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료 공급 방법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Fluidized Bed Feeding Method of the Particulate Metallic Fuel for a Variable Concentration Quality (유동층 방식의 밀집상과 희박상 거동을 이용한 분말형 금속 연료 정량 공급 방법)

  • Ko, Tae-Ho;Yoon, Wo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422-428
    • /
    • 2011
  • 금속을 청정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분말형 금속연료 연소시스템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선행연구로 분말을 정량 공급할 수 있는 공급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유동층 방식의 분말 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피스톤 및 벤츄리관이 적용된 공급 방법을 사용하여 통제한 후, 조절 가능한 공급기 내부 압력만을 변수로 하여 중요 성능인 분말 공급량을 직접적인 중량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실험의 결과로부터 연소시스템에 적용할 공급기의 작동 조건을 도출할 수 있었고, 작동 조건에서 벗어난 영역에서 분말 공급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 PDF

An Evolutionary Algorithm based Distribution Methodology for Small-scale Biofuel Energy Companies (중소 바이오연료 기업의 물류 문제 해결을 위한 진화적 알고리즘 기반 배송 방법론)

  • Kim, Soo whan;Ryu, Jun-Hyung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6 no.6
    • /
    • pp.804-810
    • /
    • 2018
  • Most biofuel companies are in a small scale with short experience of operating the entire supply chain. In order to compete with existing fossil fuel competitors, renewable companies should be more responsive to demand. It is financially important to reflect this in the decision supporting system of the company. This paper addresses an evolutionary algorithm based methodology for the distribution problem of renewable energies. A numerical example was presented to illu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with some remarks.

Air Pump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휴대용 고분자전해질막 연료전지의 산화제 공급을 위한 전기침투 현상 기반의 공기펌프의 개발)

  • Kwon, Kil-Sung;Kim, Dae-Jo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7
    • /
    • pp.715-720
    • /
    • 2010
  • We propose an electroosmosis-based air delivery scheme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and experimentally investigate its feasibility. An electroosmotic pump under a low-frequency AC electric field is used to displace initially a volume of pump working liquids. This working liquid is then pumped into a space enclosed by a flexible membrane and the movement of the membrane delivers air to a fuel cell. We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operation of a forced-convection fuel cell using this technique. In this preliminary study, howev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ump exceeds the power generated by the fuel cell. We conclude this paper with a discussion of several ways to reduce the pump-to-fuel cell power ratio.

연료전지의 연료 문제

  • 남석우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11
    • /
    • pp.43-48
    • /
    • 2004
  • 이 글에서는 수소 공급을 위한 연료프로세서와 연료전지 자동차내에서의 수소저장 방법, 그리고 수소 스테이션에 대해 간략히 알아본다.

  • PDF

A Numerical Analysis on Transient Fuel Temperatures in a Military Aircraft with Additional Fuel Supplies and Return (추가연료 공급,회송량에 따른 항공기내 연료온도 변화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Kim,Yeong-Jun;Kim,Chang-Nyeong;Kim,Cheol-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1
    • /
    • pp.73-84
    • /
    • 2003
  • A transient analysis on fuel temperatures in an aircraft was studied using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Numerical calculation was performed by an explicit method of modified Dufort-Frankel scheme. Among various missions, close air support mission was considered with 20% hot day ambient condition in subsonic region. The aircraft was assumed to be in turbulent flow. The fuel system model with additional fuel supplies and return concept was consider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fuel tank temperatures hav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additional fuel supplies. In contrast to tank temperatures, the fuel temperature at the engine inlet h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dditional fuel supplies except in some in-flight phases having high engine fuel flow. From this analysis, the fuel system with the additional fuel supplies and return concept has been shown to be an effective method to decrease the engine inlet fuel temperature. Also, it has been shown that fuel flow rate through fuel/oil heat exchanger is a key factor influencing fuel temperature.

