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도구

Search Result 10,619,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Children Pain Using Four Pain Assessment Tools - Faces, Glasses, Chips, Colors (4개의 도구를 이용한 아동의 통증)

  • Kim, Kyeong-U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7
    • /
    • pp.3016-302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evaluate the degree of the pain using tools such as faces, glasses, chips, and colors for 96 children in three general hospitals. The children preferred faces, glasses, chips and colors in order, and they preferred orange color for pain-free and black for intense pain. The pai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with the children who did not have experience in hospital except colors tool in the difference by means of general characteristics(faces, glasses, chips; p<0.05). Faces, glasses, chips, colors tools are pain assessment tools which are easy simple to handle by children including family and medical personnel. We expect these tools will be used in many ways to assess pain according to a child's age in a clinical setting.

A Study on the Online Finding Aids of University Archives (대학기록물의 온라인 탐색도구에 관한 연구)

  • Ha, Eun-Mi;Lee, Soo-S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7 no.2
    • /
    • pp.139-164
    • /
    • 2007
  • Finding aids is the first necessary step for users to find records easily. EAD, computerized standardization for finding aids, enables users to access to the finding aids easily and accelerates interoperability between Archives.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where they have built EAD finding aids and to analyze the distinctive feature in the EAD finding aids. And to review and point out the problems in current status of finding aids in domestic university archives. And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is presented in this research.

A Study on the Achievement of Tutoring using R (분석도구 R을 활용한 튜터링 성취도 연구)

  • Lee, Hyu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49-2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분석도구인 R을 활용하여 튜터링 학습법 참여 학생의 성취도를 검증하였다. 분석도구 R은 대용량 데이터의 고급 분석과 통계 계산을 위한 스크립트 언어로 빅데이터의 자료 분석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대학의 학습 활동 측면에서의 튜터링 학습법은 학습 능력이 우수한 선배 또는 동료인 튜터와 학습 받고자하는 튜티가 1:1 또는 1:N의 관계를 이루고 학습 활동을 진행해 나가는 과정이다. 튜터링 학습법 운영 후 실시하는 참여 학생 만족도 조사 결과에 의하여 튜터링 학습법이 학력 수준 차이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는 정성적인 근거는 있으나 정량적인 분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튜터링 학습법에 참여한 공학정보학부 튜티들의 성적 결과를 분석도구 R을 활용하여 분석하여 튜터링 학습법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 PDF

Handtool의 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체계적인 접근방법

  • 유재우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10a
    • /
    • pp.231-239
    • /
    • 1995
  • 인간중심의 작업설계는 오래전 부터 공학의 중요한 과제로 여겨왔다. 이에 인간은 여 러가지 다양한 형태의 도구를 만들고 개선해 왔으며, 이 중 Handtool은 중요한 도구 중의 하나 이다. 인간과 도구가 그 사용에 있어 최적의 조화를 이루어갈 때 위험요소는 사라지게 되고 작업의 부하는 줄어들며,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의 정확도는 나아지게 된다. 기술의 발달은 갈수록 복잡하고 위력적인 도구를 발명해 내고 있지만 아직도 우리의 주변에는 이의 설계에 있어 인간공학적인 요소가 충분히 고려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실제로 최근에 와서는 많은 수 공구들이 동력화되고, 그 성능은 갈수록 나아져 가고 있는 반면, 이의 사용 으로 인한 사고라든지, CTS(Carpal Tunnel Syndrom)과 같은 누적외상병은 별로 나아짐이 없이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심해져가고 있다. 따라서 도구의 인간공학적인 다지인의 목적은 위험요소의 제거, 작업부하의 절감 그리고 작업능력의 향상에 있다고 할 것이다. 기존의 연구 중 개별적인 Handtool의 인간공학적인 디자인의 예는 이미 많이 연구가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러한 연구들의 사례는 일관된 시스템적인 접근방식을 갖지 못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간공학적인 측면에서 Handtool의 설계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와 함께 그 체계적인 접근방식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using Open Source Configuration Management and Defect Tracking Tools (오픈소스 형상도구와 결함추적도구를 이용한 개발 프로젝트 관리에 관한 연구)

  • Lee, Jihyun;Park,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45-1447
    • /
    • 2012
  • 팀으로 구성된 개발 조직은 주어진 시간 안에 가용할 수 있는 인력으로 고객에게 전달될 최종 산출물인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개발과 통합을 거친 소프트웨어는 테스트를 거치며 발생되는 결함에 대해 수정 조치한다. 하지만 결함 수정과 병행하여 초기 요구사항은 변경되고 추가되어 개발되는 소프트웨어에 반영되야 함으로 팀에서는 메일, 전화, 또는 게시판 방식으로 결함 사항을 알리고 최종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나간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환경에 결함추적도구를 사용하여 결함 발견 시 등록하고, 해결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오픈소스 기반의 형상관리도구와 결함추적도구를 활용한 환경을 연구해 나가고자 한다.

