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추출법

Search Result 19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equential Extraction of Soil Heavy Metals Aided by Ultrasound Sonication (토양 중금속의 초음파 연속추출)

  • Suh, Jj-Won;Yoon, Hye-On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1
    • /
    • pp.85-91
    • /
    • 2010
  • The various forms of heavy metals in soil environments have been studied by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We tested conventional Tessier sequential extraction and new ultrasound-sonication extraction methods, and compared their extraction efficiency. Total As, Cd, Cu, Pb, and Zn contents of the target soil (NIST SRM 2710 Montana Soil), by three methods (USEPA Method 3050B, KBSI Method, and ultrasound-sonication method) were all consistent with the certified values. Sequential extraction efficiency along with step-wise extraction values was similar in both Tessier method and ultrasound-sonication method. The ultrasound-sonication method took about 3 hours to complete whole procedure while the Tessier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took around 12 hours. Ultrasound-sonication method was estimated as one of the best methods with a relatively short application time and no requirement of high temperature treatment.

The Effects of pH Change in Extraction Solution on the Heavy Metals Extraction from Soil and Controversial Points for Partial Extraction in Korean Standard Method (용출액의 pH 변화가 토양내 중금속 용출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국내 토양 오염 공정시험방법의 문제점)

  • 오창환;유연희;이평구;이영엽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6 no.3
    • /
    • pp.159-170
    • /
    • 2003
  • Heavy metals are extracted from Chonju stream sediment, roadside soils and sediments along Honam expressway, soils and tailings from mining area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 partial extraction method with maintaining 0.1 N of extraction solution and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In samples having buffer capacity against acid, pH 1 (0.1 N HCl) of extraction solution can not be maintained and pH of extraction solution increases up to 8.0 when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 is used. The averages and ranges of HPE(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HPEM(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method with maintaining 0.1 N of extraction solution) values are 0.479 and 0.145~0.929 for Cd, 0.534 and 0.078~0.928 for Zn, 0.432 and 0.041~0.992 for Mn, 0.359 and 0.011~0.874 for Cu, 0.150 and 0.018~0.530 for Cr, 0.219 and 0.003~0.853 for Pb, and 0.088 and 1.73${\times}$10$^{-5}$~0.303 for Fe.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HPE and HPEM is large in the order of Fe, Cr, Pb, Cu, Mn, Cd and Zn. The amounts of heavy metals extracted decreases in the follow order; Sum III(sum of fraction I, II, III in sequential extraction)>HPEM>Sum III (sum of fraction I and II)>HPE for Zn, Cd and Mn and Sum III>HPEM>HPE for Cr and Fe. In the case Cr, Sum II is lower than HPEM and higher than HPE. In case of Cu, extracted heavy metals is large in the order Sum IV>HPEM>Sum III HPE. HPE/HPEM value decreases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HCl used for maintaining 0.1 N of extraction solution. For samples with high buffer capacity, HPE/HPEM value in all elements is lower than 0.2. On the other hand, for samples with low buffer capacity, HPE/HPEM value are over 0.2 and many samples have values higher than 0.6 for Zn, Cd Mn and Cu due to the small difference between Sum II and Sum III, and relatively higher mobility. However, for Fe and Cr, HPE/HPEM value is below 0.2 even for samples with low buffer capacity due to their low mobility and big difference between Sum II and Sum III.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artial extraction method in Korean Standard Method of soil is not suitable for an assessment of soil contamination in area where buffer capacity of soil can be decreased or lost because of a long term exposure to environmental damage such as acidic rain.

Study on Sampling Techniques for Digital Elevation Model (수치표고모형에 있어서 표고추출법의 연구)

  • Kang, In-Joon;Jung, Jae-Hyung;Kwak, Jae-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0 no.2
    • /
    • pp.49-55
    • /
    • 1992
  • Sampling techniques is very important in digital elevation model. There are scanning and digitizing method of sampling techniques. This study is limited in digitizing method. Continous sampling method use contour lines as same entity and grid method is a direct reading of sample elevation in each grid. Triangulated irregular method is needed to identity topographical lines to sample elevation data. As a results, authors know that continous sampling method has economic in input system and triangulated irregular method has a small memory size.

