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신율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49초

원자력용 316L 스테인레스 강의 고온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질소의 영향

  • 김대환;류우석;남호윤;김영철;홍준화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729-734
    • /
    • 1995
  • 원자력용 316L강에 질소를 첨가한 경우의 고온 인장성질을 조사하였다. 온도가 증가하면 인장강도는 감소하다가 온도범위가 30$0^{\circ}C$~50$0^{\circ}C$에서는 일정한 값을 나타낸 후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연신율은 감소하다가 40$0^{\circ}C$에서 최소값을 나타낸 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소를 첨가하면 인장강도증가와 함께 연신율도 증가하였다. 동적변형시효 온도구간에서 변형속도변화에 따른 인장강도 및 연신율의 변화는 매우 작다. 동적변형시효를 위한 활성화에너지를 구해본 결과 동적변형시효를 일으키는 원소는 Cr이다. 질소를 첨가하면 동적변형시효가 발생되는 온도가 고온 쪽으로 이동되었는데 이것은 질소가 Cr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Cr의 확산속도를 낮추기 때문이다. 가공경화지수는 동적변형시효와 회복의 영향으로 40$0^{\circ}C$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이 온도는 연신율이 최소값을 나타내는 온도와 인장강도가 일정하게되는 온도와 일치하므로 강도강화기구는 동적변형시효로 판명되었다.

  • PDF

철근 최소 연신율 규격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Minimum Extensibility Standard Requirements for Steel Reinforcement)

  • 이재훈;김동현;최진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559-567
    • /
    • 2011
  • 효율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 시공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 고강도 철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강도 철근은 일반강도 철근에 비하여 연신 능력이 낮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기존의 최소 연신율규격을 만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국내외 철근 규격의 최소 연신율 규정과 표점 거리 규정은 각 규격마다 상이하여, 동일한 철근이라도 적용하는 규격에 따라 적합 여부가 다르게 평가된다. 따라서 각 철근 규격을 비교 검토하고, 국내의 철근 규격 KS D 3504의 규정이 합리적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 유럽, ISO 등 국내외 철근 규격의 최소 연신율 규정과 표점 거리 규정을 비교 분석하고, 철근 인장시험을 통하여 규격의 엄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국내 철근 규격인 KS D 3504가 가장 엄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엄격성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KS D 3504의 일반용 철근 규격의 최소 연신율 규정을 수정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내진용 철근 규격을 제안하였다.

폐(廢)LCD에서 회수(回收)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의 인장강도(引張强度)와 연신율(延伸率)에 미치는 PE(Polyethylene)와 유리섬유(纖維)(Glass Fiber) 첨가효과(添加效果) (Effects of PE (Polyethylene) and GF (Glass Fiber) Addition on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covered from Waste LCDs)

  • 이성규;조성수;이수영;박재량;홍명환;홍현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3호
    • /
    • pp.50-56
    • /
    • 2013
  • 폐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실용적이고 경제성 있는 재생복합소재의 개발에 기여할 목적으로 ABS/PE(50/50과 20/80), ABS/GF (90/10) 복합 소재의 조성이 연신율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PE 함량을 50%에서 80%로 증가시킨 폐플라스틱 재생복합소재의 인장시험 결과 전반적으로 연신율이 2.4%에서 13%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유리섬유 첨가 시 인장강도와 연신율 모두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PE의 함량에 따라 인장강도 등 다양한 기계적 특성의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투입되는 재생복합소재의 특성 중 아주 중요한 연신율을 향상시키는데 PE의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ABS 자체의 우세한 비정질성이 결정성을 띈 PE의 첨가로 인해서 광범위하게 결정화된 결과 폐플라스틱 입자들 사이의 전단 응력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된다.

국내외 철근규격 연신율의 엄격성 평가 (Evaluation about The Rigor of Elongation for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 of Steel Reinforcement)

  • 김동현;이재훈;고성현;황도규;유현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79-280
    • /
    • 2010
  •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인 철근의 최소연신율 규정은 각 나라 규격마다 상이하다. 이는 각 규격마다 철근의 연신율을 산출하는 기준인 표점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표점거리를 가지고 있는 국내외 규격을 비교하고, 단조증가 인장시험을 통하여 어떠한 규격의 연신율 규정이 더 엄격한지에 대해 실험적으로 분석 평가하였다.

