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수

검색결과 3,656건 처리시간 0.038초

정보화 연수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방안 연구 (정보화 자격증 취득을 중심으로)

  • 김용삼;한선관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27-132
    • /
    • 2006
  • 정보화 연수가 ICT활용수업과 맞물려 많은 예산을 들여 교사들의 방학을 차지하고 있지만 정작 일선현장에서는 연수 이수 후에 수료증 말고는 크게 기여를 못하고 있다. 영어연수처럼 분명 수준차가 있는데도 이를 무시하고, 교사가 원하는 연수 내용보다는 개설한 연수에 학교별 인원을 할당하는 식으로는 절대로 연수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없고, 교실의 ICT활용수업도 기대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연수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컴퓨터관련 자격증과 정보화 연수의 내용을 연계하여 가능한 정보화 연수를 컴퓨터관련 자격증 수강, 응시, 취득으로 유인하여 효율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정보화 연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해결책에 대해서도 설문결과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 PDF

예술영재 담당 교원 연수 현황 및 인식 조사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Training for the Arts Gifted)

  • 맹희주;강병직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79-39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예술영재 담당 교사들의 연수 현황 및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실효성 있는 연수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응답자의 약 49.4%는 예술영재교육 관련 연수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경험 없이 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초 연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수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 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수업내용은 미흡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술영재교육 연수 운영 시 연수지역의 접근성을 고려하고, 연수에 대한 사전 홍보와 정보의 제공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셋째,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를 위해 '연수강사진의 전문성 확보'와 '연수 유형의 다양화', '연수기관 및 연수 운영진의 전문성 확보'가 연수 운영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 측면에서 현장 적용이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과 기초, 심화, 전문 등 연수 종류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연수 내용의 다양성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수 환경 측면에서 교통과 연수시설의 편의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가 되기 위해서 예술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연수모형과 현장적용이 가능한 연수 커리큘럼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연수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능동적 학습 참여를 위한 원격교원연수 전략 (Strategy of Active Learning in Teacher Distance Training)

  • 임지원;신수범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6-81
    • /
    • 2007
  • 최근 교사가 교직의 전문성을 신장 유지시켜 나가기 위해 수강하는 교원연수의 한 방법으로 원격연수를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원격교원연수의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 교수자의 내용 전달 수준에서의 연수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인 참여를 함으로써 연수효과를 높여야 하는데 연수의 양적 증가에만 머무르고 있어 원격연수의 질적 개선을 위한 연수자 참여형 원격연수 전략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원격교원연수의 개념과 배경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 원격연수의 실태를 분석하여 원격교원연수 전략에 적합한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현직 교사의 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원격 연수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Distance Train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In-Service Teacher's Teaching Ability)

  • 구정모;한병래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415-426
    • /
    • 2004
  • 원격 교육의 장점으로 인해 원격 연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원격 연수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그 중 여러 연구에서, 원격 연수의 연수 내용, 연수 방법, 연수 평가 등에 대한 문제점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개선의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티칭을 중심으로 인지적 도제 모델, 교사 평가 기법을 이용해서 원격 연수 방법을 개발하여 연수내용, 연수방법, 연수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교사의 교수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

동기적 강의 저작 도구를 활용한 교수법 향상 중심의 교원 원격 연수 시스템 (A Development of Distan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using synchronous lecture authoring tool for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 구정모;박종오;임진숙;김성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677-680
    • /
    • 2002
  • 요즘 원격 교육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교사 연수에 있어서도 기존 출석 연수와 병행하여 원격연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 연수의 상당 부분은 실제 현장 교사들이 원하고 교사 연수의 핵심인 교수법 향상에 대한 것보다는 교과에 대한 지식이나 기능위주로 시행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사 연수의 궁극적인 목적인 교수법 향상을 위해서는 연수생들이 경험이 풍부하고 교수법이 뛰어난 교사가 실제 수업하는 것을 보고 동료 교사들끼리 서로 충분히 토의를 거치고 배우는 형태의 연수가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시간, 인원, 경비 등의 문제로 실제 그렇게 하기 어려우므로, 교수-학습 지도안과 동기화된 동영상 중심으로 이루어진 원격 연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화 동영상 저작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원격 연수 시스템을 구축해서 교사들의 교수법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 PDF

교원능력개발 원격연수 시범운영 분석 (An analysis on the pilot test of web-based training for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 서순식;김성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05-515
    • /
    • 2011
  • 교육과학기술부가 원격교원연수원을 2000년 12월부터 지정 인가해 주기 시작한 이래로 지속된 교원 원격연수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연수시간 확보의 어려움, 통신 인프라 문제,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어려움, 온라인 평가의 공정성 문제, 콘텐츠 갱신의 어려움, 연수생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기대만큼 고품질의 원격연수가 운영되지는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와 연계하여 교원 원격연수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일환으로 16개 시 도 교육연수원에서 분담 개발한 교원능력개발 원격연수 콘텐츠의 시범연수에 참여한 연수생 및 연수운영자의 원격연수에 대한 만족도와 건의사항, 연수시스템의 활용 숙련 수준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 PDF

초등 교원 SW 쌍방향 연수 프로그램의 교수 효능감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Teacher Efficacy and Satisfaction of SW Interactive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재호;이승훈;신태섭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3호
    • /
    • pp.145-15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SW 교육을 학교에 적용하는 교사들의 SW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초등 교원 SW 쌍방향 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 연수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현재 진행되는 SW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연수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으로 연수를 진행할 수 있도록 쌍방향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하였다.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을 경기도 초등 교원 104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쌍방향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수 효능감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수 효능감과 프로그램 만족도 부분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앞으로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SW·AI 교육 연수들이 쌍방향 연수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SW·AI 교육 연수의 효과에 대한 분석 연구의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외연수 수기 - 2010년 오리산업 선진국가 연수 수기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91호
    • /
    • pp.122-131
    • /
    • 2011
  • 지난 11월 18일부터 25일까지 6박 8일의 일정으로 떠난 "2010 오리산업 선진국가 연수". 세계 3대 규모를 자랑하는 독일 하노버 축산 박람회 관람부터 명품오리를 생산하는 프랑스 그리므드사 견학까지. 총 24명으로 구성된 연수단은 하나로 똘똘 뭉쳐 빠듯한 일정에도 오리산업 선진국가 교육을 무사히 마쳤다. 직접 보고 들은 연수자들이 생생하게 전하는 해외연수 담(談)에 귀를 기울여보자.

  • PDF

교수법 향상을 위한 웹기반 평가의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a Prototype of Web Based Assessment for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 구정모;한병래;김성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583-585
    • /
    • 2003
  • 원격 교사 연수는 기존의 교사 연수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그동안 많은 양적인 증대가 있었다. 그러나 이제 양적인 증대와 아울러 그 질적인 면도 같이 고려해야 할 때이다. 기존의 원격연수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성과 연수생의 개별학습을 고려한다는 장정이 있지만 연수 강사와 연수생간의 상호작용의 문제점, 연수생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고 현장 적용성이 떨어지는 연수내용, 명확하지 못하고 획일적인 평가방법, 연수강사의 질, 교수 학습 모형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제기 되고 있다. 특히 원격 교사 연수의 핵심인 교수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제적이고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위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웹기반 평가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교수법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