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료량 측정장치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velopment of Fuel Quantity Measurement System for Aircraft Supplementary Fuel Tank (항공기 보조연료탱크 연료량측정시스템 개발)

  • Yang, Junmo;Kim, Bonggyun;Hahn, Sunghyun;Lee, Sa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8 no.11
    • /
    • pp.927-933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a fuel quantity measurement system (FQMS) for an aircraft supplementary fuel tank considering the change of aircraft attitude. The developed FQMS consists of fuel sensors, a signal process unit, an indicator and a software to estimate the fuel quantity from the sensor data. To replicate the change of the roll and pitch attitude on the ground, the test simulator is developed in this work. Using the test simulator, the sensor data at various fuel quantities, roll and pitch angles are automatically measured to build a training data set. The data-driven software to estimate the fuel quantity is then developed using a trilinear interpolation method with the training data set. The developed FQMS is verified by investigating the fuel estimation error of the test data set that we know the true values. Through the test, it is confirmed that the error of the developed FQMS system satisfies the criteria of TSO-C55 document.

스마트무인기의 연료량 측정장치에 관한 연구

  • Lee, Chang-Ho;Lee, Su-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233-23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형상을 갖는 여러개의 셀로 구성된 스마트무인기의 각 연료탱크에 대해 높이변화에 대한 체적변화를 분석하여 그 관계를 간단한 다항식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탱크 셀 수보다 적은 수의 Probe를 이용하여 전체 연료량을 계측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측정 Probe의 계측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Feeding Rate Measurement of Pintle Injector Type Fuel Feeder for Metal Powder Combustor (금속분말 연소기를 위한 핀틀인젝터형 연료 공급 장치의 입자 분사량 측정)

  • Ko, Tae-Ho;Kim, Hyung-Min;Lee, Do-Hyung;Yoon, Wo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405-409
    • /
    • 2010
  • 금속분말을 청정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금속분말 소형 연소기의 구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선행연구로 연료 공급 시스템인 핀틀인젝터형(pintle injector type) 금속분말 공급장치의 중요 성능인 분사량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였다. 분사량 측정 시험에 앞서 간단한 금속분말 공급 시험으로 확인된 문제점을 장치의 변경을 통해 해결하였다. 측정 시험의 결과, 연료 공급 장치에 이송 가스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많은 질유량의 금속분말이 분사되었고 압력에 따른 정량적 분사량을 확인하였다. 이송 가스와 금속분말의 혼합 성능을 개선하여 균일한 분사를 하고자 이송 가스를 25 Hz로 가진 하여 공급하였고 가진이 없는 경우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Early Fuel Evaporator Effects on Cold Driveability of Automobile (조기연료 기화장치의 냉간 시동 및 주행 성능 분석)

  • 전흥신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1 no.2
    • /
    • pp.178-185
    • /
    • 2002
  •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fuel evaporators on cold driveability of gasoline passenger cars. Experiment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assessment cold start performance and cold driveability. And fuel consumption rate, emission and cylinder pressure were measured. On the base of combustion pressure of cylinder, rate of heat release, cumulative heat release amount and burned mass fraction are evaluated. The results show that fuel consumption rate is increased by 17.7%, monoxide and hydrocarbon were reduced by 23% and by 45% respectively, fluctuations of indicated mean effective pressure and maximum combustion pressure were increased by 4∼6%, fuel consumption rate per power was improved by 0.2∼2.3%. These are caused by the fact maximum heat release period and main combustion period are getting short.

A Study On Fuel Cell Powertrain System Design (PEM형 연료전지 전력처리시스템 설계연구)

  • 한수빈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0.07a
    • /
    • pp.682-684
    • /
    • 2000
  • 에너지 절약과 환경 공해분제 그리고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지구온난화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고효율 발전시스템인 연료전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연료전지는 연소과정 없이 화학에너지를 전기 화학적으로 직접 전기로 변환시키는 시스템으로 효율이 높고 공해 물질의 배출이 거의 없기 때문에 매우 이상적인 발전장치이다.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철거 제어기 설계를 위해 필요한 운전 조건 즉 운전온도 압력 등의 운전조건과 연료 농도 공급량이 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특성을분석하였고 이들을 정리하여 최적제어를 위한 기본방식을 얻기 위해 이용하였다 실재 스택에 적용하기 위한 관련 측정시스템과 제어기는 dSPACE-1103과 ControlDesk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 PDF

