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체응력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터널 안정성 해석에 있어 Barton-Bandis 절리 모델과 Mohr-Coulomb 절리 모델의 비교

  • 이성규;김치환;남기천;박성록;임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03a
    • /
    • pp.109-117
    • /
    • 2001
  • 불연속체 해석을 이용하여 터널 안정성 해석을 수행할 경우 해석 결과는 절리 모델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불연속체 터널 안정성 해석에 있어 BB 모델 적용시의 해석 결과와 MC 모델 적용시의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주어진 응력 조건과 터널 형상에 따른 암반의 변형 거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불연속체 해석 결과와 연속체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속체 해석결과와 BB 모델을 사용한 불연속체 해석 결과는 변위 및 응력 분포는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반면, MC 모델을 사용한 불연속체 해석결과는 이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MC 모델을 사용하여 불연속체 해석을 실시할 경우 절리의 영향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속체 해석 결과에 비해 변위 및 최소 주응력이 더 작게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MC 모델이 실제 절리의 변형거동 특성을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되는 결과이며, 특히 절리면의 전단거동에 무관하게 팽창각을 일정한 상수로 취급하는 MC 모델의 특성으로 인한 결과이다.

  • PDF

Complex stress function for the two dimensional cracked infinite body subjected to uniform shear stress (균일전단응력을 받는 2차원 균열포함 무한체에 대한 복소응력함수)

  • Kim, Ok-Wh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79-81
    • /
    • 2008
  • 2차원균열을 포함하고 있는 무한체가 균일한 전단응력을 받고 있는 경우에 대한 복소응력함수를 기존의 응력함수를 이용하여 해석적으로 구하였다. 이는 등각사상과 정칙연속법에 의하여 구하였다. 결과는 극한의 경우에 대하여 검증하였으며 구한 복소응력함수는 맞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두꺼운 복합적층판의 기계적 체결 거동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 김유준;김형근;황태경;도영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29-29
    • /
    • 1997
  • 각광 받는 구조재료인 섬유강화 복합적층재에 대한 기계적 체결 거동은 본질적인 재료의 이방성에 의해서 파단강도가 파단 모우드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복합적층판 체결부의 정밀 구조 설계에서는 단순화에 따른 오차를 줄이고 정밀해에 의한 설계 및 해석이 요청된다. 특히, 층간응력 성분을 무시할 수 없는 두께를 갖는 복합적층 판의 기계적 체결부 해석이나 실제 구조물의 체결부에서 발생하는 굽힘이나 비틀림과 같은 하중 상태를 묘사하기 위해서도 정밀한 3차원 응력 해석은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기계적 체결부의 거동에 관한 연구는 층간응력 성분들을 어느정도 무시할 수 있는 얇은 평판에 대한 2차원 응력해석에 주로 국한되어 왔으며, 일부 수행된 체결부에 대한 3차원 응력 해석의 경우 여러 단점을 갖는 3차원 연속체 요소에 의한 유한요소 해석이 수행되었을 뿐이다.본 연구는 층간응력 성분들을 무시할 수 없는 두께를 갖는 복합적층판의 기계적 체결부 해석에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3차원 연속체 요소에 의한 유한요소 방법이 갖는 단점들을 개선한 Layerwise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3차원 응력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선형상보성원리에 근거한 최적설계 기법을 응용하여, 기계적 체결시 핀과 적층판의 홀 사이에 발생하는 하중 전달 과정을 모사하고, 접촉력에 의한 홀 주위의 복잡하고 국부적인 응력 집중현상을 규명하여본다.

  • PDF

Elasto-Plasticity of Granular Micro-Structures (미소구조에서의 탄소성모델)

  • Park Jae-gyu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8 no.4 s.70
    • /
    • pp.453-458
    • /
    • 2005
  • This study deals with elasto-plasticity of granular micro-structures which recovers continuum elasto-plasticity in its counterpart. The theory is based on doublet mechanics that assumes particles of finite size and connecting linear springs, and it makes extensions to plasticity. The result shows that the micro model has one to one relationship with the continuum model in the simplest case. Micro-strain and micro-stress of two dimensional plane stress problem were calculated, which shows the behavior of the specimen and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A new steel jacketing method for RC columns and a modified constitutive model of jacketed concrete (RC 기둥 보강을 위한 새로운 강판 보강기법 및 수정 연속체 모델)

  • Tae, Ghi Ho;Choi, Eun 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0 no.5
    • /
    • pp.675-681
    • /
    • 2008
  • This study introduced a new steel-jacketing method to retrofit RC columns. It also estimated the performance of steel-jacketed concrete cylinders. Twelve concrete cylinders were fabricated with varying steel jacket thicknesses of 1.0, 1.5, and 2.0 mm. Lateral confining pressure was applied with three clamps and the performance of plain concrete cylinders was compared with that of steel-jacketed cylinders. Steel jacket prov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cylinder. Finally, Li's constitutive model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experimentalresults. However, Li's model showed incongruity in Region II, which indicates the region after the yield of steel jackets. Therefore, the modified value of n was used for the region and the model showed a good agreement.

