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자 네트워크

Search Result 35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국내 우수 연구자의 글로벌 공동연구 활동도 분석 연구 :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 Yu, Hwa-Seon;Kim, Yun-Myeong;Yang, Chi-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67-1188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 등 대외적 R&D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이로 인한 과학기술의 융 복합 및 첨단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신산업분야를 중심으로 국가 간 공동협력이 점차 활발해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연구개발 주체의 연구역량 열위, 연구주체의 폐쇄성, 국가 R&D 제도적 미흡 등으로 인해 국가 간 공동연구 활동도가 매우 미흡한 편이다. 2016년 국가과학 기술혁신역량평가 국제협력 항목에서도 우리나라의 국제협력 항목지수는 0.206으로 2015년(0.182) 대비 0.024p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OECD 30개국 중 16위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협력 상위 3개국에 대한 상대수준에서도 평균 10.3% 수준에 불과하여 국제 공동연구 활동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개선방안 확립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연구에 이어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국제 공동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핵심연구자 간(연구 활동도 상위 5위 이하)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활동도 비교 분석을 통해 정확한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우리나라 연구주체의 연구개발 개방화, 국제 협력 전략적 분야 및 대상 발굴,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등에 대한 발전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국내 및 글로벌 핵심 연구자 간 글로벌 공동연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KDD/KM 방법론을 활용한 공동연구자 분석(Co-author analysis)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동 방법론의 활용을 통해서 신산업 분야 중 가사로봇분야의 상위 10개 국가, 기관, 연구자에 대해 분석하고, 논문 활동도가 높은 글로벌 및 한국의 상위 5위까지의 핵심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자 간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현황 및 활동도에 대한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Construction of Researcher Network in the Academic Research Area based on Inference (학술 연구 분야에서의 추론 기반 연구자네트워크 생성)

  • Lee, Seung-Woo;Kim, Pyung;Jung, Han-Min;Koo, Hee-Kwan;Sung, Wo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90-94
    • /
    • 2006
  • The research about social network for analyzing human relationship has been steadily worked due to the importance in the social science field. It is also important th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s in the academic and research fields. Especially, the network by joint research or citation between researchers is useful to evaluating projects or making policy on academic and research fields.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that generates two kinds of researcher networks showing co-authorship and citation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s based on national R&D reference information ontology. We infer pair of researchers in co-authorship or citation relationship by SPARQL query from the ontology which is composed of research outcomes and their participating researchers in RDF triples. By postprocessing, we construct researcher network which links researchers in co-authorship and citation relationship.

  • PDF

A Study on Categorizing Researcher Typ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llaboration (공동연구 특성을 고려한 연구자 유형 구분에 대한 연구)

  • Jae Yun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40 no.2
    • /
    • pp.59-80
    • /
    • 2023
  • Traditional models for categorizing researcher types have mostly utilized research output metrics. This study proposes a new model that classifies research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llaboration. The model uses only research collaboration indicators and does not rely on citation data, taking into account that citation impact is related to collaborative research. The model categorizes researchers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collaborative research pattern and scope: Sparse & Wide (SW) type, Dense & Wide (DW) type, Dense & Narrow (DN) type, Sparse & Narrow (SN) type. When applied to the quantum metrology field, the proposed model was statistically verified to show differences in citation indicators and co-author network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researcher types. The proposed researcher type classification model does not require citation inform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research management policies and research support services.

Study on Researcher- centered Academic Infonnation Analysis Servies (연구자 중심의 학술 정보 분석 서비스에 관한 연구)

  • Lee, Mi-Kyoung;Kim, Pyung;Jung, Ha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26-30
    • /
    • 2010
  • 현재 연구자들은 연구기획, 협업 연구자 선정 및 특정 분야의 전문가 정보를 찾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자들의 노력을 줄여주기 위해서 연구자 중심의 학술 정보 분석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BiomedExperts, Authoratory, ResearchGATE, Academic Search와 같은 기존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연구자 중심 학술 정보 서비스와 OntoFrame S3의 연구자 중심 학술 정보 분석 서비스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고, 각 사이트에서 공통으로 지원하는 4가지 서비스-연구자의 기본 정보, 연구자의 연구 동향 정보, 연구자 네트워크, 연구자의 논문 정보 서비스-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 주요 기능적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 PDF

An exploration of the collaborative topic analysis adopting a spatial scientometric approach in Korean LIS researches (국내 문헌정보학분야 학술지의 협업 주제 분석을 위한 지리적 접근에 대한 실험적 연구)

  • Jeong, Yoo 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9-22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를 대상으로 협업 특성과 연구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지리적인 측면에서 기관들의 공동연구 특성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협업 특성을 분석한 연구들은 공저 네트워크의 속성이나 연구자들의 연구생산성, 소속기관 및 국가 비교 등 통계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수행해왔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주된 분석수단으로 사용해 온 통계적 분석 외에 연구자의 협업 연구주제와 연구자가 속한 기관 및 지역정보를 활용하여 협업 패턴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연구자가 속한 기관들 간의 협업 네트워크를 지리적인 관점에서 연구주제와 함께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An Analysis on Scholarly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esearchers in High Energy Physics Focused on SCOAP3 Open Access Journals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 국내 연구자들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특성 분석: SCOAP3 오픈 액세스 학술지를 중심으로)