  • PDF

니켈염 종류에 따른 무전해 니켈 도금피막의 기계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lectroless NiP film as a function of nickel salt)

  • 전준미;이홍기;이민형;이호년;허진영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Fine pattern PCB 표면 처리 기술 워크샵
    • /
    • pp.151-1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황산니켈, 아세트산니켈, 썰파민산니켈 등 니켈 염 종류에 따른 무전해 니켈 도금피막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두께로 도금피막을 형성하여 내절성 시험결과 황산니켈을 사용한 무전해 니켈 도금피막의 경우 97회, 아세트산니켈을 사용한 경우 259회, 썰파민산 니켈을 사용한 경우 467회의 굴곡 시험 후 도금 피막이 파괴되어 썰파민산니켈이 니켈염으로 사용될 경우 가장 우수한 피막을 나타내었다. 도금피막의 연신울 측정결과 니켈염으로 황산니켈을 사용할 경우 0.28%의 연신율을 나타내었고 아세트산니켈을 사용할 경우 0.32%의 연신율을 나타내었고 썰파민산니켈을 니켈염으로 사용한 결과 0.69%의 높은 연신율을 나타내었으며 개발한 도금액을 PCB 도금을 위한 Cu Pattern에 도금한 경우 Cu line에 선택적으로 도금이 가능하였다.

  • PDF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Fabrication 연구 (Ⅵ) -PET/PETG 공중합체 블렌드의 연신조건에 따른 물리적 특성- (A Study on Fabrication of Polyester Copolymers (Ⅵ) -Physical Properties of PET/PETG Copolymer Blend by the Drawing Conditions-)

  • 현은재;이소화;김기영;제갈영순;장상희
    • 폴리머
    • /
    • 제26권3호
    • /
    • pp.335-343
    • /
    • 2002
  • 블렌드 (PET/PETG 70/30 블렌드)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PETG)을 무게 비 70/30으로 혼합하여,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미연신 필름은 이 블렌드와 순수 PETG 수지를 압축성형기로 각각 용융 압축시켜 제조하였고 연신 필름은 미연신 필름을 모세관 레오메타를 사용하여 연신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블렌드 연신 필름과 PETG 연신 필름의 결정성, 수축율, 열적, 동역학적 및 기계적 특성을 X-선 회절분석기, 오븐기, DSC, 및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블렌드와 PETG필름의 결정화도와 밀도는 연신비와 연신 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으나 반면 연신 온도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또한 블렌드 필름의 결정화도와 밀도는 PETG 필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 필름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은 연신비 및 연신 속도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고 연신온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블렌드 필름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이 PETG 필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 필름의 수축율은 연신비와 연신 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미연신 블렌드 필름의 수축율이 순수 PET 필름보다 600% 증가함을 보였다.

화학적 및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한 연신성 폴리피롤 필름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Stretchable Polypyrrole Films Prepared by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Method)

  • 장관식;문봉진;오응주;홍장후
    • 폴리머
    • /
    • 제27권4호
    • /
    • pp.323-329
    • /
    • 2003
  • 기능성 도핑제인 di(2-ethylhexyl) sulffsuccinate sodium salt (NaDEHS)을 사용하여 화학적,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한 연신성 폴리피롤을 합성하였다. 화학적,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피를 필름은 구역 연신 방법을 사용하여 1.0∼2.5배 연신시킬 수 있었으며, 연신된 폴리피를 필름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연신율이 증가함에 따라 필름의 전기 전도도는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연신율에 따른 결정성 증가로 설명할 수 있었다. 온도변화에 따른 전하 이동 경로는 1.0-2.0배 연신된 폴리피롤의 경우 3차원 variable range hopping모델, 2.5배 연신된 폴리피롤의 경우 1차원 VHR모델에 적합함을 볼 수 있었다.