  • PDF

Pulsed-Delayed Extraction for Resolution Enhancement of Linear Time-of-Flight Mass Spectromenter in Surface-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of Polypropyleneglyco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표면-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에서 선형 비행시간 질량분석기의 분해능 개선을 위한 시간 지연 추출법의 응용)

  • Kim, Jung Hwan;Kang, Wee Kyu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4 no.4
    • /
    • pp.328-336
    • /
    • 2000
  • The pulsed-delayed extraction (PDE) in linear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TOF MS) is characterized on the enhancement of resolution, mass-depth of focus and effect of instrumentahan 2000. The ion signals separate isotopically by up to molecular weight of 2500 in instrumental broadening of 5 ns, which is a good agreement with calculation. The fragmentation paths of PPG can be sug-gested by the isotopica distributions of fragment series produced when PPG desorbed from graphite surface.

  • PDF

폐광산 주변 오염토양의 비소 제거를 위한 알칼리 세척의 최적화

  • 황정성;최상일;한상근;박응렬;장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231-234
    • /
    • 2004
  • 비소로 오염된 폐광산 하류부의 하천퇴적 토양과 밭 토양에 대한 연속추출법 적용 결과, 토양과 비소의 결합력이 약하여 쉽게 용출이 가능한 비소가 각각 39.5%, 33.8%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crystalline minerals에 존재하는 비소도 각각 52.6%, 62.3%의 큰 비중으로 존재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최적 농도인 200mM과 6시간의 운전조건으로 각기 다른 진탕비(1:3, 1:5, 1:10, 1:20. 1:30)에서 연속 토양세척실험을 한 결과, 최적 진탕비는 2가지 토양에 대하여 모두 1:5가 적합하였다. 하천퇴적 토양은 1단계 세척후의 농도가 약 3mg/kg으로 토양환경보전법 가지역의 우려기준(6mg/kg) 이하였으며 2단계 세척시 1mg/kg까지 떨어졌다. 밭 토양의 경우에는 3단계 세척시 나지역 우려기준에 해당되는 20mg/kg보다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5단계 세척시에는 가지역 우려기준에 근접한 약 8mg/kg까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Speaker Adaptation of HMM in a Contin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HMM을 이용한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의 화자적응화에 관한 연구)

  • 김상범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100-104
    • /
    • 1995
  • 일반적으로 화자적응화는 이미 학습되어 있는 불특정 화자 모델을 표준모델로 하고 소량의 적응화용 발화로 추가적인 학습을 실시하여 특정화자 모델의 성능에 가깝게 하는 기술로서 연속음성 인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ML 추정법을 이용한 화자적응화는 카테고리마다 모델의 학습패턴들을 다수개 준비한 후 학습시에 일괄적으로 적용시켜 모델 파라메터를 추정 갱신하므로 추가되는 화자데이터에 대해 데이터를 모두 공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발화 데이터의 음절단위를 자동추출한 후 추가되는 화자데이터가 주어질 때 마다 적응화할 수 있는 화자적응화 방법을 검토하였다. 이 방법은 문발화 데이터를 잘라내지 않고 음절 단위를 자동추출시켜 추가 데이터마다 최대 사후확률 추정법을 이용하여 적응화 시키는 것으로 수소의 데이터로서도 적응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음성데이터는 신문사설에서 발췌한 연속음성 10문장을 사용하고, 이 음성 데이터중 6명분은 HMM 학습용으로 하고 나머지 3명분은 적응화용 및 평가용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6명의 화자를 DDCHMM으로 학습하고 나머지 3명분을 MAP법으로 적응화시켰다. 그 결과 적응전과 비교해 볼 때 약 32%의 인식율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Extension Techniques of Partially Recorded Stream-flow to Continuous Daily Data (부분관측된 유량자료의 연속 일유량자료로 확장법)

