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속성과 불연속성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어 서술어 구조의 확률적 정보 (Probabilistic Evidences for Korean Predicate Structures)

  • 이승욱;한영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4년도 제16회 한글.언어.인지 한술대회
    • /
    • pp.145-15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질의 응답 시스템에서 정답 추출을 위해 사용되는 표층 텍스트 패턴을 장거리 의존 문제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패턴 추출 시스템들의 패턴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도록 패턴 형태를 확장함으로써 장거리 의존 문제를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형태의 패턴을 TREC-10의 질의를 이용해서 웹 데이터로 실험하여 정확도와 TREC의 평가 기준인 MRR을 사용해서 기존 시스템들과 성능을 비교했다.

  • PDF

20세기 초 모더니즘 패션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양식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형식의 명료성을 중심으로-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Neoclassic Style in Early Twentieth Century Fashion Modernism)

  • 함연자;김민자
    • 복식
    • /
    • 제56권4호
    • /
    • pp.148-15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neoclassic style in early twentieth century fashion modernism. Researching relations in fashion between eighteenth to nineteenth century and twentieth century, the theory of 'linked solution' suggested by Kubler and Broadsky has been acce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early twentieth century fashion, continuity of the neoclassic style is considered as presentation of geometric form based on anatomical truth of the human body and moderation of decoration. Also simple construction to present practical purpose of the dress in honesty were continued. On the other hand, discontinuity of the style is found in the imitation of men's classic tailored suits and standardization of sizes and styles. These are considered to reflect such early twentieth century sociocultural contexts as equality of the sexes and mechanical aesthetics. Hopeful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broadening of insight in fashion connecting traditions.

연속함수에 대한 고등학교 교과서의 정의와 고등학생들의 이해 (High School Textbook Definition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inuity of Functions)

  • 박달원;홍순상;신민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53-46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연속함수에 대한 오개념 이미지의 원인을 찾기 위하여 고등학교 수학II 교과서와 수학과 고등학교 교육과정해설서를 조사 분석하고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도입하고 있는 함수의 연속성에 대한 정의 방법이 교과서별로 동일하지 않고, 대학의 공식적인 정의와도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연속함수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이미지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오개념 이미지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함수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대학의 공식적인 정의를 학교수학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방법으로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제시하여 한다.

  • PDF

학교수학과 학문수학에서의 연속성 개념 정의의 분석 (Analysis on Definitions of Continuity Conveyed by School Mathematics and Academic Mathematics)

  • 김진환;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375-38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연속성 개념에 대한 학교수학에서의 정의와 학문수학에서의 정의 사이의 차별성과 상호연결성을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한 점에서의 연속 불연속'의 정의가 학교수학에서는 극한 과정에 의존하고 있고, 학문수학에서는 정의역의 위상에 의존하고 있다. 학교수학에서는 정의역이 하나의 구간이나 구간들의 합집합인 함수에 한하여 연속함수인가를 판정할 수 있으나, 학문수학에서는 어떠한 함수에 대해서도 연속함수인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연속성 개념 취급과 관련하여 다음 두 가지 의견을 제시한다. 첫째, 극한 과정을 기반으로 한 학교수학에서의 국소적 연속성 개념으로 볼 때, 2009 개정 교과서에서 함수의 정의역에 속하지 않는 특정한 점에서 불연속을 취급하는 것은 적절하다. 이때 불연속점으로 무한 불연속점, 제거 가능한 불연속점과 도약 불연속점의 유형이 나타난다. 둘째, 일반적인 연속함수의 정의로 "함수 y = f(x)에서 정의역에 불연속점이 없으면, f을 연속함수라 한다."를 제안한다. 이 정의는 정의역에 속하지 않은 점에서의 불연속성의 판정을 허용하면서, 학문수학에서의 정의와 일관되게 연결된다.

장거리 의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표층 텍스트 패턴의 확장 (Expansion of Surface Text Patterns for Long-Distance Dependency)

  • 이미연;차정원;박승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4년도 제16회 한글.언어.인지 한술대회
    • /
    • pp.138-14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질의 응답 시스템에서 정답 추출을 위해 사용되는 표층 텍스트 패턴을 장거리 의존 문제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패턴 추출 시스템들의 패턴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도록 패턴 형태를 확장함으로써 장거리 의존 문제를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형태의 패턴을 TREC-10의 질의를 이용해서 웹 데이터로 실험하여 정확도와 TREC의 평가 기준인 MRR을 사용해서 기존 시스템들과 성능을 비교했다.

