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방법 틀

Search Result 85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Development of the Brain-based Analysis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rogram in Science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한 두뇌기반 분석틀의 개발)

  • Lee, Jun-Ki;Lee, Il-Sun;Kwon, Yong-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0 no.5
    • /
    • pp.647-66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rain-based analysis framework for evaluating teachinglearning program in science. To develop the framework, this study categorized educational construct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into one of three teaching-learning factors: cognition, motive, and emotion, using previous studies on science program. Ninety-three articles on the brain functions associated with science program were analyzed to extract brain activation regions related to the three educational constructs. After delineating the brain activation regions, we designed the brain function map, "the CORE Brain Map." Based on this brain map, we developed a brain-based analysis framework for evaluating science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R & D processes. This framework consists of the brain regions, the bilateral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the bilateral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the bilateral orbitofrontal cortex, the anterior cingulate gyrus, the bilateral parietal cortex, the bilateral temporal cortex, the bilateral occipital cortex, the bilateral hippocampus, the bilateral amygdala, the bilateral nucleus accumbens, the bilateral striatum and the midbrain regions. These brain regions are associated with the aforementioned three educational factors; cognition, motivation, and emotion. The framework could be applied to the analysis and diagnosis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in science.

Reseach on Transcultural Nursing (횡문화 간호에 관한 연구)

  • Shin, Kyng-Rim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2 no.4
    • /
    • pp.454-463
    • /
    • 1992
  • 세계가 일일 생활권화 됨과 더불어 국제교류가 활발해지므로써 횡문화 간호 연구는 전문직 간호(Professional Nursing)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많은 문헌을 통해서 알 수 있다(Brink, 1976 : Leininger, 1977 : Roberston & Boyle, 1987). 횡문화 간호연구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잘 이해하고 그들의 건강을 돌봄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한 간호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호이론 개발, 간호모형(Model) 개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본 연구는 1984년에서 1987년 사이에 전문적 간호연구지에 실린 10편의 횡문화 간호연구와 관련된 논문들을 발췌하여 간호지식체의 본질적인 과정인 비판적 문헌고찰을 통해 각 논문들을 비교 분석 한 것으로써, 미래의 간호연구를 위한 간호실무, 간호교육, 간호연구 방법 및 간호 행정면에서 그 적용성을 높여줄 것이다. 비판적 문헌고찰을 위한 기준은 Burns와 Grove(1987)의 방법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선정하였다. 1. 분석대상 : 목적, 가설 진술, 문헌고찰, 표본조사, 방법론적 논점, 결과 해석 2. 이론적 틀의 유도 흑은 통합 3. 발전적인 간호수행을 위한 중요성, 적용성 및 제언 이상의 내용으로 비교 분석을 해본 결과 1984년에서 1987년 사이에 발표된 횡문화 간호에 관한 논문들의 주제는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한 건강돌봄, 자가간호, 건강신념, 수유, 임신 그리고 간호사와 소수민족 노인과의 의사소통 양상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론적 틀은 주로 사회학, 정신심리학, 인류학 이론으로부터 도출되었고, 오직 두 편만이 간호 이른에 틀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1. 10개의 논문의 가설과 목적의 분석에 있어서 4편의 논문은 목적과 가설이 구체적으로 진술되어 있었고, 나머지 6편은 목적이 전반적으로 진술되어 있었으며 가설도 구체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제한점은 각 논문의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단지 수편의 논문만을 제시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분석 해 볼 수 있겠다. 2. 문헌고찰 부분에서는 각각의 연구주제를 지지해줄 수 있는 문헌들이 충분히 고찰되지 못하였고, 이론적배경 또한 횡문화 이론과의 관련성이 적었다. 또한 횡 문화 연구에 기초가 되는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은 잘 나타났으나,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 간에 괴리가 있었다. 3. 표본추출방법은 문화에 기반을 둔 대상자를 선정한다는 점에서 한계성 이 있었다. 4. 방법론적 이유로는 대상자와의 면담시간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았으며, 고유한 언어를 통역하는 과정에서 의미론적 문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면접과 기록과정에서 보면 자료의 기록과정과 분류 및 분석과정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참여관찰과 면접방법을 사용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되어 있지 않았다. 5. 연구결과의 적용 및 이에 대한 논의는 상당히 제한되어 있었는데, 수편의 연구만이 방법론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분야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특이한 것은 어 떤 연구자도 이른 개발을 위한 적용 및 임상실무적 차원에서 간호에 대한 제언을 하지 않았다.

