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흐름방식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Evaluation of Gas Transport Parameters through Dense Polymeric Membranes by Continuous-Flow Technique (연속흐름방식에 의한 기체투과특성 측정 및 분석)

  • 염충균;이정민;홍영택;김성철
    • Membrane Journal
    • /
    • v.9 no.3
    • /
    • pp.141-150
    • /
    • 1999
  • A novel permeation apparatus was developed which could make the on-line measurements of both flux transient and permeate composition in gas permeation. The measurement by using the per¬meation apparatus was based on the continuous-flow technique. The transient measurement allowed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s of perme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permeability, diffusion and solubility coefficients, and activation energies only with one experiment. The apparatus performance was illustrated by conducting the permeation of pure gases through two glassy polyimides and a rubbery poly (dimethyl¬siloxane) membranes,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the permeation characteristics determined from the flux transients was made with the literature values for verifying the confidence and accuracy of the measurement. Also, the analysis of the permeation transients obtained was carried out for the close investigation of the permeation behaviors of gases through membrane.

  • PDF

Comparison of Improving Dewatering Process at Clay-Sandy Soil based on Pulse-Electrokinetic Technology and Continuous-Electrokinetic Technology (펄스동전기법과 연속처리동전기법을 이용한 점토성-사질토의 탈수화 효율 비교)

  • Shin, S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4
    • /
    • pp.37-41
    • /
    • 2014
  • Pulse electrokinetic technology is proposed for improving the dewatering-process from clay-sandy soil. Proposed electrokinetic technology is to be the dewatering process due to fluid movement of current flow for the stability of clay-sandy soils. Samples produced in this study were completed to verify the proposed performance for 7 days by gradually increasing the pressure to the final pressure of 30 psi ($2.11kgf/cm^2$) through the compression process. In this study, pulse electrokinetic treatment and conventional continuous electrokinetic treatment are tested and observed, respectively. The condition of continuous electrokinetic treatment is a continuous process during 48 hours. And the condition of pulse electrokinetic treatment system is to interrupt the power three times for 48 hours, every 8 hours. These treatments are that the voltage gradient is 3 V/cm.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pulse electrokinetic is similar to the continuous electrokinetic.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of pulse electrokinetic is better than continuous electrokinetic.

A Carrier Frequency Recovery Scheme for extended ATSC Systems (확장된 ATSC 전송 시스템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복구부 설계에 관한 연구)

  • Jeon, Young-Gon;Kim, Jo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182-184
    • /
    • 2010
  • 최근 3D HDTV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3D HDTV 표준을 제정하기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흐름에 맞추어 기존의 ATSC 전송 방식을 확장한 전송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확장된 ATSC 전송 방식은 지상파 3D HDTV 방송을 목표로 하고, 프레임 구조를 중국의 지상파 방송 표준인 DMB-T와 유사하게 PN 시컨스와 데이터가 연속되는 구조로 모델링하여 이용하고자 한다. 연구되고 있는 확장한 전송방식은 기존의 ATSC 시스템의 VSB 변조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므로 원활한 수신을 위해서는 반송파 주파수 오차(심볼속도 대비 최대 1%)를 정확하게 추정하고 복구하여야 한다. 기존 ATSC 시스템은 주파수 대역(DC 1.25V)의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 복구를 하였지만, 확장된 ATSC 시스템은 프레임 헤드 부분인 PN 시컨스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된 ATSC 전송 시스템 방식에 적용 가능한 반송파 주파수 복구 방식을 제안하였다.

  • PDF

Typ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comics published gutter (출판만화 칸새의 유형별 특징)

  • Lee, Suk Jae;Yoon, Ki Heo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3
    • /
    • pp.271-291
    • /
    • 2013
  • Cartoons exhibit contents and images and deliver them to readers by repeating frames. Frames embody the cross sectional factors of space-time, and the repetition of frames makes those cross sectional factors into a continuous flow. The gutter, which exists between frames, takes the role to make the continuous flow link smoothly, and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gutter, the operating of the gutter was usually passive by the frame meanings. However, the gutter is not just a medium for linking the frames, but is an efficient participation device for creating new expression methods of cartoon organization. By producing new directing methods for cartoon organization,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the gutter have been kept alive with cartoon history.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the gutter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ransition function, reminiscence function, speech balloon function, pen function, and decorative function. And those functions perform actively as direct expression method of the gutter. When those functional methods are expressed by the author's intention and the frequency of them is generalized according to described contents, using each author's individual differences can suggest direction for new directing organization of cartoons.

