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료계통

Search Result 28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Fuel Feed and Fuel Transfer System for Smart UAV (스마트무인기 연료이송/공급 계통의 설계 및 성능분석)

  • Lee Chang-Ho;Lee Soo-Cheol;Choi Hee-Joo;Kim Jai-M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1-354
    • /
    • 2006
  • In the present work, performance analysis of fuel feed and transfer system for Smart UAV was conducted. For the fuel feed system, it was verified that minimum and maximum pressure requirements at the fuel inlet of engine were satisfied. For the fuel transfer system, design variables of jet pump were derived and performance was verified for the maximum acceleration flight condition by using ESDU design guide and flowmaster code.

  • PDF

Fuel System Design for Smart UAV (스마트 무인기 연료시스템 설계)

  • Lee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457-463
    • /
    • 2005
  • In the present work, the design of fuel system for Smart UAV focused on the main components such as fuel feed system, fuel tank vent system, and refueling system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evious conceptual design results, the size of the component was calculated with refined airframe structure data and accurate engine data. It was verified that the design requirements for the feed system, vent system, and refueling system were satisfied.

  • PDF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Crashworthiness for Fuel System of Military Rotorcraft (군용 회전익항공기 연료계통 내추락성 입증에 관한 연구)

  • Sangsoo Park;Junmo Yang;Munguk Kim;Jaechul Kim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7 no.1
    • /
    • pp.16-23
    • /
    • 2023
  • The aircraft fuel system performs a number of functions such as supplying fuel, transferring fuel between fuel tanks, and measuring the amount of residual fuel in each fuel tank. Since it is a direct cause of fire hazard in crash incident, it is a must to improve survivability of crew members by designing the airframe to tolerate expected crash impact. The civil aviation authority requires intensive verification of the fuel system design to determine precise application of the airworthiness requirement. Research activity on airworthiness certification criteria and verification scheme is still insufficient, although it has a significant importance. In this paper, as part of a study to improve flight safety by developing guidelines for demonstrating fuel system crash resistance, analysis results of fuel system crash-related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tandards, verification scheme, and cases study applicable to military rotorcraft have been reviewed.

High-efficiency DC-DC Converter for Fuel cell with Interconnection (연료전지 계통 연계형 고효율 DC-DC 컨버터)

  • Oh, Eun-Tae;Chae, Hyung-Jun;You, Gwang-Min;Yoon, Soo-Young;Lee, Yoon-Jae;Lee, Jun-Young;Han, Byung-M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911_912
    • /
    • 2009
  • 최근 화석에너지원의 고갈과 고유가 및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해 국가별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규제하기 시작하면서 신재생 에너지의 계통연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 연료전지가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료전지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원으로서 근 미래의 새로운 대체 에너지로서 각광 받으며 여러 분야의 전기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연료전지는 낮은 출력전압과 높은 출력전류를 갖는 특징이 있으며 부하에 따라 출력전압이 변화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연료전지의 계통연계를 위해서는 다양한 부하조건에서 연료전지와 연동된 승압형 컨버터의 제작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의 계통연계를 위한 고효율 DC-DC컨버터를 제안하였고, 1.2kW용량의 연료전지 스택(Stack)과 연계한 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Study on High Efficiency Power Converter for Fuel Cell Power Generation (연료전지발전용 고효율 계통연계 전력변환기 연구)

  • Ju, Young-Ah;Jeong, Jong-Kyou;Shim, Myong-Bo;Han, Byung-Moo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95-9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발전용 고효율 계통 연계용 전력변환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전력변환기는 3상 전류형 능동클램프 DC/DC 컨버터와 계통연계용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하는 전력변환기의 동작을 분석하기 위해 연료전지의 출력을 모의하는 모델과 제안하는 전력변환기의 모델을 PSCAD/EMTDC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뮬레이션모델을 이용한 분석을 토대로 실험에 의한 검증이 가능한 하드웨어장치의 기본 설계를 실시하였다. 제안하는 전력변환기는 정격출력에서 저 전압특성을 갖는 연료전지를 효율적으로 전력계통에 연계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nalysis of fuel cell system connected with Grid (배전계통에서 연료전지시스템의 연계성능 연구)

  • Choi, Jung-Muk;Han, D.H.;Lee, Y.J.;Jung, B.H.;Choe, Gyu-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389-390
    • /
    • 2010
  • 본 논문은 연료전지용 PCS를 계통에 연계하는 과정을 보다 심도있게 진행하기위하여 배전계통을 모의 시뮬레이터로 구현하였다. 제작된 시뮬레이터를 바탕으로 각배전반의 전력품질과 다수 PCS와 계통과의 전력분배를 실험한다.

  • PDF

Development of 1kW Class Fuel Cell System for Auxiliary Power (1kW급 보조전원용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 Han, Se-Young;Choi, Dong-Min;Shin, Bum-Su;Sim, Jae-Hwi;Lee, Ho-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c
    • /
    • pp.189-19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FC)를 이용하여 보조전 원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계통연계 연료전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ditioning System)와 시스템 제어기의 개발도 병행하여 수행되었다. 개발된 1kW급 보조전원용 연료전지 시스템은 다양한 조건에서의 스택 성능 실험 및 BOP 연계 시험을 통해 최적의 운전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PID(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운전제어 방식을 통하여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전 특성을 확보하였다. 향후 본 시스템은 계통연계용은 물론 독립전원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력변환장치를 설계하여 적용할 예정이다.

  • PDF

Grid-tied Fuel-Cell Power Generation using DC-DC Converter with Digital Control (디지털 제어방식의 DC-DC컨버터를 이용한 계통연계형 연료전지발전)

  • Ju, Young-Ah;Han, Byung-Moo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037_103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제어방식의 DC-DC컨버터를 이용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전력변환기는 3상 전류형 능동클램프 DC-DC컨버터와 계통연계형 3상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하는 전력변환기의 동작을 분석하기 위해 PSCAD/EMTDC를 이용하여 연료전지의 출력 동특성을 나타내는 모델과 제안하는 전력변환기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모델의 검증이 가능한 하드웨어장치의 기본설계를 실시하였다. 제안하는 전력변환기는 정격출력에서 저전압특성을 갖는 연료전지를 전력계통에 고효율로 연계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 PDF

CANDU형 원자로 주열수송 계통에 대한 Acoustic 해석

  • 이대희;김종민;엄세윤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6
    • /
    • pp.932-937
    • /
    • 1995
  • 1990년 12월 카나다의 Darlington 2호기에서 발생한 핵연료 다발의 양쪽 지지판에 있는 지지 금속판의 파손은 펌프 날개 통과 압력 충격파가 Acoustic 성격으로 중폭되어 연료봉지지판의 파손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되었고 이에 따른 주열수송계통에 대한 ABAQUS를 이용한 Acoustic 해석과 수많은 실험을 거쳐 Acoustic 압력 충격파가 핵연료 다발의 연료봉 지지판 파손 원인임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Acoustic 해석과 실험의 결과로써 Darlington 발전소의 열수송 펌프를 5 날개 펌프에서 7 날개 펌프로 교체시키게 되었으며 그 결과 핵연료 스트링의 축방향 진동을 감소시켜 연료봉 지지판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례로 인하여 최근 CANDU형 원자로 열수송 계통의 Acoustic 해석에 대한 연구가 AECL의 Chalk River Laboratory와 COG(CANDU Owners Group)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기고문에서는 매우 새로운 분야로써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CANDU형 원자로 열수송 계통의 Acoustic 해석을 위한 해석 이론과 해석 방법을 간단히 요약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