난류확산화염에서 산소부화가 NO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채전우;전영남;김영권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4
    • /
    • pp.1022-1032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기체연료 연소시 산소부화연소의 적용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상용 프로판을 산소부화연소 시킴으로써 첨가된 산소에 의한 반응시간의 단 축과 공급 공기량중의 질소량 저감에 희한 연소가스중의 NO농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 른 화염장의 온도 및 연소가스중의 $O_{2}$ 및 N$_{2}$농도를 측정하여 그들의 상관관 계를 가지고 NO의 배출특성을 고찰함으로써 기체연료의 산소부화연소에 따른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위한 연소장치개발과 오염물질 저감대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velopment of System for Measuring Evaporation Rate through Porous Medium in Fuel Cells (연료전지 다공성막을 통한 수분증발량의 정량적 측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Jong-Rok;Kim, Moo-Hwan;Son, Sang-Yo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6 no.6
    • /
    • pp.579-582
    • /
    • 2012
  • Removing residual water in a fuel cell is a critical operational process for managing its performance and controlling its lifetime.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water transport in fuel cells is essential for the design of the water removal process.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method for measuring the water evaporation rate through a gas diffusion layer, which is a porous medium, under steady-state conditions was developed. Experimental bench tests were conducted to apply the developed method. Then, th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of the drying gas and the gas diffusion layer were experimentally measured. The water evaporation rate increased as the humidity of the drying gas decreased and the flow rate of the drying gas increased. In addition, a thinner gas diffusion layer yielded a higher water evaporation rate.

Development of A Torrefaction Unit of High Moisture Food & Agricultural Wastes (음식물 및 농업폐기물 열분해장치 개발)

  • Song, Dae Bin;Lim, Ki Hyeon;Jung, Dae Hong;Yoon, Jong 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6-116
    • /
    • 2017
  • 2012년 국내 총 폐기물(지정폐기물 제외) 발생량은 382,009 톤/일 으로 이 중 12.8%를 차지하는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 채소류폐기물 발생량은 13,209 톤/일 으로 대부분 소각 후 매립 처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수분 음식물 및 농업 폐기물을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열분해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50 kg/hr인 실험실용 열분해장치를 제작하였다. 건조 처리된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열분해용 실험 원료로 사용하였다. 원료종류, 열분해 온도, 열분해 시간에 따른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열분해 특성을 파악하였다. 농업부산물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55.35 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3,333 kcal/kg으로 측정되었다. 농업부산물을 단순 건조 처리한 경우 고위발열량은 3,400 kcal/kg, 저위발열량은 3,090 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조건 및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88.27 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4,016 kcal/kg으로 측정되었다. 음식물 쓰레기를 단순 건조 처리한 경우 고위발열량은 4,040 kcal/kg, 저위발열량은 3,686 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열분해 처리능력은 연구목표치인 50 kg/hr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저위발열량은 연구목표치인 4,000 kcal/kg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저위발열량 측정 기준 함수율이 습량기준으로 약 10%로 추정되는 바 5%로 조절하고, 열분해 열풍온도를 $200^{\circ}C$ 까지 상승시키면 발열량이 훨씬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Type of Fuel Supply Device (Feeder) of a Wood Pellet Boiler (목재펠릿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의 형태에 따른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Choi, Yun Sung;Euh, Seung Hee;Oh, Kwang Cheol;Kim, Dae Hyun;Oh, Jae He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4 no.2
    • /
    • pp.120-128
    • /
    • 2015
  • This study reports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such as burner temperature and the concentration of exhausted gas ($O_2$, $CO_x$, $NO_x$) due to the different types and pitches of the fuel supply feeder of the wood pellet boiler. The 1st grade wood pellets composed of mainly larch have been used for the experiment. In case of using the spring feeder, mean temperature of burner was approximately $821.76^{\circ}C$, and the mean concentration of oxygen,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nd nitrogen oxide were approximately 8.88%, 93.35ppm, 12.15% and 139.83 ppm, respectively. The test result with the spring feeder was shown to approach the condition of complete combustion compared to that of a screw feeder and were in good agreement with authentication judgement standard. Furthermore, the combustion efficiency was improv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screw pitch. The control of air flow rate from the blower and ventilator is needed to achieve the complete combustion.

A Study on the Evalution of Motorcycle Exhaust Emission (이륜자동차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김종춘;이종태;엄명도;박용희;곽순철;유영숙;임윤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7-168
    • /
    • 2003
  • 우리나라는 1987년 7월부터 휘발유 및 LPG 연료 사용 자동차에 배출가스 저감장치인 삼원촉매(3way catalytic converter)를 부착하였고 배출가스 측정방법도 중량규제(g/km)로 하였다. 그러나 이륜자동차는 2001년부터 2행정기관에 대해서 산화촉매를 부착토록 하였으며, 오염물질 측정방법도 2000년에 이르러 정지가동시 측정하는 농도규제(%)에서 트랜지언트(transient)방법에 의한 중량규제(g/km)로 강화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