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속 실린더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Ringing 현상 해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와 Wavelet 해석 (A STUDY ON RINGING BY EXPERIMENT AND CONTINUOUS WAVELET ANALYSIS)

  • 권순홍;이희성;이형석;하문근;김용직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0-26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연속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하여 Ringing 현상을 연구하였다. 사용되어진 웨이블렛은 Morlet 웨이블렛이었고, 실험은 파수조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Ringing 현상을 다루고자 쇄파를 발생시켰다. 실험에 쓰인 모델은 수면을 통과하여 수직으로 고정된 원주 실린더였고, 이 실린더에 작용된 힘과 파고가 측정되어졌다. 이들은 연속 웨이블렛 변환으로 분석되어졌고, 이러한 분석으로 얻어진 scalogram 들은 고주파 성분이 쇄파 충격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시간영역상에서 보여주었다. 이는 기존의 스펙트럼 분석에서는 찾기 힘든 것이다. Coherence 분석도 위의 결론을 뒷받침해 주었다.

  • PDF

실시간 재생 서비스를 위한 비트맵 방식의 연속 블록 할당 기법 (A Bitmap-based Continuous Block Allocation Scheme for Realtime Retrieval Service)

  • 박기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16-32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파일 데이터의 실시간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NIX파일 시스템의 연속 블록 할당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설계된 블록 할당 방식은 사용자가 저장 데이터와 함께 지정한 소비 전송율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적절한 디스크 위치에 데이터를 배치하여 실시간 재생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전송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 가변적인 특성인 연속 블록 수와 저장 데이터들의 실린더 간격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특정 실린더 간격 별로 연속 블록을 저장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UNIX시스템의 블록 할당 방식은 임의의 실린더 위치에서 연속 블록을 찾는 것이 비효율적 이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비트맵 방식의 유휴 블록 기법을 사용하였다. 비트맵 방식의 블록 관리 기법은 파일 시스템 블록들을 비트 단위로 사용/비사용 여부를 표시하여 임의의 실린더 위치에 존재하는 블록이 사용 가능한지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3D 모델과 Optical flow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 모션 추정 (Pose Estimation of Face Using 3D Model and Optical Flow in Real Time)

  • 권오륜;전준철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780-785
    • /
    • 2006
  • HCI, 비전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제스쳐 인식과 같은 많은 분야에서 3 차원 얼굴 모션을 추정하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다. 연속된 2 차원 이미지로부터 3 차원 모션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외형 기반 방법이나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으로부터 3 차원 실린더 모델과 Optical flow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얼굴 모션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초기 프레임으로부터 얼굴의 피부색과 템플릿 매칭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영역에 3 차원 실린더 모델을 투영하게 된다. 연속된 프레임으로 부터 Lucas-Kanade 의 Optical flow 를 이용하여 얼굴 모션을 추정한다. 정확한 얼굴 모션 추정을 하기 위해 IRLS 방법을 이용하여 각 픽셀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동적 템플릿을 이용해 오랫동안 정확한 얼굴 모션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롤타입 마스크를 이용한 연속 포토리소그래피 기술과 그 응용 (Continuous Photolithography by Roll-Type Mask and Applications)

  • 곽문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10호
    • /
    • pp.1011-101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롤타입 마스크를 사용한 마이크로/나노 구조 제작용 광학 리소그래피 방법을 소개한다. 이 생산 방법은 다양한 목표 해상도에 따라 위상지연 리소그래피방법과 포토리소그래피로 나뉜다. 사용되는 빛의 파장대보다 작은 해상도를 갖는 패턴을 제작하기 위해서 실린더 형태의 위상지연 마스크를 활용한 근거리 노광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필름 형태의 금속 마스크를 써서 포토리소그래피를 연속방식으로 수행하였는데 이 방식은 실린더 마스크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노광 결과 패턴의 주기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기술의 응용으로 금속 그물패턴으로 만들어진 100 $mm^2$ 넓이의 투명전극을 제작하였다.

원형 및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진 tandem 실린더의 gap flow 유동현상 규명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gap flows between tandem cylinders having circular and square sections)

  • 정성용;박한욱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9-45
    • /
    • 2020
  • Problems related with flows around structures are typical in various engineering field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flow structures depend strongly on the shape of the body. The flow regime around square cylinders which are also employed in various applications has also been investigated. In addition to a single body, flows past closely spaced structures arranged in tandem are observed in numerous practical applications.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circular and the square cylinder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S/D. The velocity fields and Reynolds stress of the single cylinders were acquired to explain the flow behaviors between tandem cylinders. The differences observed in the flow behaviors of square and circular cylinders were studied. The flow patterns around two tandem cylind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wake interference behaviors according to S/D. This is related with the flows between cylinders.

내연기관 고장 조기 발견 컴퓨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omputer System for Trouble Shoo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Diesel Power Plant)

  • 김은기;김관행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645-647
    • /
    • 1997
  • 북제주 내연기관 발전기는 설비 노후로 인하여 경미한 고장이 점차 확대되고 기관 핵심 부품들의 손상이 증가하여 발전원가를 상승시키는 주요요인이 되고 있었다. 즉 정비 부품 교체 비용이 증가하고, 복구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등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관의 핵심요소인 실린더와 베어링의 상태를 연속 감시하고, 고장을 미리 발견 조치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왕복동식 압축기 밸브의 설계 (A STUDY OF VALVE DESIGN PROCEDURE IN HERMETIC COMPREESOR)

