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안대

검색결과 648건 처리시간 0.023초

남해안 조하대 사질 연안에서의 갑각류의 계절적 분포

  • 정장방;최연호;조수근;서해립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58-259
    • /
    • 2000
  •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연안수산자원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유용생물의 치어를 생산하여 방류를 통해 수산자원을 증가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인공종묘를 방류하여 자연자원을 증가시키려는 경우,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지만, 그 중에서도 먹이환경은 치자어의 방류 후 생잔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광전ㆍ 야구, 1986ㆍ1988). 따라서 방류를 통해 수산자원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어린 시기의 먹이 환경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치자어의 성육장이 되는 연안 쇄파대에서의 먹이생물이 되는 갑각류의 분포에 관해 조사하였다. (중략)

  • PDF

제주도 연안 오징어 채낚기 어업의 생력화 2. 연속식 채낚기 어구의 어획 시험

  • 김성호;오승훈;김병엽;박성욱;김석종;서두옥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5-36
    • /
    • 2002
  • 제주도 근해는 대마난류, 황해 난류, 황해 냉수, 한국 남ㆍ서해연안수, 중국대륙 연안수 등이 출현하여 이질 수괴들이 시기와 계절별로 복잡한 해황을 형성하여 오징어, 갈치, 고등어, 전갱이, 방어, 삼치 등을 어획하는 좋은 어장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서는 오징어를 걸이, 대낚시, 전기식설낚시, 연결식낚시, 로울러낚시, 자동조획기 등으로 어획하고 있으나, 이들은 원줄에 오징어 낚시가 수직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략)

  • PDF

거제연안에 서식하는 보리새우(Penaeus japonicus)의 성장과 산란

  • 김성태;장대수;고태승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7-278
    • /
    • 2002
  • 보리새우는 보리새우과 보리새우속에 속하는 대형새우로서, 전세계에서 일본, 대만, 필리핀, 베트남, 남아프리카, 케냐 등지의 해역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일만과 전북연안을 포함한 남해안에 주로 분포하며, 특히 6∼9월에 거제연안을 중심으로 가장 많이 어획되고 있다. 최근 고급 기호식품으로 소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수산자원이나, 본종을 어획하는 합법적 어구가 개발되어있지 않다. (중략)

  • PDF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의 성성숙

  • 김정;김성연;정의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28-529
    • /
    • 2000
  •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는 백합과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남·서해 연안과 일본, 중 연안의 조간대에서 수심 20m까지 분포 서식하는 패류로, 바지락과 혼생하나 일반적으로 바지락보다는 깊은 곳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살조개는 남해 서부연안에서 식용으로도 기호도가 높은 유용 수산자원 품종이나, 이들 살조개에 대한 연구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중략)

  • PDF

쇄파대내의 확산

  • 유동훈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3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46-151
    • /
    • 1993
  • 쇄파대에서 발생되는 연안류의 분포는 완만한 곡선분포를 보이는데 단순파인 경우이의 해석은 확산계수의 도입으로만 가능하다는 점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Harris(1967)는 현장관측과 수조실험으로 이 분야 초기연구로서 쇄파대 확산의 변이를 무시하고 평균확산계수치만을 고려하였다. 연안류해석의 확고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한 Longuet-Higgins(1970)는 그의 이론식 도출고정에서 확산계수 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특성길이로서 연안선으로부터의 거리를 택하고 특성속도로서 파속을 택하였으며 쇄파대내에서 파속은 군속도와 같다고 가정하였다. (중략)

  • PDF

제주도 연안 오징어 채낚기 어업의 생력화 1. 연속식 채낚기 어구의 해상실험

  • 오승훈;서익조;김병엽;서두옥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1-52
    • /
    • 2001
  •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서는 오징어를 걸이, 대낚시, 전지식설낚시. 연결식낚시, 로울러낚시, 자동조획기 등으로 잡고 있으나, 이들은 원줄에 오징어 낚시가 수직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는 원줄에 목줄과 오징어 낚시를 연결한 입승식 채낚기 어구를 수동식으로 조업하고 있다. 오징어는 수산 무척추 동물의 두족류중에 십완류에 속한다. (중략)