Variation of Manning's Coefficient due to Interval of Multi-Piers in Tunnel (터널내 다열기둥의 배치간격에 따른 Manning계수의 변화)

  • Yoon, Sung-Bum;Kwon, Kab-Keun;Lee, Sang-Min;Kim, Hy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42-545
    • /
    • 2007
  • 터널의 노면 양쪽에 관로를 설치하여 유입된 지하수를 배출시키는 방법은 일반적인 터널 배수공법이지만 배수관로의 설치를 위한 추가적인 굴착은 공사기간과 공사비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터널 내에 별도의 배수관로 굴착 없이 노면 하부에 다열기둥을 일정 간격으로 매설하여 지하수의 흐름방향을 노면 하부로 유도시키는 경제적인 배수시스템이 현재 연구 중이다. 이 터널배수시스템은 추가적 굴착이 없어 기존의 배수시스템보다 경제적이지만 다열기둥의 연속적인 배치를 필요로 하므로 기존의 관로배수방식보다 더 많은 유체의 흐름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유체의 흐름에 효율적인 다열기둥 간의 배치간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노면 하부에 다열기둥이 매설된 터널 내로 유입하는 지하수 배출을 목적으로 다열기둥 간의 배치간격에 따른 Manning계수의 변화를 수리실험을 통해 측정 분석하였다. 특히 Manning계수는 개수로에서 유체흐름 저항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 이용되는 인자로 이를 활용하여 지하수 배수에 적절한 다열기둥 배치간격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수리실험 자료는 노면하부에 다열기둥을 매설하는 터널공사의 실제 설계를 위한 기초적인 참고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cene Conserved Music Video Generation Using the Multi-Level Segmentation (장면 보존적인 뮤직비디오 생성을 위한 다단계 분할 매칭 기법)

  • Yoon, Jong-Chul;Lee, In-Kwo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2 no.3
    • /
    • pp.27-33
    • /
    • 2006
  • 뮤직 비디오란 주어진 음악과 비디오가 동기화 된 형태의 창작물을 뜻한다. 기존의 뮤직비디오 제작방식에서는 만들어진 음악을 위해 영상 촬영에 전문적인 촬영 기술을 요구하였다. 본 논문에선 보다 쉬운 뮤직비디오 생성을 위하여 비디오와 음악의 특성을 분석하여 자동적인 뮤직비디오 생성시스템을 소개한다. 두 개체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비교를 위해 우리는 각각의 객체의 흐름을 분석하고, 흐름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분할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분할된 영상과 음악의 특성 비교를 통한 최적화된 매칭기법을 비롯하여, 보다 다양한 조각 생성을 위한 다중 레벨(multi-level)분할 기반의 매칭 기법을 소개한다. 본 논문의 기술을 사용하여, 일반인이 홈비디오 등을 사용하여 손쉽게 뮤직 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다.

  • PDF

Automatic Music Video Generation using the multi-level temporal segment matching (다중레벨(Multi-Level) 분할 매칭을 이용한 뮤직비디오 자동 생성)

  • Yoon Jong-Chul;Lee I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94-96
    • /
    • 2006
  • 뮤직 비디오란 주어진 음악과 비디오가 동기화 된 형태의 창작물을 뜻한다. 기존의 뮤직비디오 제작방식에서는 만들어진 음악을 위해 영상 촬영에 전문적인 촬영 기술을 요구하였다. 본 논문에선 보다 쉬운 뮤직비디오 생성을 위하여 비디오와 음악의 특성을 분석하여 자동적인 뮤직비디오 생성시스템을 소개한다. 두 개체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비교를 위해 우리는 각각의 객체의 흐름을 분석하고, 흐름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분할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분할된 영상과 음악의 특성 비교를 통한 최적화된 매칭기법 을 비롯하여 보다 다양한 조각 생성을 위한 다중 레벨(multi-level)분할 기반의 매칭 기법을 소개한다. 본 논문의 기술을 사용하여, 일반인이 홈비디오 등을 사용하여 손쉽게 뮤직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다.