An Overview of Explo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Assessment Tools based Computational Thinking (CT 기반 역량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개관)

  • Kim, Dong Man;Lee, Tae 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415-416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 CT 검사 도구를 확인하여 한계를 파악하고, CT 기반 역량의 의미를 밝히고 이를 통해 올바른 CT 검사도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로 CT 기반 스킬을 통해 CT 역량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 CT 역량을 검사하는 것은 CT 기반 역량을 검사하는 것으로 CT 기반 하드스킬을 밝혀내어 이를 평가 요소로 적용한다면, 기존 검사도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묘책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후속으로 CT 기반의 하드 스킬을 찾아 CT 기반 역량을 명확히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 PD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 Kim, Seong-Won;Lee, Youngj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3
    • /
    • pp.225-238
    • /
    • 2022
  • Although the importance of literacy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is increasing, there is a lack of testing tools for measuring such competency.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developed a testing tool that measures AI litera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is goal was achiev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expert group that was enlisted to determine the relevant factors and items covered by the proposed tool.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tool, a field review,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se procedures resulted in a testing tool comprising six domains that encompass 30 items. The domains are the social impact of AI (eight items), the understanding of AI (six items), AI execution plans (five items), problem solving with AI (five items), data literacy (four items), and AI ethics (two questions). The items are to be rated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ol was .970 (total), while that of the domains ranged from .861 to .939. This study can serve as reference for developing the analysis of AI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in AI education.

전사적 테스트 주도 개발방식의 적용 경험과 교훈

  • Kwon, Oh-Seung;Lim, Joa-Sang;Hong, Sa-Neu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246-252
    • /
    • 2008
  • 선행적이며 지속적인 테스트를 강조하는 테스트 주도개발이 시스템의 품질과 개발 생산성을 제고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4].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실험실 환경 또는 소규모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개발 현장에서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드물다 [2, 5, 18]. 본 연구는 비즈니스 환경의 대규모 프로젝트에 테스트 주도의 개발방법을 적용한 경험과 교훈을 보고한다. 다양한 데이터, 업무간 복잡한 연계, 철저한 검증의 필요성과 같은 전사적 응용체계의 요구사항은 기존의 테스트 주도 개발방법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테스트 주도 개발방법의 전사적 적용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테스트 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도구는 GUI 기반의 테스트 관리 화면을 제공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테스트 데이터를 저장하여 테스트 케이스의 생성, 테스트 실행, 그리고 테스트 데이터의 관리를 지원하였다. 도구는 또한 스크립트 방식이 아닌 저장된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한 회귀 테스트의 실행을 가능케 하였다. 지원도구를 이용한 전사적 테스트 주도 개발은 테스트 결과의 실시간 파악과 빈번한 변경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전사적 테스트 주도 개발방법의 보편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전통적 개발방식에 익숙한 개발자들의 새로운 접근방법에 대한 거부감 해소, 테스트 주도 개발을 고려한 개발체계와 프로젝트 관리, 그리고 개발자 행태와 프로젝트 특성을 감안한 지원도구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식별되었다.

  • PDF

An Analysis of the Activities Operating a Tool in Model Development Process (모델 개발 과정에서 도구를 조작하는 활동 분석)

  • Shin Eun Ju;Lee Chong Hee
    • School Mathematics
    • /
    • v.6 no.4
    • /
    • pp.389-409
    • /
    • 2004
  • This article presents a case study in which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ed models in modeling activity using a tool. We research the interaction of model development process and the activities operating a tool in the modeling. And we investigate whether students are able to create generalizable model, after a tool mediates students' thought process and students internalize the perceptive activity operating a tool. The analysis of our case study led to three results. First, as students were able to integrate perceptive activity operating a tool and cognitive activity, they reasoned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changing quantities and developed the model. Second, students corrected and refined developed models with reflecting the perceptive activity operating a tool. Third, as students internalized perceptive activity, students were able to create generalizable model, which is a graph of height as a function of the amount of water that's in the beaker.

  • PDF

A Component Modeling Tool based on AUTOSAR for Automotive Software (AUTOSAR 기반 차량용 소프트웨어의 컴포넌트 모델링 도구)

  • Park, In-Su;Lee, Jung-Sun;Cho, Sung-Rae;Jung, Woo-Young;Lee, Woo-Ji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7A no.4
    • /
    • pp.203-212
    • /
    • 2010
  • Recently, in automotive industr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related with hardware components and embedded software which controls hardware components. Since most of embedded software is tightly dependent on car manufacturers, there were some problems in reusability and interoperability of automotive softwa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UTOSAR standardized the component-based software architecture of automotive software. In AUTOSAR, several modeling diagrams should be described and their dependencies are also checked. Currently, a few company developed the prototypes of tools supporting AUTOSAR. In this paper, a component modeling tool based on AUTOSAR 3.0 is developed for enhancing the usability of existing tools using Eclipse GMF. The tool is composed of a graphical component modeling tool and a graphical network topology tool. Since these tools are generated based on GMF without hard coding, it is relatively easy to customize the tools for adopting company‘s needs and easy to follow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and development environments.