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근해어업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연안 수역 및 연근해 어장 등의 해양폐기물 정화사업 추진실적

  • Hwang, Seung-Taek
    • 어항어장
    • /
    • s.75
    • /
    • pp.35-43
    • /
    • 2006
  • 어업인들이 대부분 정부에서 수산자원 회복을 위하여 시급하게 하여야 할 사업으로 침체어망 인양사업 등을 요구하고 있으며 수거에 따른 경제성을 고려해 볼 때 침체어망 인양사업과 해양폐기물 수거사업을 확대 운영하여야 한다.

  • PDF

한국 근해 고등어자원의 평가와 관리

  • 최영민;이재봉;장창익;백철인;박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79-280
    • /
    • 2000
  • 고등어는 우리나라 전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회유성 어종으로 주로 대형선망어업에 의해 연중 어획되며, 최근 연근해 전체 어획량의 10∼25%를 차지하는 산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이다. 또한 고등어는 전갱이, 정어리, 삼치, 붉은대게 와 함께 TAC 대상어종으로서 이러한 제도의 지속적인 실시를 위한 TAC산정 대상어종의 자원특성 파악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정확한 TAC추정을 위해서는 어업자원의 생물학적 특성 구명과 자원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해양학적 특성도 함께 고려되어져야 한다. (중략)

  • PDF

Verification of Night Light Satellite Data using AIS Data (AIS 자료 기반 야간 불빛위성자료 검증)

  • Yoon suk;Hyeong-Tak Lee;Hey-Min Choi;Hyun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11-212
    • /
    • 2022
  • 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나라 주변 환경의 변화와 최근 중국 불법어선의 연근해 어업자원의 고갈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 연근해 어족자원을 보호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해서는 어획물의 종류와 양을 정확히 파악하고 불법 어업에 대한 철저한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하다. 시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변하는 생태 및 어장 환경 정보와 선박에 대한 정보를 통해 해양관측과 위성 원격탐사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근해와 원양 생물자원 실태를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야간 불빛 위성 Suomi-NPP (Suomi National Polar-orbiting Partnership) 및 후속위성인 NOAA-20의 VIIRS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DNB (Day & Night Band) 영상을 이용하여 야간 불빛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 불빛 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야간에 조업하는 어선 선단의 공간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이 불빛 위성 자료와 AIS 자료를 상호 비교하여, 불빛 위성 자료를 통해 실제 선박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함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On the Countermeasures against Korean Fishing Boat being seized in Japan′s EEZ (일본 EEZ에서 우리 어선나포에 대한 대응방안)

  • Choi, Hong-Bae;Choi, Seog-Yo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6 no.5
    • /
    • pp.517-524
    • /
    • 2002
  •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fishing boat being seized in Japan's EEZ and to provide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at proble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at actual conditions, Korean fishermen are trespassing Japan's EEZ in which fishery resources are abundant because of exhaustion of fishery resources and polluted water in Korean coastal sean. In the past, That behavior was not illegal. Now, however, it became illegal with the effectuation of the United National Conventions on the Law of the Sea(1994) and the Korean-Japanese Fisheries Agreement(1999). In order to resolve that problem on a long-term basis, it is necessary to turn over national fishery policy, to provide fishing people with other means of living, and to establish the Korean-Japanese cooperation system of fishery management. Most of all, it is urgent to mitigate and remit a penalty which was executed in Japan, to amplify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need to guide and control fishery, and to construct a close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National Maritime Policy Agency and the 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Affairs.

A Study on the Illegal Fishery at the Korean Central and Southern Coast of the Yellow Sea (우리나라 서해 중남부의 불법어업에 대한 연구)

  • SEO, Man-Seok;KIM, Il-Pyeong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17 no.2
    • /
    • pp.170-179
    • /
    • 2005
  • Realities of illegal fisheries in the central and southern coastal areas of the Yellow Sea were investigated. The study was based on the data released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MOMAF) and Korea Coast Guard (KCG) during 1992-2002 and on questionnaire responses. Analyses of KCG data showed that the number of enforcements by the agency gradually decreased during 1998-2001 but rose in 2002. Analyses of the MOMAF data, however, revealed that illegal fisheries gradually increased during 1992-1996, but sharply increased after 1997, and that such illegal activities became more common in the East Sea beginning in 2001. MOMAF data also showed that although illegal fisheries began to increase in the Yellow Sea after 1997 they tended to decrease in the southern sea after 1998, with a high rate of small-bull trawlers (40.9%) that were non-sanction fisheries (38.1%). Questionnaire responses showed that illegal fisheries were mainly motivated by poverty (27.4%) and largely occurred in coastal fisheries (78.0%). Analyses of questionnaire responses also suggested that illegal fishing activities can be reduced through tougher laws regulating fisheries.