마이크로채널 반응기를 이용한 소형 이동전원 연료전지용 수소발생기 개발

  • Yun, Yeong-Gi;Im, Seong-Dae;Park, Gu-Gon;Kim, Chang-Su;Seo, Dong-J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112-121
    • /
    • 2005
  •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2년간 에너지관리공단의 선행연구과제로서 진행되었으며 20 Watt 급 소형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소형의 마이크로 채널 메탄올 개질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질장치는 개질기 본체, 여기에 반응열을 공급 해주는 촉매 연소기 그리고 연료를 증발시켜 주는 연료증발기의 세부분으로 구성되며 각 반응기의 개발 및 통합을 수행하였다. 반응기는 반응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폭 $200{\sim}5000{\mu}m$, 필이 $200{\sim}5000{\mu}m$ 규모의 마이크로 채널 유로를 금속 박판을 화학 에칭하여 구현하였으며 이를 수십장 적층하여 전체 반응기를 제작하였다. 마이크로 채널표면에 내부 촉매 지지체를 먼저 코팅한 후 촉매를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담지체 코팅으로 기하학적 표면적 대비 표면적이 10 배 이상 향상되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촉매의 내구성이 월등히 향상 되었다. 저온 활성 촉매를 사용하여 $350^{\circ}C$ 이하에서 메탄을 전환율 90% 이상을 구현하였다. 실제 운전 후 측정 결과 개질 반응기의 부분별 온도차가 $20^{\circ}C$ 이내로 설계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촉매 연소기를 이용한 개질 반응열 공급장치를 개발하여 20Watt 급 수소 생산을 위한 개질 반응기에 반응열을 공급하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촉매 연소기를 이용한 연료 증발열 공급 장치 개발하여 개질기 공급 연료의 90% 이상이 기화되도록 하였다.

  • PDF

Fuel System Design for Smart UAV (스마트 무인기 연료시스템 설계)

  • Lee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457-463
    • /
    • 2005
  • In the present work, the design of fuel system for Smart UAV focused on the main components such as fuel feed system, fuel tank vent system, and refueling system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evious conceptual design results, the size of the component was calculated with refined airframe structure data and accurate engine data. It was verified that the design requirements for the feed system, vent system, and refueling system were satisfied.

  • PDF

The Methods for Reducing NO Emitted from a Combusfor (연소로에서 방출되는 NO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 이기용;남태형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288-294
    • /
    • 2000
  • 본 논문은 1차와 2차 연료 라인을 설치한 실제 연소로에 형성된 프로판 난류화염으로부터 방출되는 NO의 생성변화를 연구하였다. 1차 연료는 버너의 노즐로 일정하게 공급되고, 추가적으로 2차 연료는 맥동되거나 또는 일정한 양이 첨가되었다. 2차 연료를 공급 튜브의 위치를 주 연료 튜브의 중심 또는 보염기 주위에 설치하였다. 연소로의 출구에서 화학종 $O_2$,CO, $CO_2$, NO와 HC(미연 탄화수소)의 평균 농도를 측정하였다. 당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후자의 방식에서의 NO 농도의 분포는 전자의 방식에서 보다 더 천천히 증가하였다. 당량비가 0.5에서 0.54 범위에서는 전자의 방식보다 후자의 방식이 NO 생성을 dir 35%까지 감소시켰다. 2차 연료의 맥동에 대한 NO에서도 변화의 영향은 2가지 방식에서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 PDF

Development of the Control Algorithm for the Small PEM Fuel Cell Stack (소형 PEM 연료전지 스택의 제어 알고리즘 개발)

  • Kim, Tae-Hoon;Choi, Woo-Ji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5 no.2
    • /
    • pp.134-141
    • /
    • 2010
  • Small PEM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systems do not require humidification and have great commercialization possibilities. However, methods for controlling small PEM fuel cell stacks have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n this paper, a control method for small PEM fuel cell systems using a dual closed loop with a static feedforward structure is defined and realized using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The fundamental elements that need to be controlled in fuel cell systems include the supply of air and hydrogen, water management inside the stack, and heat management of the stack. For small PEM fuel cell stacks operated without a separate humidifier, fans are essential for air supply, heat management, and water management of the stack. A purge valve discharges surplus water from the stack. The proposed method controls the fan using double control loops to quicken transient response of the fan thereby improving the supply rate of air. Feedback control to compensate for the voltage change in fuel cell stack improves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fuel cell to load variations. The feasibility of proposed method was proved by the experiments with a 60W small PEM fuel cell system and operation of a notebook computer using this system.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차량연료의 최적연소 시스템 설계

  • Lee, Gwang-Hyeong;Min, So-Y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835-838
    • /
    • 2009
  • 본 논문은 환경공해의 주범인 자동차의 매연을 감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자동차 매연의 주요원인은 연료의 불완전 연소와 연료 자체의 특성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솔린/경유 차량을 CNG/LPG 차량으로 대체하고 CNG/LPG연료의 특성을 감안하여 연료의 공급과 분사량, 분사시간을 차량 ECU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기본데이터로 차량의 가속과 감속 아이들 상태에서 차량을 적응적으로 최적화 할 수 있게 실시간으로 보정데이터를 계산한다. 본 논문의 결과로 기존의 구조변경차량의 출력에서 20%이상, 배기가스 에서 10% 이상의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