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동자료

Search Result 31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Real-time PCM Data Processing System Development for Flight Test Control (비행시험통제용 실시간 PCM 자료처리시스템 개발)

  • Park, In 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6
    • /
    • pp.825-833
    • /
    • 2021
  • In flight tests, aircraft moves in real time, so it is important that data from instrumentation/measurement equipment used to determine aircraft status are processed in necessary form and transmitted to flight control systems in real time. Therefore, through telemetry data processing time reduction and processing cycle improvement in flight test control computer data processing system, in order to provide faster slave-data and safety judgment information to radar/telemetry slave-data processing, flight safety analysis system, emergency destruction transmission system, etc., we developed a PCM processing system that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by installing data processing software that can receive and process PCM data in current telemetry data processing system and radar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we explain classified software functions in detail, starting with overall structure of PCM data processing systems developed by supplementing existing systems. Additionally, PCM data processing system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system stabilization and test operation.

Interworking Status of Public Land Mobile Network According to Open Network Interconnection (상호접속에 따른 육상이동망 연동현황)

  • Hwang, 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0 no.3 s.37
    • /
    • pp.125-131
    • /
    • 1995
  • 공중육상이동통신망(PLMN)은 계속적으로 발전중에 있는 통신분야이다. 현재 다른 데이터 통신망의 추세를 비추어 볼 때, 이러한 공중육상이동통신망은 기존의 고정형 통신망인 공중교환전화망(PSTN)과 도입관계에 있는 종합정보 통신망(ISDN)과 연동이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현재 데이터망과의 연동에 대한 개정작업은 진행중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새로운 서비스의 망간접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상호 접속 공정 경쟁의 국내 현황과 사업자간 협정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추후 망간연동에 대한 표준(안) 및 기준(안)을 작성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계획이다.

Development of Travel Time Model at the Signal Coordinated Links Using Traffic Flow Model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도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개발)

  • 박용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45-155
    • /
    • 1998
  • 대도시 가로망의 대부분은 신호교차로와 신호교차로가 연결되는 가로(link)로 구성되어 있어 가로의 통행시간은 가로의 주변여건, 차량간의 상호작용 및 교통신호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가로망에서 신호 연동체계로 운영되는 가로의 통행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가로망을 대상으로 연동가로의 교통흐름을 가장 잘 나타내는 Greenberg모형을 이용하여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은 임계통행시간$(t_m$)과 교통량 대가로최대교통량비$(q/q_m)$의 함수로 이루어졌다. $t_m$모형은 안정류상태의 통행시간 및 불안정류상태의 통행시간의 비를 이용하여 개발하였고 가로 용량모형은 상류부와 하류부의 신호조건에 따른 변수와 가로길이를 변수로 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12개의 연동가로의 자료를 적용하여 연동으로 운영되는 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통행시간 모형은 도로용량에 제시한 모형에 비하여 간단하게 가로의 통행시간을 추정할 수 있으며 교통계획에 적용되는 통행시간모형 비하여 가로의 신호 및 운영조건을 포함한 세부적인 통행시간 모형이다.

  • PDF

Protocol for SQL Process in Virtual Database Systems (가상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SQL처리를 위한 프로토콜)

  • 권영일;이동욱;박영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21-23
    • /
    • 1998
  • 최근 들어 웹의 편리성과 데이터베이스의 방대한 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연동하는 기술들이 발전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웹과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는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웹의 편리성을 살리고 데이터베이스의 방대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스키마정보를 가지고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조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웹상에서 Fill-in Query를 사용하여 실제 SQL Query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SQL처리 프로토콜에 대해 연구한다.

Development of Traffic State Classification Technique (교통상황 분류를 위한 클러스터링 기법 개발)

  • Woojin Kang;Youngho K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1
    • /
    • pp.81-92
    • /
    • 2023
  • Traffic state classification is crucial for time-of-day (TOD) traffic signal control. This paper proposed a traffic state classification technique applying Deep-Embedded Clustering (DEC) method that uses a high dimensional traffic data observed at all signalized intersections in a traffic signal control sub area (SA). So far, signal timing plan has been determined based on the traffic data observed at the critical intersection in SA. The current method ha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consider a comprehensive traffic situation in SA. The proposed method alleviates the curse of dimensionality and turns out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signal timing plan.

Water Temperature Monitoring Method to Cope with Water Level Change at the Reservoir (수위변화에 대응한 저수지에서의 수온 모니터링 기법)

  • Lee, Hyun-Seok;Chae, Hyo-Sok;Kim, Young-Sung;Lee, 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36-19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갑작스런 호우로 인한 다목적댐 저수지 수위의 급격한 상승에도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기후 맞춤형 수위연동 장치를 고안하였다. 현재 기본적인 제작은 완료되었으며, 수위변동으로 인한 장치의 인장 및 수축 시 균등한 측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연동 기능의 확인 및 검증을 위한 현장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실험결과는 2010 년 1월 1일부터 약 41일간의 수심별 수온 및 수위변화에 따른 장치의 연동특성에 나타내었다. 각 수온 자료의 측정수심은 앵커에 설치한 수위계를 이용하여 확보하였으며, 또한 각 수심별로 설치한 수위계를 이용하여 취득된 수온의 측정 위치를 확인하였다. 본 장치는 현재 약 60 m의 최대 수심을 고려하였으며, 저수지 수위변동 시 수표 면으로부터 동일 수심에서의 수온모니터링 및 부력재를 이용한 수위변동 시 등간격 연동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향후 4 대강 및 저수지에서의 수위변화에 연동한 수온 조사 뿐 만 아니라 유속, 탁도 및 염분 등 수리특성 조사 업무까지 활용범위 확대가 가능하다.