On Institutional Arrangements of Quota-Based Management for China's Marine Capture Fisheries (쿼터제에 기초한 중국연근해 어업관리에 대한 제도적 연구)

  • Mu, Yong-Tong;Choe, Jeong-Yoon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 v.32 no.2
    • /
    • pp.91-125
    • /
    • 2001
  • 이 논문은 2002년도 부경대학교 수산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A Study on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Quota-Based Management : The Case of China's Marine Capture Fisheries)의 일부이다. 이 논문의 기본목적은 취터제에 기초한 중국의 어업관리를 위한 제도적인 틀을 세우고자 하는데 있으며,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에 위해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시켰다. 제1장은 연구목적과 문제의 제기에 이어 제2장에서는 중국 해양어업의 개발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여기에서 궈터제에 기초한 어업관리정책의 제도적 제안을 함과 동시에, 제3장에서는 중국 해양어업의 현실과 중국 사회의 일반적인 현상을 분석하여 제4장을 통해 쿼터제에 기초한 중국의 어업관리를 위한 제도적 프레임러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을 요약하고 향후 계속되어야 할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중국 수산업의 관리체제는 질적 규제 중심 관리제도, 그리고 정부 주도하의 어업관리 과정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러한 명령과 통제 (command-and-control) 방식의 전통적인 중국어업 관리제도로서는 어업인들에게 있어서 자원 보존에 대한 동기와 제도에 대한 수용성을 약화시키며, 정부 규제를 오히려 무시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결과적으로 현형 중국의 어업관리제도는 어업인에게 있어서 자원 보전에 대한 유인을 약화시키고 단기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도록 유도하는 맹점을 지니므로 인해 더 이상 지속적인 어업성립의 보장을 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중국정부는 이러한 어업관리제도의 불완전성을 인식하여 2000년 10월 31일에 1986년 에 제정된 수산업법을 개정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중국의 수산업법은 어업 허가제도와 함께 할당량제에 기초한 어업관리제도를 국가가 운영하는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국은 할당제에 근거한 어업관리제도를 미실시중에 있으며, 그 내용도 애매모호한 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또한 중국의 절대적 어획량은 현재 논란의 여지로 남아있고, 거대 어업 인구의 근본적인 요구와 중국 어선의 국제적인 경쟁력, 그리고 유어(遊漁)에 대한 사회적 요구 등도 중국의 수산정책이 채결해야 할 과제이다. 위에서 고찰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우리는 중국의 쿼터제에 기초한 어업관리에 대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제안한다. 중국 연근해어업에 있어서 할당제 모형에 참가하는 어업 참여자들의 유형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어촌에 거주하면서 생존수단으로 소규모 어업에 종사하는 경우이고, 둘째는 유어어업의 경우이며, 셋째는 상업적 목적으로 어업에 종사하는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세 집단을 하나의 제도의 틀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총허용어획량(TAC)을 총 어촌 허용어획량(TAIVCs)과 총 허용 유어 어획량(TARCs) 및 총허용 상업적 어획량 (TACCs)의 세부문으로 나눌 것을 제안한다. 그리하여 다시 TAFVCs와 TARCs, 그리고 TACCs는 어촌별 어획량(ITCQs), 개별 유어 회사별 어획량(IRCQs), 그리고 양도 가능한 개별 상업적 어획량(ITCQs)으로 나누어 관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중국의 국가 총허용어획량(TAC)을 IFVQs와 IRCQs, 그리고 ITQCQs의 세부문으로 구분하여 할당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어업을 관리하는 것은 중국에 있어서 사회적 형평성과 경제적 효율성과의 상충관계를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 중국에 있어서 수산업을 통한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AI-based Fish Classification and Weight Estimation System (인공지능 기반 어류 분류 및 무게 추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 Go, Jun-Hyeok;Oh, dong-Hyub;Lee, Ji-won;Im,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229-232
    • /
    • 2022
  • Recently, production of offshore fisheries in Korea has been decreasing. Since production of offshore fisheries in 2016 fell below 1 million tons for the first time in 44 years, it has not recovered and has been decreasing.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decrease in fishery resources, the TAC (total allowable catch) system is implemented internationally for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Since 1999, South Korea has introduced the TAC system to perform resource manag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fish classification and weight estim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to investigate fishery resources of land observers essentia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TAC system. The system consists of an app and a cloud server that automatically measures the body size and height of fish and takes photos us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lidar sensor. In the cloud server, fish classification is performed using a CNN-based efficientnet model and the weight of fish is predicted using automatically measured body length and body height information. Using this system,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xisting method in which the land observer manually writes after measuring the tape measure and weight in the stomach market.

  • PDF

낙지주낙 어장의 해황과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

  • 정정민;김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5-36
    • /
    • 2000
  • 낙지, Octopus variabilis, 는 연체동물 중 두족강의 신두족강(Neocephaloda) 팔완목(Octopoda)에 속하고, 주로 우리 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을 비롯하여 일본과 중국의 연근해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는 연안성ㆍ천해성ㆍ난해성 수족으로서, 연안의 해저 바닥이 뻘로 된 곳에 주로 분포하기 때문에, 낙지어획은 주로 주낙, 기선 저인망, 통발 등에 의해 이루어져 왔는데, 그 중에서 주낙에 의한 어획량이 가장 많다. 그러나 낙지 어업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어장학적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고, 어민들의 경험에만 의존하여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