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방정보보안관리법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미국의 연방정보보안관리법에 대한 연구

  • Lee, Dong-Bum;Go, Woong;Kwan, Jin
    • Review of KIISC
    • /
    • v.21 no.1
    • /
    • pp.57-73
    • /
    • 2011
  • IT 진화의 다른 면으로는 정보 보안 위협의 심각화와 개별 위험 증가도 잠재하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정보 보안 정책도 나날이 변화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연방정보보안관리법을 제정하여 연방정부의 운영 및 자산에 대한 정보보안 통제항목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총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또한 연방정부 및 정보 시스템 보호를 위한 최소 통제 및 유지 방안 개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미국의 연방정보보안관리법의 각 단계별 보안 활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A Comparative Study o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ctivity of Public Sector in USA & Korea (미국과 우리나라의 정보보안관리 활동 비교연구)

  • Kim So-Je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3C no.1 s.104
    • /
    • pp.69-74
    • /
    • 2006
  • USA is strengthening the information sanity by managing federal agency'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ystem systematically. For this purpose, US government put the Feder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ct into the E-Government Act of 2002. According to the FISMA, it is required to hav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plan for ail federal agencies. In addition that, Inspector Generals of these agencies should assess the status of their agency and report the result to the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Collecting all the reports from each agency, OMB should report to GAO on general status of information security of federal agency. It is helpful to provoke the information security as a necessary activity to realize the E-government. Comparing these efforts with our system will give us good implications to get more idea to secure our information system.

미국 전자정부 정보보안 법제 동향

  • 김대호;오일석
    • Review of KIISC
    • /
    • v.13 no.3
    • /
    • pp.15-22
    • /
    • 2003
  • 미국은 전자정부 구현을 위하여 각종 법규를 제정하였고 이를 통합하여 2002년에 전자정부법을 제정하였다. 그리고 동 법을 제정하면서 전자정부의 성공이 정보보안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전자정부법에 연방정보보안관리법을 삽입하여 통과시켰다. 이를 통하여 전자정부의 실현과 관련하여 연방 각 부처로 하여금 정보보안의 이행을 실질적으로 추진하고 보고하도록 하는 연방 정부의 체계적인 정보보안 정책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전자정부에 대한 정보보안 정책 확립은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구현과 실행에 있어 체계적인 정보보안 정책 수립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고 있다고 할 것이다.

미국의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연방법률 발전 현황 분석

  • Hong, Soonjwa
    • Review of KIISC
    • /
    • v.29 no.3
    • /
    • pp.51-65
    • /
    • 2019
  • 미국의 사이버보안 관련 법률은 1987년 컴퓨터보안법이 제정되는 시점이 본격적인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에는 컴퓨터 및 인터넷의 발전으로 정보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법률은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중심으로 제정되었다. 2002년 국토안보부 설립을 위한 국토안보법의 제정을 통해 본격적인 국가 사이버보안 정책을 시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전자정부법(2002) 부속법률인 연방정보보안관리법(FISMA 2002)은 연방기관들의 사이버보안 관련 임무를 구체화하여 국가차원의 사이버위협 대응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었다. 2014년 연방정보현대화법(FISMA 2014)으로 개정되어 지난 10여년간의 시행착오를 바로잡는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2015년 사이버보안법(Cybersecurity Act 2015), 2018년 사이버보안 및 기반구조보안기관법(CISA 2018)을 제정하여 국가 사이버보안 체계를 획기적으로 발전한 미국의 사이버보안 법률의 추진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법체계의 발전방향에 대해 고찰해 보도록 한다.

A Study on the Laws and Regulations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Cybersecurity Workforce Developing Laws and Regulations in U.S. (미국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 법·규정 분석을 통한 국내 법·규정 개선 방안 연구)

  • Hong, Soonjwa;Kim, Joon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0 no.1
    • /
    • pp.123-139
    • /
    • 2020
  • In 1987, Computer Security Act was enacted, requiring computer security awareness and practical training for federal workforce. This is the beginning of US development of federal cybersecurity workforce. It has been strengthening the development of federal cybersecurity workforce policy by establishing OPM regulations and OMB circulation i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define by law. Through GISRA 2000 and FISMA 2002, which has been improved, it played a central role for development of federal cybersecurity workforce for more than 10 years. Since then, FISMA 2014 has been enacted as a necessity for supplementing technology and policy. In 2014, the importance of cyber security personnel in US federal agencies has been increased even more, by enacting a single law on cybersecurity workforce twice. We will review the current state of Korea's development of cybersecurity workforce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e development and federal cybersecurity workforce in the United States.

Prediction of the Problems from Domestic Introduction of FISMA (FISMA의 국내 도입에 따른 문제점 예측)

  • Kim, Sangkyun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31 no.A
    • /
    • pp.113-118
    • /
    • 2011
  • Feder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c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to the economic and national security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This paper provides a brief review on FISMA which is a United States federal law enacted in 2002 as Title III of the E-Government Act of 2002, and predicts the possible problems which might be caused from domestic introduction of FISMA. The domestic introduction of FISMA could improve the averag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of government agencies. Whereas, the government agencies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might face with many problems such as the increased government budget, lack of social awareness and security professionals, and the effectiveness of penalty on non-compliance.

  • PDF

A Study on DSMS Framework for Data Security Certification (데이터보안인증을 위한 DSMS 프레임워크 구축 연구)

  • Yoo, Seung Jae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9 no.4
    • /
    • pp.107-113
    • /
    • 2019
  • Data security is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policies and procedures for the proper audit and authorization of access to and use of data and information assets. In addition, data serviced through internal / external networks, servers, applications, etc. are the core objects of information protection and can be said to focus on the protection of data stored in DB and DB in the category of information security of database and data.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design a proper Data Security Management System (DSMS) model based on the data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US Federal Security Management Act (FISMA). And we study the major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s such as ISO27001 and NIST's Cybersecurity Framework, and also study the state of implementation in the data security manager solution that is currently implemented as a security platform for preventing personal data leakage and strengthening corporate secu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