluation of coastal wetland were established and were applied to the present condition. Then,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is evaluation indicators and management method by group of coastal method are presented. These results present the following consideration in case that the ideal management method on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coastal wetlands was proposed. In case of Kang-hwa island which had the good natural environment, the mlnimum development with maintenance of the present state must be driven. In case of Tae-an which had the good natur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potential, the development that was in harmony with the nature must to be driven. In case of Seo-chon which was previously developed region, the various development programs which had the minimum effects on the natural, living and socio $.$ economic environment must to be provided.

  • PDF

USN-based smart blind parasol (USN 기반 스마트 파라솔)

  • Park, Han-Sol;Kang, Byeong Beom;Park, Jun-Sung;Kim, Dong Wook;Yeo,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235-237
    • /
    • 2011
  • 최근 USN 기술은 건축, 물류, 통신 등 전 산업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되어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USN 기술을 파라솔에 적용한 스마트 파라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환경 센서를 통해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수집된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파라솔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연안습지, 유명 관광지등 에서 관광객들에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편의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광지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광지의 위상을 제고 할수 있다.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 in Damyang Riverine Wetland (담양하천습지의 식생유형과 분포양상)

  • Ahn, Kyunghwan;Lim, Jeongcheol;Lee, Youlkyung;Choi, Taebong;Lee, Kwangseok;Im, Myoungsoon;Go, Youngho;Suh, Jaehwa;Shin, Youngkyu;Kim, Myungj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2
    • /
    • pp.89-102
    • /
    • 2016
  • Damyang riverine wetland was designated as a wetland protected area in 2004; that is located in the Yeongsan river mainstream. Total 30 phytosociological releves at field studies were classified with 22 vegetation types including of 101 species (unidentified 1 species). Legends of actual vegetation map were separated by 6 types; riparian forest, substitute vegetation, synanthropic vegetation, wet meadow vegetation, open water, an area of wetland vegetation is about 35 % ($386,841.86m^2$). Results of this study area as follows. The plant society of Damyang riverine wetland was conjectured that it was formed by rapidly water environment change with installed weir on the upstream of protected area and operating of Damyang dam on top of the basin. Until recently, the terrace land on the river was used to cultivate, but that would be formed fallow vegetation scenery on riverfront caused by no cultivation after designated protected area.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community designated as invasive alien plant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was widely developed and Myriophyllum spicatumunrecorded in the country as newly alien species was discovered in the study zone. The plants as lapped over developing environment for Leersia japonica must be occupied habitat of native plant species having similar niche. The various plant society in Damyang riverine wetland should be developed because of environmental changes, disturbances and damages of stream.

한국 서해안 함평만 펄 조간대의 여름철 저서동물 군집

  • 임현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13-215
    • /
    • 2002
  • 함평만은 길이가 171km, 최대 폭이 12km에 달하는 반폐쇄적인 만으로서, 평균조차는 315.4cm인 중조차 해 역이다. 함평만 주변은 1910년대부터 간척사업이 진행되어 해안선이 크게 달라졌으나 해제반도로 둘러싸인 해안선은 비교적 자연성을 잘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2001년 12월에는 무안군에 인접한 35.6$\textrm{km}^2$의 갯벌이 연안습지보전지역으로 선정되었으며 현재 보전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중략)

  • PDF

Environment Improvement in Namdomg Pond Linked with Seunggi Stream (승기천과 연계한 남동유수지의 환경개선방안)

