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료량

Search Result 1,77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stimation of Fuel Consumption using Vehicle Diagnosis Data (차량 진단 정보를 이용한 연료 소모량 추정)

  • Park, Chong-Ryol;Jung, Kyung-Kwon;Eom, Ki-H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12
    • /
    • pp.2582-2589
    • /
    • 2011
  • This Paper proposed the prediction method of fuel consumption from vehicle diagnosis informations through OBD-II Interface. We assumed mass air flow (MAF), shor-term fuel trim (STFT), and long-term fuel trim (LTFT) had a relationship with fuel consumption. We got the output as fuel-consumption from MAF, STFT, and LTFT as input variables. We had modelling as combustion reaction equation with OBD-II data and fuel consumption data supported by automotive company in real.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method, 5 km real road-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stimate precisely the fuel consumption from vehicle data.

The Change Rate of Vehicle Fuel Consumption for Road Roughness (도로 평탄성 변화에 따른 차량 연료소모량 변화율)

  • Ko, Kwang-Ho;Yoo, In-Kyoon;Lee, Soo-Hyung;Kim, Je-W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45.1-45.1
    • /
    • 2010
  • 포장도로의 노화로 인해 도로 표면의 평탄성이 높아지면 차량 주행 시 연료소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중형/대형의 3개 승용차량에 대해 3가지 평탄도의 도로에서 40~100km/h 의 정속주행 연료소모량을 측정하여 도로 평탄성의 변화에 따른 연료소모량의 변화율을 계산할 수 있었다. 시험결과, 평탄성 증가에 따라 연료소모량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평탄성에 대한 l차 직선방정식으로 연료소모량을 표현할 수 있었다. 평탄성 1m/km 증가 시 연료소모량은 약 80mL/100km 정도의 비율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본 시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도로 노화에 따른 연료소모량 증가의 정도를 추정하여 다양한 도로 복구 작업 등에 이용하여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예방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Fuel Quantity Measurement System for Aircraft Supplementary Fuel Tank (항공기 보조연료탱크 연료량측정시스템 개발)

  • Yang, Junmo;Kim, Bonggyun;Hahn, Sunghyun;Lee, Sa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8 no.11
    • /
    • pp.927-933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a fuel quantity measurement system (FQMS) for an aircraft supplementary fuel tank considering the change of aircraft attitude. The developed FQMS consists of fuel sensors, a signal process unit, an indicator and a software to estimate the fuel quantity from the sensor data. To replicate the change of the roll and pitch attitude on the ground, the test simulator is developed in this work. Using the test simulator, the sensor data at various fuel quantities, roll and pitch angles are automatically measured to build a training data set. The data-driven software to estimate the fuel quantity is then developed using a trilinear interpolation method with the training data set. The developed FQMS is verified by investigating the fuel estimation error of the test data set that we know the true values. Through the test, it is confirmed that the error of the developed FQMS system satisfies the criteria of TSO-C55 document.

Estimation the Critical Accelerations for Fuel Consumption and CO2 Emission When Starting a Passenger car (출발가속주행시 연료소모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임계가속도 추정)

  • Choi, E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01-202
    • /
    • 2015
  • 과거 연료소모량과 오염물질 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주로 속도변수를 이용하였으나, 속도의 변화에 따른 연료소모량 및 오염물질 배출량의 변화를 올바르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는 것이 가속도이다. 이처럼 가속도 변수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연료소모량이나 오염물질 배출량과 관련하여 급가속을 판단할 만한 기준이 모호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료소모 및 $CO_2$ 배출량을 증가시켜 급가속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가속도 임계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가속도 임계치 및 모형추정을 위해 LPG 중형 승용차량에 장착한 차량 정보 저장장치로부터 가속 주행실험시 수집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가속의 특성상 동일한 가속도라 할지라도 정지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동일한 가속도에 대한 연료소모량, $CO_2$ 배출량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정지상태에서 가속시 관성을 극복하기 위한 동력이 요구되는 속도의 범위를 확인하고 이중 출발 가속주행시 임계가속도를 도출하였다. 가속 주행실험 결과 연료소모 및 $CO_2$ 배출 증가량이 급격히 증가되는 임계가속도를 도출하기 위해 CART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정지 상태에서 가속하는 경우 $2.598m/s^2$, 의 가속도가 연료 및 $CO_2$ 배출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임계 가속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A Estimation Model of The Fuel Consumption Based on The Vehicle Speed Pattern (차량 속도패턴에 따른 연료소모량 관계식 산정)

  • Won, Min-Su;Gang, Gyeong-Pyo;Kim, Jeong-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4
    • /
    • pp.65-71
    • /
    • 2011
  • It is practically hard to measure vehicle fuel consumption required to evaluate the energy-related governmental policies and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the existing methods are too simplified due to the limited field data available. Existing methods are even unable to reflect the amount of fuel consumed when vehicles accelerate and decelerate, and such technical limitations have reduced the quality of the policy evalua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fuel consumption model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effects of both cruising speed and acceleration/deceleration of vehicles. A new fuel consumption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simulation data generated by AVL Cruise, a vehicle simulation program. The estimated by the proposed model was compared against the one from the existing method.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provided much reliable estimate (fuel consumption) than the other did.