  • PDF

Study of Velocity Measurement in River using moving UAV Images (드론 이동영상을 이용한 하천 표면유속 측정 연구)

  • Lee, Jun Hyeong;Yoon, Byung Man;Kim, Seo Jun;Lee, Yu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6-16
    • /
    • 2022
  • 영상유속계는 영상을 이용한 비접촉식 유속계로 하천과 같은 넓은 범위의 유속 및 유량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 국내외에서 영상유속계의 실용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카메라 외에 별도의 측정 장비가 필요없기 때문에 드론에 장착하여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드론 영상을 이용한 표면유속 측정 연구에서는 드론을 측정하고자 하는 하천 영역 위에서 정지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표면유속을 측정하고 있다. 이때 한 화면에 하폭이 다 담기지 않는 넓은 하천의 경우 촬영 위치를 옮겨서 다시 영상을 촬영하거나 하폭이 담길 때까지 비행 고도를 높여 촬영하고 있다. 하지만 촬영 위치를 옮겨 촬영하는 방식의 경우 넓은 하천을 다 담기 위해 여러 번의 촬영을 하고 이를 정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비행 고도를 높여 촬영하는 방식의 경우 촬영 품질 저하로 인해 측정한 유속의 불확도가 크게 산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동하며 촬영한 연속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하천의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천을 가로질러 비행하며 촬영한 드론 이동영상을 활용하면 폭이 넓은 하천의 경우도 간편하게 유속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동영상을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연속된 이동영상 내에서 지표면의 공통된 특징점을 찾아 흔들림 보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유속을 산정하는 방법과 드론의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영상의 수표면 이동속도와 벡터연산을 적용하는 두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두가지 방법 중 영상 분석에 필요한 전처리 과정이 적고 지표면의 고정점이 필요 없는 드론의 이동속도를 이용한 벡터 연산을 적용하는 방법을 실제 흐름에 적용하였다. 측정한 수표면의 유속을 전자파표면유속계로 측정한 유속과 비교한 결과 평균 5 % 이내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한 흐름 조건과 드론의 비행속도를 변경하여 측정하는 등의 유속 측정 적용성을 검토하는 연구가 수행된다면 하폭이 넓은 하천 등 다양한 조건에서 드론 영상을 이용한 유속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Groundwater Flow to Horizontal or Slanted Well Using Numerical Modeling (수치 모사를 활용한 수평 혹은 경사형 특수 정호 지하수 흐름 특성 평가)

  • Kim, Hyoung-Soo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2
    • /
    • pp.54-61
    • /
    • 2008
  • The drawdown distribution due to pumping by horizontal or slanted wells is analyzed by numerical modelling. In the numerical modelling uses 1-D discrete element feature included in commercial groundwater modeling program FEFLOW (version 5.1)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semi analytic solution which uses superposition of successive point sources proposed by Zhan and Zlotnik (2002). Results of the numerical modeling agree well with the semi analytic solution except for very near field region of sink sources. The drawdown distribution due to pumping in riverbank filtration(RBF) plan site can be evaluated quantitatively by the numerical modeling in this stud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 to estimate a river discharge through numerical modeling (수치모델링을 통한 하천 유량 추정 방식의 개선에 관한 연구)

  • Choi, Seo Hye;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6-236
    • /
    • 2022
  • 연속적인 하천의 유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관측된 수위값을 유량으로 변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위-유량 관계 곡선을 사용하며 수위구간 별로 일대일 관계로 제시된다. 그러나 유량을 추정함에 있어서 수위 외에도 하상경사, 조도계수와 같은 지형인자, 시간에 따른 유량의 변화와 같은 흐름요소를 모두 고려하여야 정확한 유량을 산정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적합한 수준의 유량을 추정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조석의 영향이 있는 구간이나 홍수와 같이 시간에 따른 수위와 유량이 급변하는 경우에는 관측값과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이용한 추정값의 차이가 상당히 증가하여 유량 추정값의 활용이 부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적용이 어려운 조건에서 보다 정확한 유량을 추정하기 위해 1차원 유동해석모델을 이용한 계산 값과 관측 값과의 비교를 통해 정확도를 검토하고, 지점에 따라 차이가 발생되는 원인을 정성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지점은 강우, 식생 등의 영향으로 수위와 유량의 관계를 단일 관계로 표현하기 어려워 구간분리가 발생된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흐름해석은 기지의 기점수위 조건으로부터 시작하며, 모델링을 통해 유량과 조도계수를 동시에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모델 내에서도 수위와 유량 관계의 루프형 특성, 조도계수의 변화를 대체적으로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하천에서 유량추정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에 대해 추정할 수 있었다. 향후 이 같은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수위-유량관계곡선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유량 추정방식의 보완이 필요한 지점을 선별하는 기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