  • Kim, Gee-Hyoung;Hahm, Chang-Hah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81-986
    • /
    • 2007
  • 현재 인천연안에는 홍수방지와 원활한 하천수 방류를 목적으로 많은 유수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수지는 유역으로부터 유입된 오염물질의 축척으로 수질이 심각한 상태에 있으며 대부분의 유수지 수질이 5등급을 초과하는 등 악취에 의한 민원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유수지를 통해 저류되었던 유량이 해안으로 방류되면서 인천연안의 해양수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해양수질 개선에 큰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인천의 승기천, 장수천, 굴포천을 포함한 5대 하천복원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승기천의 경우 승기천 본류에 대한 하천복원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기 위해서는 승기천 최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남동유수지와 연계된 하천복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승기천 복원사업은 남동유수지와는 별도로 진행되고 있어 승기천의 성공적인 복원을 위해서는 남동유수지가 당면하고 있는 수질개선 문제, 퇴적된 저니의 준설 문제, 향후 남동유수지의 운영 개선방안 등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과거 남동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1996년과 1997년에 열대성 식물인 부레옥잠을 유수지에 식재하여 남동유수지의 자연정화를 유도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예산의 과다소요와 동절기 정화능력 상실 및 부레옥잠 사멸시 2차 오염 초래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사업을 중단하였고 같은 해 유수지 퇴적물의 준설을 통한 수질개선도 시도하였으나, 퇴적물 성분 중에 함유된 중금속으로 인해 준설토의 처리문제가 해결되지 못해 사업이 유보되어 남동유수지는 현재까지 특별한 환경개선 방안이나 운영방안 없이 유지되고 있는 실정으로 남동유수지가 현재와 같은 상황으로 유지된다면 승기천 복원사업 종료 이후에도 남동유수지는 생활환경을 저해하는 지배적인 요인으로 남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Composition by Plant Community in the Shincheon Wetland of Mangyeong River, Jeonbuk (만경강 신천습지의 식물군락별 종조성적 특성)

  • Kwang-Jin, Cho;Jung-A, Lee;Jeoncheol, Lim;Yeounsu, Chu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6
    • /
    • pp.409-422
    • /
    • 2022
  • Riverine wetlands ar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river ecosystem and account for approximately 38% of the inland wetlands surveyed so far. The Shincheon Wetland located in Mangyeong River is also a channel wetland as the flow rate is slowed by the constructed weirs, leading to sediment accumulation. To identify the conservation valu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hincheon Wetland, its vegetation and plant diversity were identified using a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a total of 45 vegetation-related datasets were collected. Overall, 24 plant communities, comprising a total of 153 taxa (49 families, 117 genera, 146 species, 2 subspecies, 5 varieties) were identified. The plant with the highest appearance rate in the communities was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In addition, annual herb species, including Rumex crispus L., Bromusjaponicus Thunb., Erigeron annuus (L.) Pers., and Artemisia indica Willd. were frequently observed to be growing in the secondary grassland. Naturalized plants were surveyed in the 38 taxa; the urbanization index was 10.3% and the naturalized index was 24.8%. Plant communitie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submerged vegetation, floating and floating-leaved vegetation, annual and biennial vegetation, perennial herb vegetation, and woody vegetation.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reflecting various habitats, including the lentic and lotic zone maintaining a constant water depth, littoral zone experiencing intermittent water level fluctuations, and dry floodplain environment was also confirmed. Overall, plant community develop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abitat for wild animal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positively impact biodiversity enhancement.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due to the Construction of Jetty at the Heoya-River Mouth, Ulsan (울산 회야강 하구 도류제 건설에 따른 표사이동 특성)

  • Lee, Seong-Dae;Kim, Bo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4
    • /
    • pp.477-486
    • /
    • 2014
  • Integrated sand control including sediment discharge from hinterland rivers is necessary to maintain coastal sand resources over a long term.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efficient ways to transfer discharged sand from a river to the neighboring coast, measures to improve storage efficiency of the discharged sand at the river delta and/or river terrace, measures to prevent the sand resource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deep sea during flooding. From the 1997 to January 2004, the jetty of 156 m length was constructed the Heoya-river mouth to protect the blockade of river mouth. Several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and morphological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jetty at the Heoya-river mouth. Firstly, The sand discharge from Heoya river is quantified by on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ssuming the mixed sand of three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Also the numerical mode system, which predicts the sea bed changes obtained from the Bailard's energy model(1981), was combined with the wave, wave-induced currents and sediment transport models. Then, to understand the changes to the blockade of the river mouth, several aerial photographs were compared, which showed that the changes were significant.

A Synecological Description of Ohmi Moor with Sphagnum Islet in Jeju, Korea (물이끼섬을 포함하는 제주도 오미 습원의 군락생태)

  • Kim, Jong-Won;Lee, Gyeong-Yeon;Kim, Yun-Ha;Eom, Byeong-Cheo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1 no.2
    • /
    • pp.174-183
    • /
    • 2018
  • In the Sumeunmulbaengdui Wetland Protected Area of Jeju Island, there exists a unique pond, a so-called 'Ohmi', which is likely to be an oasis supporting the wildlife and escaped-livestock. We exquisitely described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y of the Ohmi. Despite its small area, six syntaxa were identified: Sphagnum community of peat bog type, Nymphoides coreana community of the floating-leaf limnetic vegetation, Scirpus triangulatus community and Schoenoplectus hotarui community of the littoral zone vegetation, and Deinostema violacea-Eleocharis congesta community and Eriocaulon atrum-miquelianum community of the ephemeral vegetation. A zonal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along the water depth was recognized. The Sphagnum islets regarded as a typical component of peat bog, in Korea were first described at the center of the Ohmi. We conclude that the Ohmi is a primeval keystone habitat of the Sumeunmulbaengdui intermediate moor with a less oligotrophic ombrotrophic environment.