  • PDF

가변격자체계에 의한 연안구조물 주변의 파랑변형모형 (Numerical Wave Deformation Model in Variable Grid System around the Coastal Structures)

  • 이동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2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77-82
    • /
    • 1992
  • 쇄파역이 포함된 연안해역에 구조물등이 설치될 경우, 심해에서 발달하여 진행해온 파랑은 구조물 주변에서 반사 및 회절에 기인하여 지배적으로 변형하여 주변해역의 파랑장이 변화하게 되며, 특히 쇄파대에 위치한 구조물 주변에서는 복잡한 파랑변형 양상을 나타내게 된다.(중략)

  • PDF

러시아 극동 연안의 꼬막 아과 (이매패 : Arcida) (Subfamily Anadarinae (Bivalvia : Arcidae) of the Russian Far East Coast))

  • Lutaenko, Konstantin A.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7-32
    • /
    • 1993
  • 러시아의 극동 연안에서는 꼬막 아과 세 종이 출현하고 있다. 이들 중 Anadara inaequivalvis(Bruguiere, 1789)와 Anadara subcrenata(Lischke, 1869)는 신생대에 전멸된 개체군으로 알려져 있다. Anadara속의 형태학적 변이, 분류 및 지리적 분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 PDF

장기 바람 관측 통계치에 의한 수영만의 해안선 변화 (Shoreline Change Based on Long Term Wind Statistics in Suyeong Bay)

  • Kang, Hyo-Jin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0-156
    • /
    • 1994
  • 연안 퇴적물 이동에 의한 수영만의 광안리와 해운대 지역의 해안선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지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동쪽과 남쪽 사이에서 부는 바람의 15년간 풍향별 발생 빈도를 이용한 월별 평균 풍향과 풍속을 계산하여 JONSWAP법에 의한 심해 유의파를 추정하고, 굴절 및 천수효과에 의한 쇄파고와 쇄파각을 계산하였으며, 그에 의한 연안 퇴적물 이동량을 계산하고 퇴적물 이동량의 수급에 따른 해안선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광안리 지역에서는 주된 연안 퇴적물 이용이 남서에서 북동방향으로, 해운대 지역에서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안리 지역의 해안선은 북동쪽이 전진, 남서쪽이 후퇴하는 양상을 보이고, 해운대 지역은 동쪽이 후퇴, 서쪽이 전진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 PDF

대조차환경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성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Erosional Coast in the Tide-dominated Environment)

  • 금병철;오재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565-574
    • /
    • 2002
  • 항공사진과 지형측량 등 기존의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선정된 지역인 대부도 조간대 지역에서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표층퇴적물 137개 및 1개의. 코아 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조상대 지역은 만조와 폭풍 시에 파랑과 조석에 의해서 침식되어진 육상퇴적물과 조석에 의해서 유입되는 세립 퇴적물이 퇴적되어 불량한 분급, 양의 왜도, 다모드(다기원)형 입도분포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밑짐이동으로 운반되어 지고 있다. 반면, 상부조간대, 중부조간대, 하부조간대에서는 서해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과 마찬가지로 외해로 갈수록 조립해지고 상대적으로 분급도가 양호하며 양의 왜도를 가지고 있다. 조석에 의한 승강작용에 의한 에너지 분산에 의해서 점이부유(graded suspension와 지속적 부유(uniform suspension)에 의해서 운반, 퇴적된다. 또한, 코아시료는 상향조립하고 분급도가 불량해지는데 이는 육상기원의 침식된 퇴적물이 유입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은 인위적 요인과 자연적 요인인 조석 만조 시에 태풍과 폭풍 그리고 장단기 해수면 상승에 의한 강한 파랑에 의한 자연적 침식된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안침식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대조차 침식연안은 만조시에 해안의 지역적, 시간적, 수리학적 상태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조간대 지역은 전반적인 조간대 퇴적환경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