Analysis of Prestressed Concrete Continuous Members with Unbonded Tendons (부착되지 않은 텐돈을 갖는 PS 콘크리트 연속부재의 해석적 연구)

  • 문정호;이리형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7 no.6
    • /
    • pp.197-208
    • /
    • 1995
  • The prestressed concrete continuous members with unbonded tendons were investigated while comparing the experimental data with the analytical results. The comparison was carried out with the program TAPS which can take into account the unbonded tendon effects. The subjects that were interested included the load-deflection response, the design equations for the tendon stress at failure, the effects of bonded reinforcements, the effects of span-depth ratio, the effects of loading type. In this paper, contiriuous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with unbonded ten dons were investigated. Of twelve tests with continuous members, six were two-span beams and six were three span one-way slats. Analytical results were compared favorably with experimental data and disclosed that the tendon stress at flexural failure is the function of the amount of bonded reinforcements, the loading types and patterns, and the tendon profile.

불연속면 조사

  • 김경수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4.03a
    • /
    • pp.11001-11050
    • /
    • 2004
  • 불연속면 또는 단열은 암반 내의 역학적 분리면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암반 내의 작은 흠집이나 물리적으로 불균질한 곳이나 불연속면 주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초래되는 변형의 결과이다. 불연속면은 정압, 지체구조적, 그리고 열적 응력 및 높은 수압에 반응하여 형성되며, 아주 미세한 것부터 대륙 규모에 걸쳐 다양한 크기로 발달한다. 불연속면은 연속체로서의 암반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키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역학적인 약대에 해당되고, 지하수의 유동 통로의 기능도 하기 때문에 지질공학, 지반공학 및 수리지질학 실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경제적으로 중요한 석유, 지열 및 수자원 저류체 역시 단열 암반 내에 형성된다. 불연속면은 오염물질의 이동과 분산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암반을 기초로 하거나 대상으로 하는 공학적 구조물과 굴착의 안정성에도 역시 영향을 미친다. (중략)

  • PDF

Limit State Analysis of Earthern Slope Using a Continuum Mechanics Approach (연속체 역학을 이용한 사면의 한계상태 해석)

  • 서영교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5
    • /
    • pp.141-148
    • /
    • 2000
  • 사면 안정 해석은 주로 파괴 활동면의 전단 강도와 발휘되는 전단 강도의 최대비로서 표현되는 파괴활동의 추정을 위해 기존의 고전적인 방법을 사용하거나 이와 유사한 방법등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은 토질에 있어서의 상호 작용력과 그에 따른 전당력 및 사면 활동면의 반복되는 추정등의 가정으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질전체를 연속체로 규정하고 비선형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토질의 실제 응력과 강도를 정확하게 계산하였다. 사면 안정은 점차적 인증력의 증가로서 사면의 붕괴 활동면이 나타나FEo 까지로 해석되었다. 제시된 방법의 세부적인 사항은 예제를 통하여 설명되어 있다.

  • PDF

The effect of tunnel ovality on the dynamic behavior of segment lining (Ovality가 세그먼트 라이닝의 동적 거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 Gyeong-Ju Yi;Ki-Il So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5 no.6
    • /
    • pp.423-446
    • /
    • 2023
  • Shield TBM tunnel linings are segmented into segments and ring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 and displacement of the segment lining under seismic waves through modeling that considers the interface behavior between segments by applying a shell interface element 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segments and rings. And there is no management criteria for ovaling deformation of segment linings in Korea. So, this study the ovality criteria and meaning of segment lining.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tress and displacement under seismic waves were similar between continuous linings and segment linings. However, the maximum values of stress and displacement showed differences from segment linings.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continuous lining modeled as a shell type has a stress distribution that has continuity in the 3D cylindrical shape, but the segment lining is concentrated outside the segment, and the largest stress occurs at the location wher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egment and the ring is concentrated. This intermittent and localized stress distribution shows an increasing as the ovality of the lining increases at seismic waves. The ovality at which the increase in stress distribution begins to show irregularity and localization is about 150‰. Ovality of 150‰ is an unrealistic value that cannot represent actual lining deformation. Therefore, the ovality of the segment lining increase with depth, but i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ability caused by seismic load.

A Comparison of Barton-Bandis Joint Model and Mohr-Coulomb Joint Model for Tunnel Stability Analysis with DEM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터널 안정성 해석에 있어 Barton-Bandis 절리 모델과 Mohr-Coulomb절리 모델의 비교)

  • 이성규;김치환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1 no.2
    • /
    • pp.167-173
    • /
    • 2001
  • The joint model has influence on the results of discontinuum analysi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discontinuum analysis with Barton-Bandis joint model(BB model) and with Mohr-Coulomb joint model(MC model) are compared. The results of continuum analysis under the same condition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discontinuum analysi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rockmass around tunnel. The result of continuum analysis and that of discontinuum analysis with BB model show similar distribution of displacement and stress. On the other hand, the discontinuum analysis with MC model shows different displacement distribution and stress distribution. Moreover, the displacement and minor principal stress of the discontinuum analysis with MC model are smaller than those of continuum analysis, although the joints are explicitly considered in the discontinuum analysis. These results are originated from the limitation of MC model in simulating joint deformation behavior, especially the assumption of constant dilation jingle independent of it)int 7hear displac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