  • 조성욱;박성근;김형석;임종윤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반도아카데미, 20 Nov. 1992
    • /
    • pp.98-103
    • /
    • 1992
  • 전세계적인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존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전력규제와 CFC삭감에 대응한 국제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변화에 따라 냉동 공조기기의 심장부인 압축기에 대 해서도 고효율 및 저소음화의 요구가 한층 높아졌다. 따라서 가혹한 환경에 도 견딜 수 있는 압축기의 개발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소형밀폐형 압축 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그 하나는 모터에 의한 회전구동부이고, 다른 하나는 실린더와 피스톤 그리고 밸브로 구성된 압축기구부이다. 그 중 에서 밸브는 진동 및 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요소가 된다. 압축기의 밸브 는 근본적으로 밸브포트와 실린더 형상에 의해 결정되며, 이런 형상조건하에 서 밸브는 연속적인 운전이 되어야 하므로, 그 응답성이 좋아야 하고 무엇보 다도 자체의 신뢰성도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밸브의 동적특성과 응력 분 포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이 용한 밸브의 동적특성과 응력해석을 위해 밸브의 형상을 유한요소 패키지인 ANSYS를 이용하여 해석하고, 그 모델링 및 해석이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 여 동적 특성해석은 홀로그래피(Holography) 기술을 이용하여 실험하고, 응 력해석은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를 이용하여 결과를 얻어서 서로 비 교하여 보았다.

  • PDF

연속주조기의 몰드 폭 변경 패턴 개발 (Development of High-Speed Width-Changing Pattern in Continuous Caster)

  • 강기판;신건;강충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7호
    • /
    • pp.919-928
    • /
    • 2010
  • 연속주조 시에 폭변경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폭조정의 4 가지 패턴에 대해 연구하였다. 주요 사항은 폭변경 장치의 구동력을 최소화하고, 몰드 내의 응고막의 변형해석 모델을 개발하고, 폭변경 속도 상승을 제한하는 주요인자를 도출하는 것이다. 폭변경 실험을 근간으로 4 개 패턴의 주요 특징을 도출하였고, 각 패턴에 대한 힘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각 패턴의 구동력 비교를 위해 동일한 주조속도에서 수행하였다. 응고막변형 해석모델의 변수를 조정하기 위해 실험결과를 모델에 적용하였다. 폭변경 속도를 상승시키고, 구동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패턴의 변수를 제어하였다. 가장 효율적인 패턴은 고속패턴이었으며, 구동력을 저감하기 위한 주요인자는 구동장치가 이동할 때의 기울기였다.

연속 접촉 처리를 고려한 실린더 벤딩 성형 공정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Unconstrained Cylindrical Bending Process Considering Continuous Contact Treatment)

  • 김태정;양동열
    • 소성∙가공
    • /
    • 제14권6호
    • /
    • pp.547-552
    • /
    • 2005
  • In general, the sheet metal and die are described by finite elements for the simulation of the metal forming processe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as continuum of the sheet metal are represented with triangles and rectangles, the errors occur inevitably in finite element analysis. Many contact schemes to describe the deformation modes exactly have been introduced in order to decrease these errors. In this study, a scheme for continuous contact treatment is proposed in order to consider the realistic behavior of contact phenomena during the forming process. The discrete mesh causes stepwise propagation of contact nodes of the sheet even though the contact region of the real forming process is altered very smoothly. It gives rise to convergence problem in case that the process, for example bending process, is sensitive to the contact between the sheet and the tools. The analysis of the unconstrained cylindrical bending process without blank holder is also presen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posed algorithm.

플러그묘 이식시스템 개발(I) - 진공흡인식 이식 메커니즘 개발 - (Development of Transplanting System for Plug Seedlings(I) - Development of Transplanting Mechanism using Vacuum Suction -)

  • 이공인;허정욱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28-128
    • /
    • 2017
  • 현재 식물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식장치는 핀을 이용하여 육묘트레이 위에서 플러그묘를 뽑아 육묘트레이 또는 포트로 옮겨 심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식 방식은 셀과 셀 사이에 있는 다른 묘의 잎을 파지함으로써 묘를 2개 이상 취출하는 현상이라든지 핀에 의한 잎 손상 등이 우려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플러그묘의 이식작업 시 잎 손상을 줄이면서 기계 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식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진공흡인을 이용한 이식 메커니즘에 대해 검토하였다. 플러그묘 이식시스템은 육묘트레이 셀을 X-Y로 옮기는 묘 이송부, 육묘트레이의 셀 하단으로부터 진공을 발생시켜 묘를 떨어뜨리는 진공 흡인부, 낙하되는 묘를 감지하는 센서와 블로워 및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 진공 발생부, 혈공된 포트를 진공 발생부의 유도관으로 옮기는 포트 이송부 등으로 설계 제작하였다. 이식 메커니즘은 육묘트레이 하단부로부터 플러그묘를 1개씩 진공흡인하는 방식을 채택하였고, 이를 위해 상하 모두 개방된 72공 육묘트레이($L538{\times}W280{\times}H45mm$)를 윗부분(Ø35mm) 보다 아랫부분(Ø37mm)의 셀이 넓은 형상으로 PP재질의 육묘트레이를 사출금형 제작하였다. 묘 이송부에 장착된 플러그묘는 X축 방향(12개 셀)으로 이식작업이 이루어지고, Y축(6개 셀)으로 이동된 후 다시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어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식 원리는 진공 흡인부에 플러그묘가 이송되면 진공 발생부의 흡착패드가 위로 전진하여 진공을 발생시켜 묘를 흡인하고, 유도관 내에 부착된 광화이버센서에 의해 묘를 감지하여 블로워와 공압실린더를 제어함으로써 이식 공정이 끝나게 된다. 로메인상추의 플러그묘를 대상으로 진공흡인 시험을 실시한 결과 묘 손상없이 이식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