  • PDF

Development of Post-processing Algorithms for Assessment of River Bed Change and Water Storage using ADCP Bathymetry Measurements (ADCP 수심계측자료 활용 하상변동 및 저류량 계산 알고리즘 개발)

  • 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0-180
    • /
    • 2012
  • ADCP는 3차원 유속과 수심을 관측하여 유량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는 최신계측기기로 국내에서도 유량조사사업단 등 기관에 도입되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보정 등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ADCP 관측값 중 수심관측 자료를 별도로 활용하는 부분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하상변동 측정에 기존 유량관측용으로 구매된 ADCP를 수심관측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ADCP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4개의 초음파 빔을 활용하여 사선 방향으로 수심을 각각 관측한다. 최근에는 별도의 수심관측용의 수직 빔을 추가 설치하여 한번 관측에 초당 5개 지점의 수심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어 수심관측용으로도 기존 단독빔 음향측심기에 비해 효율적으로 수심을 관측할 수 있다. 그리고 ADCP는 GPS와 연동되어 수심관측의 3차원 공간정보 (x, y, z)를 창출할 수 있어 기존 GIS 자료와 융합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음향 측심기의 수직빔과 다르게 ADCP의 빔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고 선박 활용 관측 시 요동에 의해 흔들려 각각의 빔이 계측한 수심의 수평위치를 정확하게 추출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특히 경사빔에 의한 수심관측지점에 GPS 정보를 추정하여 부여하는 작업도 까다롭다고 하겠다. 그리고 수심관측자료 자체의 오차나 특이점 제거 등의 보정작업을 거쳐야 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원자료를 직접 활용할 수 없고 별도의 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1) 경사빔에 의한 관측지점의 수평위치 산정, 2) ADCP의 흔들림 (피치와 롤링) 보정, 3) 경사빔의 관측위치에 지리정보부여, 4) 수심관측치 오차와 특이점 보정, 5) 관측자료의 GIS 파일 전환. 이러한 알고리즘은 GUI와 연동되어 적용되었으며 편리하게 이용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이러한 ADCP의 수심관측 자료와 하천 및 저수지 등 경계 GIS 파일을 연동시켜 전체 혹은 국부 저수량과 하상변동량을 계상하는 알고리즘도 추가하여 관측자료의 실무에서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 PDF

Design of Flight Data Processing System for Multiple Target Flight Test (다중표적 비행시험을 위한 비행 자료처리 시스템 설계)

  • Chong, Kyoung-Ho;Oh, Se-Jin;Bang, Hee-Jin;Lee, Yong-Jae;Kim, Heung-B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10
    • /
    • pp.1012-1019
    • /
    • 2010
  • In this paper, The flight data processing system was designed for multiple target flight test. For flight data processing, multiple target grouping, data fusion processing, and data slaving processing were performed and, as a data fusion filter, centralized, and federated Kalman filters were designed. A centralized kalman filter was modified in order to improve the vehicle's low altitude measurement using radar's SNR and estimation process. From the testing of multiple target missile, it confirmed flight trajectory measurement was improved in low altitude area and the beginning stage of vehicle.

환경부 "물"정보 사이트

  • 이병국
    • Water for future
    • /
    • v.37 no.2
    • /
    • pp.30-35
    • /
    • 2004
  • 여기에서는 물의 질적인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각종 $\ulcorner$$\urcorner$ 관련 정보에 대한 웹사이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환경부의 웹사이트에는 여러 관련분야의 하나로서 물 분야에 대한 업무소개와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물과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환경지리정보를 꾸준히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다. 관련 링크 사이트로는 수질측정 자료를 제공하는 국립환경연구원의 자료제공 사이트, 물사랑 홈페이지 등과 연동되어 있다.(중략)

  • PDF

A Design and Development of a Wireless-Wireless-linked Mobile Game Content (무무선 연동 모바일 게임 콘텐트의 설계 및 개발)

  • Ko Il Seok;Lee Jang Beom;Cho Dong U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3 s.99
    • /
    • pp.455-460
    • /
    • 2005
  • An improvement of a mobile game content production and a service technology are bringing an explosive increase of a mobile game market. Currently serviced mobile games are using a WAP method and a download method. Because of technical problems, we couldn't develop the mobile game content which sequentially linked WAP->download and download->WAP. In this study, we design and develop the mobile game content which sequentially linked WAP->download and download->WAP. In the proposed method, we can linked the stage and the ranking information as sharing a data on real time that it is impossible in the previous mobile gam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