  • Baek, Kyong-Oh;Yim, D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97-397
    • /
    • 2011
  • 2004년부터 4대강 물환경연구소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총량관리단위유역 말단부에서 8일 간격으로 청천(晴天)시를 중심으로 유량과 수질을 동시에 측정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연중 하천유량과 수질의 연동 여부 및 변동 추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8일 간격으로 생산되는 유량은 지침의 정의와 맞물려 기준유량의 산정에 또 다른 어려움을 주고 있다. '한강수계 오염총량관리계획수립 지침'에 따르면 '기준유량은 과거 10년간 평균 저수량으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여기서 저수량이란 유량의 크기를 누가일수로서 표시하여 1년을 통하여 275일은 이보다 더 작지 않은 유량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정확한 저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1년 365개 매일의 유량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8일 간격으로 유량을 측정하게 되면 1년 365개 대신 최대 45 여개의 일 유량자료만 취득 가능하므로 유황분석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관리단위유역의 말단부에서 8일 간격으로 계측된 유량자료가 있을 때 이를 연속적인 일유량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방법론 중 하나를 소개한다. 미 지질조사국(USGS)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 방법은 A지점(부분계측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결측치를 동일 유역 혹은 수문학적으로 유사한 유역의 B지점(연속계측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여 보완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부분계측이 이루어진 날과 같은 날짜의 유량자료를 연속계측자료에서 추출한 다음 두 자료(A지점에서의 모든 유량과 B지점에서의 추출된 유량)의 상관성을 비교해 본다. 두 자료간에 상관도가 높다면 이를 잘 표현하는 방정식을 통해 A지점의 결측치를 내 외삽한다. 여기서 두 자료간 상관도를 잘 묘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소제곱법(Least Square Estimator, LSE)과 분산확장법(Maintenance of Variance Extension, MOVE)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단위유역 중 동일지점에 8일 간격 부분계측 유량자료와 일 연속자료가 동시에 존재하는 곳이 6지점이 있었으며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LSE와 MOVE의 정확도를 검증해 본 결과 MOVE가 일 연속유량 확장에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 PDF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Adsorption of Pb(II), Cu(II), Zn(II), and Cd(II) onto Natural Clays Using Combined Adsorption-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혼합 흡착-연속추출법을 이용한 자연 점토의 납(Pb), 구리(Cu), 아연(Zn), 카드뮴(Cd) 흡착 시 온도 영향)

  • Dho, Nam Young;Lee, Seung Ra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 no.3
    • /
    • pp.17-35
    • /
    • 2001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bined adsorption-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CASA) to investigate temperature effects of single adsorption of lead, copper, zinc and cadmium on natural clay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 a single adsorption of lead and copper, about 50% of adsorption was occluded in carbonate phase, and in case of cadmium, about 80% of adsorption was occluded in exchangeable phase. At temperature below $25^{\circ}C$ about 60% of zinc was occluded in exchangeable phase but above $40^{\circ}C$ about 50% of zinc was occluded in carbonate phas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each occluded phase was largely observed in Fe-oxide, Mn-oxide and organic occluded phases. Besides, the adsorption of metals on natural clays was an endothermic reaction with the exception of exchangeable phase adsorption.

  • PDF

Identification of Flavor Components in Tomato Fruit (토마토 향기성분의 동정)

  • Sohn, Tae-Hwa;Cheon, Sung-Ho;Choi, Sang-Won;Moon, Kwang-Deok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1 no.3
    • /
    • pp.292-297
    • /
    • 1988
  • The volatiles of whole and homogenated tomato fruits collected by the headspace trapping method using Tenax GC and th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method were identified by GC and GC-MS. Among over 100 GC peaks, 10 alcohols, 6 aldehydes, 4 ketones, 3 esters, 1 phenol and 1 acid were identified from whole tomato fruits, whereas 12 alcohols, 6 aldehydes, 5 ketones, 5 esters, 2 phenols, 1 hydrocarbon and 1 acid were identified from homogenated tomato fruits.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19 alcohols, 13 hydrocarbons, 9 esters, 9 ketones, 8 aldehydes, 2 phenols, 2 lactones,2 furans, 1 acids and 2 others were identified among over 300 peaks.

  • PDF

용출액의 pH 변화가 토양내 중금속 용출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국내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의 문제점

  • 오창환;유연희;이평구;이영엽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76-79
    • /
    • 2003
  • 국내의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에서는 Zn, Ni 추출시 산분해법에 가까운 방법을 사용하는 반면, Cd, Cu, Pb, $Cr^{6+}$ 추출시 0.1N HCl용액으로 산처리하여 1시간을 진탕한 후 이를 필터로 여과하여 분석용액을 추출하는 용출법을 사용하고 있다(환경부, 2001). 시료내에는 완충 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용출법 사용시 초기 pH 인 1(0.1N HCl)이 유지되지 않아 완충능력이 높은 토양의 경우 현재 국내 공정법상의 용출법이 중금속 오염정도를 추정하는데 적절치 않을 수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