Implementation of Fuel Quantity Measurement System for Aircraft Using Capacitive Fuel Sensor (정전용량형 연료센서를 이용한 항공기 연료량측정시스템 구현)

  • Yang, Junmo;Yang, Sungwook;Lee, Sangchul;Yi, Yongsik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2 no.6
    • /
    • pp.17-22
    • /
    • 2018
  • The amount of fuel, which affects aircraft endurance, needs to be measured accurately. This paper deals with the implementation of a fuel quantity measurement system that consists of capacitive fuel sensor, DAQ board, and Labview software. The main circuit of the implemented system for measuring fuel quantity is simulated with Pspice to identify parameters, which are related to the change of fuel quantity. After simulation, we established that Vrms changes with the variation of fuel amount. The Vrms, which is the output of fuel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Labview software via the DAQ board of the implemented fuel quantity measurement system. The fuel quantity is also calculated using this software. The present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curacy of the implemented fuel quantity measurement system improved with the filter application.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Combustion of Surface Fuels (지표연료의 연소에 따른 탄소배출량 분석)

  • Park, Young Ju;Lee, Hae Pyeong;Kim, Min Jung;Kim, Hae Rim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2-192
    • /
    • 2011
  • 교토의정서에서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로 $CO_2$, $CH_4$, $N_2O$, HFCs, PFCs, $SF_6$를 규제하고 있다. 규제하는 6대 온실가스 가운데 $CO_2$가 가장 대표적이며, 우리나라의 연료연소에 의한 $CO_2$ 배출량은 세계 10위로 기후변화 진행속도는 세계 평균속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는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DB구축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산림부분에 있어서는 연료의 열적특성 구명 연구가 극도로 미진한 국내현실에서 기초 data 확보를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 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DB를 구축하기 위하여 산불발생 시 배출되는 탄소배출량을 예측하고자 산림 가연물의 연소실험을 수행 하였다. 연소실험은 산림 연료 가운데 지표연료 10가지(소나무낙엽, 굴참나무낙엽, 소나무솔방울, 밤나무밤송이껍질, 방아풀, 주름조개풀, 칡, 엉겅퀴, 김의털, 고비)를 대상으로 콘칼로리미터 장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분석하였다. 탄소배출량 실험에 앞서 지표연료들의 함수율을 측정한 결과, 10가지 지표연료 가운데 고사한 연료(낙엽, 솔방울, 밤송이)는 9~24% 정도, 생연료인 초본류 6가지는 181~484%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솔방울과 밤송이의 경우 9~10%로 가장 수분을 적게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탄소배출량 분석 결과, 50g 중량에 대한 10가지 지표연료들의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은 28~98g 정도, 일산화탄소 총배출량은 0.76~4.08g 정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료별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고사한 연료와 생연료의 탄소배출량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산화탄소 총배출량은 고사한 연료(소나무낙엽, 굴참나무 낙엽, 소나무 솔방울, 밤나무 밤송이)는 3.24~4.08g 정도, 생연료 초본류 6가지(방아풀, 주름조개풀, 칡, 엉겅퀴, 김의털, 고비)는 0.76~2.73g 정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은 함수율이 현저히 낮은 4가지 연료(소나무 낙엽, 굴참나무 낙엽, 소나무 솔방울, 밤나무 밤송이 껍질)들은 52~98g 정도, 함수율이 높은 6가지 초본류는 28~48g 정도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사한 연료인 소나무 낙엽, 굴참나무 낙엽, 소나무 솔방울, 밤나무 밤송이는 초본류 보다 상대적으로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소나무 솔방울은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방아풀과 주름조개풀은 각각 28g과 35g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불발생 시, 소나무의 솔방울은 10가지 지표연료 가운데 상대적으로 많은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를 배출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sign Optimization of Fuel Sensor Location in Aircraft Conformal Fuel Tank (항공기 보조연료탱크의 연료량 측정센서 위치 최적설계)

  • Jung, Kyusung;Yang, Junmo;Lee, Sangchul;Yi, Yongsik;Lee, Jae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6 no.4
    • /
    • pp.332-337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ptimization of fuel sensor location used to measure remained fuel amount in aircraft conformal fuel tank. The conformal fuel tank is utilized to expand the mission range in airplane, and the sensor location is a critical design variable determining the measurement accuracy. In this work, the sensor location is optimized to minimize unmeasurable fuel amount due to non-contact between fuel and sensor. The simplified model is prepared from the conformal fuel tank CATIA model, and the unmeasurable fuel amount is calculated. Then, the optimization is performed using MATLAB optimization solver. The optimized sensor location is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e location obtained using parametric study.

스마트무인기의 연료량 측정장치에 관한 연구

  • Lee, Chang-Ho;Lee, Su-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233-23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형상을 갖는 여러개의 셀로 구성된 스마트무인기의 각 연료탱크에 대해 높이변화에 대한 체적변화를 분석하여 그 관계를 간단한 다항식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탱크 셀 수보다 적은 수의 Probe를 이용하여 전체 연료량을 계측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측정 Probe의 계측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Gasification Performance of a Heavy Residual Oilwith Changes in Key Operating Variables (주요 운전 변수에 따른 중잔유 가스화의 성능 예측)

  • 이승종;윤용승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2
    • /
    • pp.140-152
    • /
    • 2001
  • 발전 연료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은 중잔유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중잔유의 가스화 성능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들인 산소 공급비, 증기 공급비 및 가스화기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중잔유 가스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가스화 성능을 예측하였다. 산소량은 0.5~2.0의 산소/연료비 범위에서 변화시켰고 증기량은 0.1~2.0의 증기/연료비에서 변화시켰으며 가스화기 온도는 600~200$0^{\circ}C$의 범위에서 변화시켰다. 대상 연료는 국내산 아스팔트이며 산소-증기, 산소-온도 및 증기-온도의 조합으로 동시 변화시킬 때의 가스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산소량이 증가할수록 CO와 H$_2$ 생성량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기량이 증가할수록 H$_2$ 생성량은 130$0^{\circ}C$부근까지 증가한 후 130$0^{\circ}C$ 이상에서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CO 생성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산 아스팔트의 경우 산소/연료비 0.92~1.01, 증기/연료비 0.18~0.49 및 가스화기 온도 1250~132$0^{\circ}C$의 영역에서 가스화 성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