  • Lee, Seonhee;Kim, J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7 no.2
    • /
    • pp.285-310
    • /
    • 2020
  • This paper analyzed SCOAP3 journals, which have been evaluated as successful open access model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cholarly communication among domestic researchers in the field of high energy physics (HEP). As research methods,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statistics and a network analysis of authors' affiliated institutions and academic journal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collabor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of domestic researchers in the HEP fiel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among the 10 SCOAP3 journals in which Korean researchers participated, the proportion of articles in which Korean authors participated was 8.0% of the total. The proportion of papers with more than 1,000 co-authors per paper was 28.7% of the total.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roved that Korean researchers were actively collaborating in the HEP global network. From the results of the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centered on the affiliated organization, the cooperative network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lusters: a cluster centered on S universities, a cluster centered on K research institutes that provided researchers a cooperative infrastructure with CERN, and a cluster centered on I research institute. Through the network analysis for research institutes and journals, it was found that JHEP, PRD, and PLB among academic journals were highly participating journals, and universities and researchers were also participating in the writing of open acces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understanding researchers and building a research information environment in libraries.

Analysis of Co-authorship Network in the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 Analysis of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15 in Korea (평생 직업교육훈련 분야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2000년~2015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Park, Ji-Young;Lee, Hee-Su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 /
    • v.35 no.6
    • /
    • pp.85-112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operative relations among researchers and their network structures based on the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the field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rom 2000 to 2015. Authors in three representative journals,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during the periods, were selected and co-authorship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using NetMiner 4.0 in order to find the social relation among researchers and their academic influ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productivity in the field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ms a shape of the power function where there exist components called, 'detailed research groups.' This network structure represents characteristics of a small world. In addition, the centrality analysis suggest authors with high centrality serve as co-authors who play as a central role on the network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other researchers, while those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serve as a channel where they transfer knowledge and information among research groups. Increasing member of co-authorship ha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opportunity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research among researchers in the field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it is recommended co-authorship be formed more heterogeneously instead of a few researches centrally dominate co-authorship. Various researchers should continually conduct research for good research performances.

An Implementation of the Electronic Reference Service System Using WWW in the Field of Nuclear (웹(WWW)을 이용한 원자력분야 정보조사제공서비스 시스템 구현)

  • Chun, Young-Choo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28 no.3
    • /
    • pp.21-45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uild up an electronic reference service system specifically in the field of nuclear. Comparing with a library service system, this on has some advantages in that users can obtain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the network without spending much time and labor in visiting the library in person. A questionnaire was inquired for 300 researchers to get useful information for the building of the system. This system was proved to be useful by users.

  • PDF

Social Network Analysis o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of Convergence Technologies Specialists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 Lee, Jung-Mann;Choi, Min-S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6
    • /
    • pp.415-428
    • /
    • 2010
  • Converging technologies have become a major issue in science policy. This paper describes the current state of scientific collaboration for convergent technologies among researchers in South Korea, by conduct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ith the data set of 1,095 researchers who hav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t technologies. It is found that the researchers in convergent technology are more productive than the researchers in other technology domains. However, the researchers in convergent technologies have small number of collaborators, compared with their productivity. Only a few researchers have a role of the hub in the collaboration networks, meaning that the structure network is closer to than the core than the peripheral. The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 of the convergent technology researchers shows that the members of the network are close to each other, but there is small number of clique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연구경향 분석

  • Kim, Yeong-Jun;Wa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873-900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이론을 통해 원자력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의 경향적 특징을 파악하고, 동 분야의 주요 연구주제와 하부 연구분야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195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분야 연구논문 605건으로, 저자가 제시한 키워드 간 관계망 형성을 통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에서 수행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연구의 기술통계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원자력 사회과학 연구는 1957년부터 시작되어 꾸준히 수행되어졌는데, 2011년을 기점으로 논문발표가 급격히 증가했다. 주로 법학, 행정학, 정책학, 정치학의 연구가 대학 내 연구자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다. 원자력 관련 기술개발이 주로 정부 출연연구기관에서 수행된다는 점을 고려 했을 때, 향후 사회과학 분야에 있어 대학과 출연기관 간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둘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 2011년을 기점으로 사회과학의 원자력에 관한 연구가 양적, 질적으로 본격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지식 네트워크는 2011년 이전에 비해 규모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결과, 후쿠시마 사고 이전 사회과학 연구자들의 연구경향은 핵비확산, 과학기술 정책, 사회수용성이었다면, 후쿠시마 이후에는 원전해체, 손해배상, 에너지믹스, 탈핵운동 등과 같은 다양한 원자력 현안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하부 연구분야 도출을 통해 특정 연구주제별 쏠림현상을 확인했다. 하부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제시된 9개의 하부 연구분야는 네트워크 속성 값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법학 관련 연구주제가 가장 높은 밀도를 갖는 반면 지속가능 발전과 에너지 믹스 관련 연구주제의 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자력에 관련된 학자의 인식을 연구경향 분석을 통해 파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는 추후 원자력 관련 정책연구자 혹은 정책결정자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