  • PDF

Exploratory Study on New Institutionalist Approach for Media Institution (미디어 제도의 신제도주의적 접근을 위한 탐색적 연구)

  • Shim, Young Sub;Heo, Chanhaeng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69
    • /
    • pp.170-194
    • /
    • 2015
  • New institutionalism is one of the research perspective, explain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phenomena through institutions. It is seeking more accurate diagnosis and solution of societal problem. What is good media for community? And how it should be operate? These questions are related to design and improvement of media system. Now we need to better approaching method for higher explanatory power about media institutions. From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application of new institutionalism to media syste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At first, the new institutionalistl approaches can be apply the research fields of media policy/law and media organizations. Two, we suggest main research questions and research methods to each of that. This study has implication as more systematic and integrated approach to the research fields of media institution.

  • PDF

Noun Link Relation Research Of Verb '-Kata (가다)' for Korean Syntactic Analysis (한국어 구문 해석을 위한 동사 '가다'의 명사 결합 관계 연구)

  • Park, Keon-So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207-21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구문 해석을 위해 동사 중심의 구문 틀 정보를 구축하고, 나아가 결합 빈도가 높은 명사와의 결합 관계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구문 해석의 방법을 제안한다. 동사 중심의 구문 틀과 명사의 의미 자질은 구문 해결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문의 비문 여부를 가리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명사의 의미 자질은 경계가 모호하여 구문의 적격성(wellformedness)을 가리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동사와 명사의 결합 관계를 이용하면 구문의 의미적 적격성을 좀 더 명시적으로 가릴 수 있다. 한국어에서 기본 동사이고,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사용된 빈도가 아주 높은 동사 '가다'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구문 틀 정보와 결합 명사의 의미 자질 및 결합 관계를 정리하였다.

  • PDF

An Application of the Interpretive Social Science to the Landscape : - A Paradigm for Landscape Design - (경관해석을 위한 해석적 사회과학 개념의 응용: -조경설계를 위한 개념적 틀-)

  • Kim, S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5 no.1
    • /
    • pp.1-8
    • /
    • 1987
  • 최근 인문사회과학은 지역적 특수성과 문화적 배경(context)를 무시하고 법측과 체계(system)을 추구하는 자연과학의 개념을 인간사회에 적용하려는 여러 이론들이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법치주의에 의한 법인간적인 해석보다는 지역적이고 문화적 상황하에서 인간사회의 문제를 이해하려는 경향이 지금까지 행태(behavior)나 사회구조(social structure system)의 이해를 통해 인간사회를 분석하고 있다. 그 방법론으로는 전체의 맥락(context)이나 주변의 연관관계를 통해 의미를 이해하는 책(text)의 해석(interpretation)의 비유를 그 틀(paradigm)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예술과 미의 문제도 같은 체계(system)속에서 이해하여 현대의 전통, 문화와 대중으로부터 분리된 예술과 미로부터 전통, 문화, 개인과 생활이 공명할 수 있는 본래의 예술과 미를 찾으려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문화 이론의 개념을 분석하고 그 원리와 이론의 축면에서 경관(landscape)을 해석하고 경관의 의미(미를 포함한)체계(meaning system)을 분석하여 설계언어(design language)를 찾아내며 이를 설계에 응용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 틀(paradigm)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다변량 자료의 분산균일성 검정-피트만 방법의 확장-

  • 허명회;양경숙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1
    • /
    • pp.41-47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p변량 관측지가 등상관구조를 갖는 경우 주변분산들의 균일성을 검정하는 통계적 절차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변량의 경우에 적용되는 피트만(Pitman)의 방법을 3변량 이상의 경우로 확장하고 피셔(Fisher)의 임의화 검정을 적용하여 정규분포의 틀에 의존하지 않는 p 값을 산출한다.