  • PDF

불확실 비선형 플랜트를 위한 포화 함수에 의한 새로운 강인한 연속 가변구조제어시스템 (A New Robust Continuos VSCS by Saturation Function for Uncertain Nonlinear Plants)

  • 이정훈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3호
    • /
    • pp.30-3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정된 상태변수 의존 비선형 형을 바탕으로 부정합조건 불확실성과 정합조건 외란을 갖는 비선형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새로운 둔감한 비선형 연속 가변구조제어기의 체계적인 설계를 제안한다. 부정합조건 불확실과 정합조건 외란 비선형 시스템을 상태변수 의존 비선형 시스템 형으로 표현한 후 체계적인 둔감한 새로운 제어기 설계를 한다. 대상 시스템의 확장을 위하여 비선형 시스템 함수의 불확정성을 상태변수 의존 항과 비의존 항 두 부분으로 나눈다. 본 비선형 제어는 제어 결과 동특성을 선형으로하기 위하여 그리고 슬라이딩 모드 존재조건을 쉽게 만족시키기 위하여 변환된 선형 슬라이딩 면을 선정한다. 선정된 슬라이딩 면 위에 슬라이딩 존재조건과 폐루프 지수 안정성을 만족하는 제어입력을 제안한다. 정리를 통하여 증명한다. 본 제어의 실용성을 위하여 가변구조제어의 내재된 특성인 제어입력의 불연속성을 극적으로 개선한다. 설계 예와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제어기의 유용성을 입증한다.

경계층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슬라이딩 모우드 제어기의 설계 (Design of a Sliding Mode controller with Self-tuning Boundary Layer)

  • 최병재;곽성우;김병국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3-12
    • /
    • 1996
  • 탁월한 비선형 제어 특성을 가지고 있는 슬라이딩 모우드 제어기는 제어 대상 플랜트의 모델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정확성과 각종 외란등으로 인하여 제어 입력 신호가 매우 높은 주파수의 비연속적인 특성을 가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평면에 얇은 경계층을 도입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원하지 않는 정상 상태 오류가 유발될 수도 있다. 이때의 정상 상태 오차는 경계층의 폭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상 상태 오차와 제어 입력 신호의 불연속성 사이에는 구해지는 경계층의 폭을 정상 상태에 접근할수록 퍼지 규칙베이스에 의해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자기동조형 경계층을 가지는 슬라이딩 모우드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역진자 계통의 추적 제어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 PDF

인터넷 혼잡상황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전송률 제어기법 (A Novel Rate Control for Improving the QoE of Multimedia Streaming Service in the Internet Congestion)

  • 구자헌;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6권6호
    • /
    • pp.492-504
    • /
    • 2009
  • IPTV나 Mobile IPTV와 같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의 설계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변화하는 네트워크 특성과 상태에 효율적으로 적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적응적 데이터 전송은 네트워크의 혼잡상황에서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프로토콜간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영상재생의 연속성과 같은 콘텐트 재생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양질의 QoE(Quality of Experience)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콘텐트의 재생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 혼잡상황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새로운 전송률 제어기법인 NCAR(Network and Client-Aware Rate control)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NCAR 기법은 네트워크 인지형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와 클라이언트 인지형 흐름제어(Flow Control)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있다. 네트워크 인지형 혼잡제어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의 공성정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높은 링크 활용도와 전송률의 변화를 감소시키며 클라이언트 인지형 흐름제어는 미디어 재생의 불연속성을 제거하고 안정된 버퍼할당과 낮은 재생지연시간의 좋은 특성을 제공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종교체험의 해석적 성격: 스힐레벡스의 해석학으로 본 대순 사상 (The Hermeneutics of Religious Experience : Daesoon Thought in the light of Schillebeeckx's Theological Hermeneutics)

  • 이찬수
    • 대순사상논총
    • /
    • 제17권
    • /
    • pp.93-112
    • /
    • 2004
  •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how Daesoon thought keeps its own identity while being practiced as a religion in Korean culture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ological hermeneutics of E. Schillebeeckx, a representative theologian in 20th century, especially on the centering of the matter of experience. Schillebeeckx says that an experience is an occurrence of perception by encountering something different from oneself. According to him, 1) the occurrence of perception is premised on a framework or form of interpretation which prescribes experience as the experience in the perceptive dimension. 2) A framework of interpretation is subject to pre-existing system or structure which already has formed a basis to the experience. It consists of various interpretative elements such as social form, general knowledges, various experiences, theoretical models in their society, etc.. 3) The experiences take place in the reflection of contemporary situation, and it is understood by a society, thus making it a social stream. This experience is expressed historically, gains historicity in the process of being handed down from person to pers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is way, an experience starts to form a tradition. 4) The tradition is a historical stream which gives rise to, admits, and integrates various experiences, religious revelation, and faith etc. In this way, the tradition as a historical stream becomes a field of religious actuality such as revelation, salvation, etc. Conclusively, a religion takes place, is formed, only when it is understood anew by the people who live in that cultural tradition through their languages. The ground Daesoon thought takes place, is formed, is in this way. Daesoon thought takes place in the core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undergoes changes when it encounters the other stream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the vice versa. Because of this inevitable change, ironically enough, Daesoon thought can maintain its own identity as Daesoon thought, and Korean culture its own identity as Korean culture, avoiding falling into the tertiary which is neither Daesoon thought nor Korean culture. It is in this way that any religion can be in the faithfulness to its starting point to be enriched and transformed in its interaction with the other tradition. At here is the reason Daesoon thought has to have an openness to the changing wor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