견 Monofilament의 연신과 가수분해에 의한 특성변화 (Changes in Properties of Silk Monofilament Caused by Drawing and Hydrolysis)

  • 김동건;최진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0-167
    • /
    • 1996
  • 견단백질을 구성하는 액상견사막인 중부견사막을 추출한 후, 약3배로 급속히 연신하여 견 monofilament를 제작하였다. 이 시료를 연화시켜 분자간의 수소결합능을 저하시키기 위해 비등상태의 증류수에 팽윤시킨 다음 연신처리를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열분석과 X선회석의 결과로부터 견사막건조물시료은 Silk I형의 결정영역 및 random 무정형분자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monofilament시료에서는 부분적으로 Silk II형결정이 발현하기 시작하여 더욱더 연신한 62.5% 연신시료에서는 거의 완전한 Silk II형결정으로 전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복굴절율 및 밀도는 monofilament시료에 비해 연신율의 상승과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견 fibroin분자의 배향은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fibroin분자의 배향이 완성되었다. 3. 가수분해처리에 의한 복굴절율은 연신율의 상승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 가수분해의 처리시간과의 관계에서는 연신율이 증가함에 따라 복굴절율도 거의 일정하게 나타나 배향결정화가 진행되어 배열이 좋게 되어진 무정형이 결정으로 전이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4. 62.5% 연신시료를 가수분해한 경우의 X선회절은 가수분해에 의해 배향의 흐트러짐은 생기나 결정풍괴는 일어나지 않았다. 열분석에서도 가수분해의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흡열 peak 온도는 저온측으로 이동하여 가수분해처리에 의해 고배향의 무정형부분이 유출로 인하여 결정부분의 배향이 흐트러진다는 것이 X선분석 결과로부터 추측되어진다.

  • PDF

경과년에 따른 비닐하우스 서까래 파이프 인장 강도 변화 (Change of Tensile Strength for Rafter Pipes of Plastic Greenhouse according to Elapsed Period)

  • 송호성;임성윤;류희룡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30-130
    • /
    • 2017
  •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구성하는 파이프는 부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아연도강관을 사용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연도금량 감소와 여러 외부 환경인자 등에 의하여 부식이나 침식이 진행되어, 외관상 녹이 생기고 강도와 연신율 등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비닐하우스 전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나 기준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시설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각기 다른 경과년수를 갖는 비닐하우스로부터 채취한 서까래 파이프의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에 사용된 서까래 파이프는 (구)시설원예시험장에 설치되어 있는 비닐하우스에서 경과년별로 채취하였으며, 지중매설부와 지상노출부로 구분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인장 실험 결과 서까래 파이프의 경과년이 오래될수록 시편의 인장 강도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파단연신율은 경과년과 연관성을 찾아보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일한 경과년을 갖는 서까래 파이프 시편에서 지중매설부의 인장 강도와 파단연신율이 지상노출부에 비해 대체로 작게 측정되었으며, 경과년이 증가할수록 인장 강도의 감소폭이 커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Fabrication 연구(IV) - PET/BPA 공중합체의 물리적 특성 - (A Study on Fabrication of Polyester Copolymers (IV) - Physical Properties of PET/BPA Copolymer -)

  • 현은재;이소화;제갈영순;장상희;최현국
    • 폴리머
    • /
    • 제25권2호
    • /
    • pp.208-217
    • /
    • 2001
  • 테레프탈산 (terephthalic acid), 비스페놀에이 (bisphenol-A)와 에틸렌글리콜 (ethyleneglycol)로 제조된 PET/BPA 공중합체를 용융 압축시켜 필름을 만들어 얼음물에 급냉시켰다. 이 공중합체 필름을 모세관 레오메타로 고상 압출시켜 연신 필름을 만들었다. 이 연신된 필름의 수축율, 결정성, 형태학, 열적, 동역학적 및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공중합체 필름의 융점은 순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결정화도와 밀도는 연신비와 연신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으나, 연신온도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공중합체 필름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은 연신비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고, 연신온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연신된 공중합체 필름의 수축율은 연신비와 연신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