Floristic Survey of Salt Marshes and Dunes on Gyeonggi Bay in Korea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 심현보;서석민;최병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0 no.1
    • /
    • pp.25-34
    • /
    • 2002
  • The halophytes were investigated on Gyeonggi Bay from Aug. 1999 to Oct. 2001. The survey was conducted at 38 areas including natural salt marshes, dunes, abandoned salt farms and bank areas. During this study 46 species of halophytes were collected in the areas. Among the halophytes the following 7 species were found at natural salt marshes only; Triglochin maritimum L, Carex scabrifolia Steud., Salicornia herbacea L., Suaedu australis (R. Br.) Moq., S. martima Dum., S. japonica Makino, S. malacosperma Hara, on the other hand 8 species at dunes only; Glehnia littoralis Fr. Schm., Cnidium japonicum Miq., Messerschmidia sibirica L., Ixeris repens A. Gray, Corispermum stauntonii Miq., Vitex rotundifolia L. fil., Ischaemum anthephoroides Miq., Carex kobomugi Ohwi. The distributions of halophytes in each regions are as the followings : Isl. Gyodong-do 21 species, Isl. Seokmo-do 10 species, Isl. Ganghwa-do 28 species, Isl. Jangbong-do 16 species, Isl. Sin & Si-do 10 species, Isl. Daemuui-do 23 species, Isl. Deokjeok-do 23 species, Isl. Ijak-do 10 species, Isl. Yeongheung-do 29 species, Soyra 25 species, Isl. Daebu-do 15 species, Ssangsong-ri 6 species, Hogok-ri 16 species, Maehyang-ri 10 species.

Analysis of Erosion Characteristics for Environment-Friendly Remodeling of Revetment Structures in the West Coast Area of Korea (환경친화적 연안 호안구조물 리모델링을 위한 서해안 침식특성 분석)

  • Park, Jong-Ryul;Oh, Kuk-Ryul;Ha, Jong-Joo;Kim, Kee-Dong;Jeong, S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32-2037
    • /
    • 2010
  • 충청남도 서해안은 생태환경의 보고로서 갯벌, 사구, 해안습지 등 독특한 자연적 특성을 갖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 비해 대규모 간척 및 매립으로 인한 해양생태계 피해에 현저히 노출되어 있으며, 서해안 지역은 최근 산업화 및 관광권화가 진행되며 무분별하게 설치된 호안구조물은 그 기능을 상실하여 상당수가 설치전보다 오히려 서해안의 독특한 환경성과 관광성을 악화시키고 있어 서해안 특성을 고려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연안 호안구조물 리모델링을 위해 서해안의 침식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방법은 충청남도 서해안의 4개 시 군 29개 지점을 대상으로 1년여에 걸쳐 수행된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서해안의 침식 현황을 파악하고, 기 조사된 서해안 지역의 침식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침식원인을 유형화하였다. 조사 분석결과 서해안의 대표적인 침식유형은 직립 급경사 호안구조물의 반사파로 인한 해빈침식(자갈화), 사구 토사포락, 직립 급경사 호안구조물 저면 세굴에 의한 호안구조물 붕괴, 방파제 설치에 의한 침식 등 대표적인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침식 유형별 발생지점 수는 총 29개 지점 중 각각 19개 지점, 13개 지점, 5개 지점, 4개 지점에서 나타났다. 이는 호안구조물이 미설치된 곳은 사구 토사포락에 의한 침식 발생빈도가 높았고, 반면에 호안구조물이 설치된 곳에서는 호안구조물의 기능 상실로 인한 해빈침식의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지점으로 선정하였던 29개 모든 지점에서 토사유실로 인한 자갈화가 진행되어 서해안의 갯벌, 사구, 해안습지 등이 유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서해안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형화된 직립 급경사 호안구조물의 역효과로 피해가 발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