  • PDF

An Analysis of Oriental Dress Aesthetics Shown in the 197us Western Dress (1970년대 서양복식에 나타난 동양 복식미의 다각적 분석)

  • Nam-Kyung J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3 no.1
    • /
    • pp.143-15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1) 1970년대 서양복식에 존재하는 오리엔탈리즘의 반향에 대해 정의하고, (2) 서양 복식을 통해 표출된 오리엔탈리즘의 의미를 당시 정치, 사회, 문화적인 측면과 연결하여 탐구하는데 있다. 이론적 틀로는 문화인류학 이론에서 유래된 Hamilton의 Unifying Metatheory of Clothing and Textile(1987)이 적용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1970년부터 1979년까지 미국에서 발행된 총 142권의 VOGUE 잡지 중 80권을 분석하여, 오리엔탈리즘이 보여지는 45장의 패션사진을 자료로 추출한 후, 연도, 디자이너의 소속 지역. metatheory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 연도별로 오리엔탈리즘이 표현되는 정도와 방법은 다양하였다. 서양디자이너들은 동양의 전통의상을 거의 그대로 모방하거나 하나 이상의 국가들의 전통의상 디자인 요소들을 하나의 복식에 혼합, 표현하는 방법을 주로 보여주는 반면, 동양 디자이너는 전통의상을 포함한 자국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을 서양복식에 도입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복식에서 보여지는 시각적인 면의 분석과 더불어, 1970년대 당시 미국의 정치. 사회, 문화전반의 상황과 복식에 있어서 오리엔탈리즘의 도입과의 영향관계가 파악되었다. 따라서, 복식을 연구함에 있어서 문화인류학적 이론과 같은 다른 분야의 이론의 적용은 복식을 새로운 측면에서 이해하는 넓은 안목과 통합적인 틀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Analysis of Writing Types on the Hypothetical Deductive Inquiry Experiment of the 7th Gifted in Science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가설-연역적 탐구 실험 글쓰기 유형 분석)

  • Kang, Seong-Joo;Park, Hee-Kyoun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1 no.2
    • /
    • pp.309-335
    • /
    • 2011
  • Writings of gifted students were classified by the writing analysis protocol built on the scientific inquiry process and writings of scientific journals. These writings were classified 7 types based on the existence of tentative explanations and types of conclusion. In addition the writings were classified by linear form, double linear form, supporting-conclusion form based on the number and position of writing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s show that, first, the tentative explanation is located at the beginning and the drawing conclusion at the end of articles. Secondly, students prefer the linear form writing to explain their logics. Finally, supporting-conclusion writings are shown when answers of question is written only in the drawing conclusion without estimation.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 Choe, Seung-Hyun;Hwang, Hye-Jea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1 no.4
    • /
    • pp.569-593
    • /
    • 2008
  • Since 2005 KICE-TLC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upporting programs for teaching consultation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The purpose of this year's research was to explore typ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hereafter) for effective teaching mathematics topics drawn from the amend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nounced in February, 2007. Based on this year's PCK research, we will develop mathematics teaching consulting program from 2009 research by field testing of developed mathematics PCK. The major source of data for this study was transcripts of audiotapes of the group discussions that took place during the regular weekly meetings where we compared and analyzed three teachers' classes. We also conducted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three teachers and collected reflective notes written by participants. This research provided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what is important in the teaching of a topic and why, and to consider possibilities for future development.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eacher meetings where teachers share their expertises and insights through reflection and dialogue.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CK, examining, analyzing and modelling it i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actice, we can contribute to extend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Finally, just like quality student learning, qualit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require critical reflection and careful scaffolding.

  • PDF

A Study on Analyzing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초등 수학 개방형 과제의 해법 공간 분석 연구)

  • Kim, NamGyun;Kim, Su Ji;Song, Dong Hyun;Oh, Min Young;Lee, Hyun Ju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5 no.1
    • /
    • pp.81-10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 and to explore their usefulness and applic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solution spaces constructed by stud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developed a framework for analyzing solution spaces (OMR-framework) organized into subspaces of outcome spaces, method spaces, representation spaces which could be used in structurally analyzing students' solutions of open-ended tasks. In our research, we developed open-ended tasks which had various outcomes and methods that could be solved by using the concepts of factors and multiples and assigned the tasks to 181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solution spaces by applying the OMR-framework, it was possible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actors and multiples and their approach to reversible and constructive thinking. In addition to formal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various informal representations constructed by students were also analyzed. It was revealed that each space(outcome, method, and representation) had a unique set of characteristics, but were closely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method of analyzing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s of this study are useful for systemizing and analyzing the solution spaces and are applicable to the analysis of the solutions of open-ended ta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